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3/03 00:23:47
Name maker_
Subject [일반] 인문학도(?)의 푸념...?
재작년이었는지, 작년이었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아마 제가 새내기 티를 벗고 이제 첫 후배녀석들을 받은지
얼마 지나지 않았던 때로 기억합니다. 언제였는지는 사실 그닥 중요하지 않으니까요;
선배들 졸업식이 끝나고
친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송별회라고 할까요. 그 자리에 저도 가게 되었습니다.

소주 몇병을 마셨을까요.
졸업하는 선배가 해준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나는 이제 졸업하고 가버리는 사람이지만, 후배들한테 미안하게 생각하는게 하나 있다.
너희는 이래저래 전망이 안좋다는 소리 들으면서도 공부하고 싶은 게 있어서 우리 과에 들어왔을 텐데,
내가 졸업하면서
'좋아하고 하고싶은 걸 열심히 하다보면 나도 저렇게 성공할 수 있구나..' 라는걸 못보여줘서 미안하다.
너희는 후배들에게 꼭 보여줬으면 한다.

뭐 대충 이런 내용이었죠...
뭔가 기억에는 남는 말인데, 새내기라서 그 뜻은 몰랐던 것 같아요.




제가 다니는 과는 역사를 공부하는 곳입니다.

며칠 전에 입학식이 있어서.. 복학한 동기들 보러, (제가 좀 늦게 복학하는 편이라)
이래저래 오랜만에 한번 가봤습니다.

11학번 파릇파릇한..하하;; 새내기들이 있었습니다.
다들 정말 역사공부를 하고싶어서 왔다. 고 말하고,
장래희망은 교수, 선생님, 박물관장.. 등등 이더군요.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냐고. 저에게 묻는데, 뭐랄까...그래도 열심히 하는 사람은 잘 헤쳐 나가더라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해줬습니다.

나도 새내기때는 저랬었겠지, 하면서...
예전 졸업하던 선배가 해주던 말이 떠오르더군요.
입학식이라 웃고 떠들고 했지만, 한구석엔 씁쓸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기들 몇몇은 복학을 늦추고 공무원시험준비를 한다더라구요.
어쩐지 그냥 복학하기가 망설여지네요..

그냥, 푸념, 잡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보라도리
11/03/03 00:47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저도 사학과 인데.. 저도 전역 하고 바로 칼복 했다가 이번에 휴학 신청 했는데 군대가기 전 2년 동안 너무 열심히 놀아서 메꿔야 할 학점과 토익이다 머다 하는데 갑갑 하네요 머 솔직히 다른 과도 마찬가지만 특히 인문대에서 역사학과 쪽은 답없죠.. 전공을 살린다는거 자체가 석사는 기본에다가 그 이상의 자격이 필요하고 석사도 정말 엄청난 성적과 상당히 뚜렷한 능력도 있어야하고 거기다가 과 특성상 인맥이 너무나 중요한 과라 95 프로는 거의 공시준비 혹은 다른 길 알아 보는 식이죠.. 전공 살린다고 하시는 분들도 결국 4학년 말이나 졸업 할시기쯤이면 결국 포기하시고 다른길 알아 보러 가신다고 하더라고요

요즘 사회인식도 무슨과 냐고 물으면 사학과라고 대답 하면 인상찌푸리면서 그딴데는 왜가냐? 밥은 먹고 살수 있냐? 부터 어른들이 쯧쯧 거리시면서 철없다 는 듯한 눈으로 보는데 뭐 그래서 그냥 대학교 어디 과 다니냐면 그냥 인문대 다닌다고 합니다 그래도 한심한듯이 보는 사람들의 시선은 여전하지만요.. 할수 없다고 봅니다 효율/선택,집중/능력 이 대세인 세상에서 공대나 경영 쪽 을 쓰지 누가 한가하게 역사책이나 보면서 하는 사람들을 쓸까요..

