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1/22 20:48:31
Name 도형추리고수
Subject [일반] 수능에 대한 잡설...
여러분들은 수능이 대학에서 발휘할 능력을 얼마나 예언한다고 보십니까 ?



학자들에 의하면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업적성과 학력평가의 요소가 모두 들어가 있는 시험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수능은 지능검사와 상당히 유사한 면이 있지만 지능검사보다 많은 지식을 요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능검사에 나오는 수리능력 문항이 아주 기본적인(초중만 졸업해도 풀기에 문제가 없는) 지식을 가지고 계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할수 있느냐를 본다고 한다면 수능은 고등학교 심화수준의 미적분학의 기본개념을 얼마나 깊이 이해했느냐를 테스트하는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문제삼고자 하는 바는 이러한 수능이 가지는 모호한 특성입니다.

한마디로 지식이 없으면 풀수 없는 문항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지능검사와 유사한 성격(수열이나 경우의 수 등)을 지니는 문제 역시 출제되어 수험생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공부를 별로 안하고 잠재능력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불리한 시험이고,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머리가 좋지 않으면 풀수 없는 시험이 바로 수능시험입니다.



차라리 지능검사와 거의 유사한 능력 시험과 기존 지식을 테스트하는 시험을 따로 구분해서 볼수 있도록 하는 교육학적으로 좀더 낫지 않나 생각을 해 봅니다. 저는 그런 방식이  머리가 좋은 사람과 좋지 못한 사람 모두에게 좀더 나은 방향이라고 믿습니다.

ps:// 제 방안은 일반능력시험과 성취도 시험을 합산해 학생을 선발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시는 놓아두고 정시에서 그러한 제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1.일반능력시험(general intelligence test) 300점

2.지식 성취도 시험(achievement test)  700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일은
11/01/23 00:25
수정 아이콘
수능 초기에는 학력고사와는 다른 새로운 유형이 많이 나와
지능 중 (지능도 꽤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적응력, 응용력이 좋은 학생이 유리했습니디만
15년 이상 진행되면서 새로운 유형이 나오기 힘든 지금은 초반보다는 노력하는 학생이 유리하게 바뀌었습니다.
시험이라는게 초기에는 케이스가 적어 응용력을 타고난 사람이 유리하지만 그 특정 형태가 어느정도 진행되면 될수록 타고난 지능보다 노력이 더 중요합니다. 물론 인내력도 재능의 영역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올라갈팀은올라간다
11/01/23 01:18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피측정자의 노력과 재능을 둘 다 동시에 보는, 즉 기본적인 사고력과 학습을 통한 지식을 동시에 평가하는 시험이라면 수능이 말 그대로 대학에서의 수학능력을 측정하는 데 아주 적절하다고 보이는데요. 요즘이야 80%가 대학가는 시대다 보니 새삼스럽습니다만 원래 고등교육은 공부를 열심히 하면서 재능있는 사람이 가는 곳입니다. 머리가 좋지 않은 사람이나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 사람은 원래 꼭 대학을 갈 필요가 없어야 하는데 사회 구조상 그게 안되니 문제가 있는 것이지 그렇게 평가하는 것 자체는 매우 좋은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즉, 실제로 수능이 둘 다를 측정하는 지에 대해서는 제쳐두고서라도, 도형추리고수님이 드신 근거는 주장하고자 하시는 바를 정면으로 뒤집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089 [일반] [펌]맨유의 위대한 레전드 '폴 스콜스' 에 관한 어록들과 스페셜 영상(스압) [15] Alexandre10254 11/02/02 10254 1
26974 [일반] 수열추리 적성검사 [5] 도형추리고수16122 11/01/27 16122 1
26941 [일반] 한일전에 대한 잡담. 그리고 축구와 관련된 명언. [55] PlaceboEffect6327 11/01/26 6327 1
26884 [일반] 수능에 대한 잡설2 [16] 도형추리고수4969 11/01/22 4969 1
26883 [일반] 수능에 대한 잡설... [2] 도형추리고수4416 11/01/22 4416 1
26347 [일반] 곰과 인간의 대결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72] Typhoon7963 10/11/12 7963 0
24932 [일반] 먹튀를 잡다. [132] 녹용젤리10436 10/09/08 10436 1
24839 [일반] 몸도 그대로, 마음도 그대로, 뇌도 그대로... [조금 김] [3] 호타루3958 10/09/04 3958 0
24470 [일반] 오덕의 결정체, 그는 바로 세종 대왕. [24] sungsik11012 10/08/22 11012 0
23652 [일반] 인간 이외의 인간적인 종에 대한 가정 [12] Dornfelder4838 10/07/22 4838 0
23273 [일반] '김부장 나쁜놈!' 대한민국 직장인들의 아픔. [19] nickyo6684 10/07/03 6684 0
23196 [일반] 아리마(arimaa)를 아십니까? [24] 츄츄다이어리7958 10/06/29 7958 2
22112 [일반] Adobe Photoshop CS5 새로운기능들 정리 (대박 덜덜;) [34] 창이9310 10/05/21 9310 0
20942 [일반]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두렵습니다 [57] 주먹이뜨거워6777 10/04/07 6777 0
20693 [일반] [스압] 주옥같은 동물관련 판님 댓글 모음 Part 3. [11] ThinkD4renT16226 10/03/30 16226 8
20421 [일반] 퍼기 경기후 인터뷰 [13] 반니스텔루이8051 10/03/22 8051 0
19968 [일반] 문어와 낙지, 그리고 영호남 [27] 굿바이레이캬7931 10/03/05 7931 1
19921 [일반] [링크수정] 연아의 경기는 왜 예술적인가? [33] ThinkD4renT8683 10/03/03 8683 14
19655 [일반] 간단하고 재미있는 반려동물 이야기 (4) - 동물원성 감염증과 예방접종 - 1 [8] Joker_4315 10/02/19 4315 0
19560 [일반] 이공계 석사 졸업자의 셀프 인터뷰 [28] TORCS9733 10/02/15 9733 3
19461 [일반] 지금이라도 늦지않은거같습니다... [139] 그래프8894 10/02/10 8894 0
18959 [일반] 무한도전 '의상한 형제' 평점 매겨보아요. [34] 탈퇴한 회원9988 10/01/17 9988 1
18809 [일반] 생명의 무게 [39] 상코마네5692 10/01/10 569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