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1/21 15:46:09
Name Right
Subject [일반] 직업 선택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직업의 중요성은 얼마나 될까요? 일반적으로 아침 9시 출근 - 저녁 6시 퇴근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하루 24시간 중 잠자는 시간 7시간을 제외하고 17시간에서 9시간, 인생의 절반 이상을 우리는 ‘일’을 하면서 보내지요. 물론 주말과 공휴일, 휴가가 있지만 우리나라의 잦은 야근시간을 고려하면 인생의 절반은 일을 하며 보낸다는 게 과장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인생의 절반을 좋든 싫든 ‘일’과 함께 하며 보내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라면, ‘직업 선택’에 대한 고민은 아무리 많이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아요. 사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현재 직장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시 취업 준비생으로 돌아간다면 ‘다른 직업’을 선택하겠다고 설문에 응답했다고 하네요.

직업을 고를 때의 가치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죠. 돈도 많이 벌고, 사회적으로 인정도 받고, 개인 시간은 많고, 자율적이고, 정년은 보장되고, 또 내 흥미와 적성에도 맞으면서 그 직업이 되는 게 너무 어렵지는 않으면 좋겠죠. 물론 그런 직업은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각 조건에 우선순위를 두어 직업을 추려나갑니다. 그래서 나온 최우선 순위가 바로 ‘돈’과 ‘사회적 지위’ 그리고 ‘안정성’입니다. 요즘의 인기 직업을 보면 알 수 있죠. 의사, 변호사, 회계사, 공무원, 교사, 공기업 취직, 대기업 취직 등.

사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정말로 원하고 잘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겁니다. 남들이 좋다고 아무 생각 없이 따라가다 나중에 후회하는 것 보다는 처음에 조금 고생하더라도 원하는 직업을 고르는 게 조금만 더 멀리 내다보면 합리적이니까요. 그런데도 소득, 사회적 지위, 안정성(그것도 현 시점만을 기준으로)이 있는 직업에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답은 하나밖에 없죠.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고민을 해도 나 자신에 대해 모르겠으니 객관적으로 확실한 지표인 소득을 우선시 하는 겁니다. 안정성이라는 건 그 소득이 유지될 수 있는 확률이니 또한 중요한 것 이구요. 어찌 보면 현 상황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차피 내가 뭘 하고 싶고 뭘 잘할 수 있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돈과 명예라도 있어야하지 않을까요?

그래도 여전히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발견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 중인 분들에게 말하고 싶습니다. 단순한 고민이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남들과 다른 길을 가는 것에 대한, 주변의 기대에 벗어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많겠죠. 또한 지금 이렇게 직업 선택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사치로 느껴질 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 당장 미친 듯이 공부해도 부족한 시간이라고 죄책감에 빠져있을지도 모르죠. 그러면서도 나중에 시간이 흐른 후에 그때 고민하지 않은 걸 뼈저리게 후회하고 싶지는 않을 겁니다. 그런 당신에게 이 말을 전합니다.

내 인생은 내가 결정하고 내가 산다.
-남이 대신 살아주는 게 아니다.

내가 무엇이 되는 것은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다.
- 내가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그 길로 갈 수 있다.

나는 무엇이든 될 수 있다.
- 내 능력을 과소평가하지 말자. 한계를 넘어서자.

내가 어떤 직업을 갖든 나는 행복하게 살 수 있다.
- 어떤 일을 하든 인생의 소소한 행복을 즐길 수 있다.

내가 미래에 어떤 모습이든 내 본질적 가치는 변하지 않는다.
- 내가 사회에서 알아주는 직업을 갖든 아니든 나는 똑같이 소중한 사람이다.

당신이 지금 하고 있는 고민들이 나중에 인생을 되돌아 봤을 때 가장 가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pgr자게 첫 글이네요. 제목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하여'지만 사실 저도 그 안에 포함됩니다.

나름 진로고민을 하다 내린 결론을 글로 써봤습니다.

+ 부연설명

마지막 부분은 사실 제가 저 자신에게 하는 말인데... 이 글에선 조금 부연설명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나는 무엇이든 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재능을 고려하지 않고 직업을 선택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다만 가능성을 좀 더 넓게 보자는 측면이지요. 어떤 직업을 바라볼때 내가 그 직업을 갖기 위한 재능이 부족하니까 안된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내가 할 수 있는 직업은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모든 직업엔 일정한 재능과 노력이 필요하니까요. 흔히 말하듯 쉬운 일은 아무것도 없다고 하죠. 정말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 그런 직업이 아닌 이상 다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무장하고, 냉정하게 바라보는건 그 다음입니다.