저번에 빅뱅 이론 보다가 쉘든이 지원금 문제로 돈많은 부호들을 만나서 인사 좀 해야 된다고 대학 총장이 꼬시니깐 자기는 그런짓 하기 싫다고 하니깐 그걸 지켜보던 쉘든 친구가 그 지원금이 세상에서 가장 쓸모 없는 인문대 놈들한테 장학금이 흘러가면 어쩌냐고 하니깐 쉘든이 세상에 그건 진짜 종말급이라고 하면서 분개하던 모습이 인상 깊었네요..
Je ne sais quoi
11/03/03 00:52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 역사학자가 꿈이었다가 고등학교 때 사학과가면 왠지 밥먹기 힘들거 같아 공대로 바꾼 사람인데... 현실이 정말 그렇게 되었다니 참 슬프네요. 뭐 요즘 xx사 아니면 다 힘든 세상이긴 하지만... 잘 헤쳐나가서 후배들에게 자신이 생각하던 좋은 모습 보이시면 좋겠습니다.
11/03/03 00:53
수정 아이콘
저도 역사과인데... 학부도 안좋고... 참 고민이 큽니다. 근데 문제는 고민만 하고 있다는거죠. 후아~
RealWorlD
11/03/03 01:08
수정 아이콘
흠.. IT.. 특히 컴퓨터공학과로서 심히 동질감을 느낍니다.
11/03/03 03:15
수정 아이콘
아버지 영문과 어머니 사학과 형 경제과 이모 불문과 이모부 연극 사촌형 불문과 사촌누나 미술

저만 공대

이 테크를 밟은 관계로 님의 고민이 무엇인지 너무 잘 압니다. '사회에 필요한 학문' 이긴 한데, '사회에서 지원해주는 금액' 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인원수' 를 계산해보면, 참 암담하죠. 이과도 사실 그런 과들이 있습니다.. 천문학, 수학, 물리학 등등의 학과는 학부때만 그 전공을 하고 대학원은 공대 등으로 많이들 옮기죠. 사회적으로는 감당할 수 있는 규모로 입학 정원을 줄이는 것이 답이라고는 생각하는데, 개인 개인에게는 뭐라 의견을 낸다는 것 자체가 조심스럽고 미안하고 그렇습니다. 뭐... 힘내는 것 말고 답이 없지요. 화이팅 입니다!
스팀팩질럿
11/03/03 04:07
수정 아이콘
이공계가 위기라고 할 때마다 인문학도는 조용히 웃지요...
TheUnintended
11/03/03 07:53
수정 아이콘
영문과 역시나 울고 갑니다
11/03/03 08:42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사학과는 전공 살려서 밥먹고 살기 힘듭니다..(뭐 근데 어차피 인문학부나 사회과학부나 결국 다들 전공살려서 밥먹기 힘들죠.)

저희 과에서도 제가 아는 사람 중 전공 살린 사람은 1명 밖에 없네요.. 흐흐

재밌는건 제가 근무하는 과에 사학과가 2명이나 있어요.. (정원 11명 중 2명이나 사학과)
하지만 전공과 무관한 공무원과 변호사라는 것.. 암울하죠
눈시BB
11/03/03 08:50
수정 아이콘
에이 뭐 술자리에서 안주삼아 말 할 거리는 충분해요.
요새는 그런 것도 힘들지만요 ㅠ_-
여자동대장
11/03/03 14:01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 역사학자가 꿈이었다가 고등학교 때 사학과가면 왠지 밥먹기 힘들거 같아 공대로 바꾼 사람인데요...(2) ㅠㅜ
11/03/03 19:02
수정 아이콘
이공계가 위기라고 할 때마다 인문학도는 조용히 웃지요... (2)
초등학교 시절 역사에 흥미를 갖게 되어 중,고등학교를 거치면서도 한번도 안바뀐 선택이었는데 현실은 전혀 다른 일을 하고 있는 30대 중반의 나이가 되었네요;;
낭만토스
11/03/03 19:19
수정 아이콘
이공계는 위기지만
인문학은 죽었습니다 이미....
성야무인Ver 0.00
11/03/03 20:05
수정 아이콘
이런 이야기해서 그렇긴 하지만 한국사학과의 경우 변화에 대응을 전혀 못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1980년대 이후 북미쪽에선 사학과나 고고학과가 문과쪽보다는 이과쪽에 넣는 사람도 있을만큼 분석자체의 변화가 많이 변했습니다. 한국 사학과생중에 DNA분석에 대해서 공부한사람이 많나요?? 혹시 MRI나 CAT Scan에 대해서 아시는 분은 있나요? 벽화하나 무덤하나를 분석하는데도 단순히 삽질하고 파는데만 집중하는게 사학과가 아니고 생물학이나 공학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성공할수 없는 분야가 현대 사학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710 [일반] 증권맨이라는 직업. [40] 삭제됨8019 11/03/10 8019 0
27708 [일반] 이럴때야말로 여성부가 들고 일어나야 할 문제 아닌가요? [92] 부끄러운줄알아야지7352 11/03/10 7352 0
27706 [일반] 에바사마의 일본 자전거 일주#17 (야메떼~!) [14] Eva0104637 11/03/10 4637 0
27705 [일반] 소설 스타크래프트 읽어보셨나요? [10] 으랏차차6352 11/03/10 6352 0
27704 [일반] 4월 초 출시될 아트릭스...엄청나네요... [17] 이흔7922 11/03/10 7922 0
27700 [일반] 유심히 봐야할 경제 상황 비은행권 가계부채 [20] 뜨거운눈물6259 11/03/09 6259 0
27699 [일반] 유럽 챔피언스 리그 16강 향후 관전 포인트 [33] Dornfelder6547 11/03/09 6547 0
27698 [일반] 삼성전자와 LG전자의 3D TV 관련 전쟁이 뜨겁네요. [37] LG.33.박용택7043 11/03/09 7043 0
27697 [일반] 故 장자연씨 말고도 솔직히 연예인 성상납 사례 분명히 많겠죠? [53] 창이13309 11/03/09 13309 0
27696 [일반] 은하영웅전설 완전판이 나옵니다. [35] 타이밍승부6129 11/03/09 6129 0
27695 [일반] 가슴아픈이야기. [8] 사용가능하네4239 11/03/09 4239 0
27694 [일반] 따뜻한 음식? 차가운 음식? [10] maker_5572 11/03/09 5572 0
27693 [일반] 고아출신 30대,버린 생모 30년만에 찾아가 살해 [36] 행복자7342 11/03/09 7342 0
27692 [일반] 스포츠에 흥행이 그렇게 중요하나요? [22] Warmen5840 11/03/09 5840 0
27691 [일반] [야구] 프로야구 8개구단 초간단 전력비교 [54] 설탕가루인형7362 11/03/09 7362 0
27690 [일반] [펌] 경소설(라이트노벨)이란 무엇인가?(1) [34] legend6427 11/03/09 6427 0
27687 [일반] <마르크스 자본론 100분만에 읽기> 강연에 초대합니다. [8] 하쿠오로5367 11/03/09 5367 0
27686 [일반] 핸드폰 요금 도우미 [12] 모모리6464 11/03/09 6464 0
27685 [일반] 나는 가수다에서 박정현씨 노래 총 6분중 2분이나 짤렸네요. [21] 체념토스7890 11/03/09 7890 0
27684 [일반] 어느 순간에 사라져 가는 것들 [12] 김치찌개6704 11/03/09 6704 0
27683 [일반] [카라]오리콘 DVD차트 2주연속 1위소식 및 근황 [24] karalove6577 11/03/08 6577 0
27682 [일반] 후삼국 이야기 - 3. 장보고의 후예 [14] 눈시BB9195 11/03/08 9195 1
27680 [일반] 미성년자의 성적관계 어찌 생각하시나요. [52] 고구마줄기무10580 11/03/08 105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