그렇게 고른 직업들 중에서 하나하나 살펴보는거지요. 이 중에 내 재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직업은 무엇인가,

업무적 특성은 무엇이 있는지, 필요한 재능은 어떤 것들이 있고, 이 직업의 미래 전망은 어떠한가.

즉, 제가 강조하고 싶은건 미래에 대한 불안을 떨쳐버릴 자신감입니다.

또 피드백 환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나이스
11/01/21 15:51
수정 아이콘
몇 가지 일 해보면서 느낀 건 힘들고 돈 못받아도 자기가 하고 싶은 일 하는게 최선입니다...
딴 건 힘들면 아놔 이걸 내가 왜 해야하지 싶은데 좋아하는 일은 당장 밤새서 보고서 내래도 웃으면서 하게 되더군요 -_-;
대신 돈을 생각한다면 거기서 최고가 될 각오는 해야죠.

그래서 교사양성 학교에서 교사할 마음을 버렸습니다. 교사가 정말 하고 싶은가? 하니까 아니오라..
11/01/21 15:56
수정 아이콘
아...정말 좋은글입니다. 남들 따라가면서 지금도 공부하고 있는 저 자신이 너무 부끄럽네요.. 진지한 고민.. 꼭 해보겠습니다!!^^
자네스타좀해
11/01/21 16:29
수정 아이콘
직업을 선택할수 있는 방법이나 경험담 같은 좀 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글이였으면 하고 들어왔는데 역시나 그런글은 아니군요.

사실상 적성검사 조차도 자기 적성을 정확하게 못 짚어 내는데 그런 글 쓰는거 자체가 힘들죠...
andante_
11/01/21 16:32
수정 아이콘
원래는 수의사가 되어서 아픈 동물들을 치료하고 싶어서 공부를 시작했는데, 공부하다보니 현재 제 능력으로는 힘들 것 같아서 수의사가 아니더라도 동물과 함께 일하고 싶습니다. 미리 그 쪽 분야에서 일하면서 경험도 쌓고 있구요. 졸업하면 자격증 공부해서 따고 본격적으로 일해볼 계획입니다. 미국은 동물과 관련되어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서 정말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11/01/21 16:37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 그랬는데, 어차피 직장생활이라는 게 수익을 내어야 회사도 먹고 살고 제 월급도 나오더군요. 제가 하고 싶어서 한 일인데도 은근 그런 데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습니다. 그렇다고 후회하는 건 아니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해도 어느 정도 후회할 일은 생겨요. 그러니 선택과 조율이 필요한 법이지요. 그리고 물가가 오르다 보니 월급 수준도 꽤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됩니다. 예전에는 난 돈 받으면서 배운다는 생각이 들어서 뿌듯했는데, 요새는 이놈의 업계는 언제 구멍가게 수준을 벗어나나 싶어서 한숨만 나오네요. 흑...
11/01/21 17:02
수정 아이콘
자세로서는 좋은 말이지만, 냉정함도 필요합니다. 아무리 성실해도 에스프레소나 드립맛을 제대로 잡아낼 수없는 혀라면 바리스타로서 한계가있고, 베이스 술 위스키 브랜디 진 럼 보드카등에대해 제대로 이해할 감각이 모자라면 바텐더로서의 직업이 한계가 있는것처럼...마찬가지로 글을 쓰는작가, 노래를부르는 가수 몸을 쓰는 운동선수등... 직업선택에 가장 중요한건 장미빛희망도 검은색 비관도 아닐겁니다. 자신의 재능을 따를것이냐. 흥미를 따를것이냐. 현실의 환경을 따를것이냐. 혹은 이것들이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의 중심을 어디에 둘것이냐. 이러한 것들을 선택함으로서 생기는 기회비용들을 아쉬워하지 않을 단단한각오. 그게 가장 처음이자 중요한일이라고 생각해요.
11/01/21 17:26
수정 아이콘
컴퓨터를 좋아해서 어릴때 컴퓨터 홈페이지 만들고 대회에도 자주 입상해서 웹디자이너가 되었는데...
이게 직업이나 일이 되니까 그렇게 하기가 싫은지 모르겠더군요. 내 홈페이지 만드는건 재미있는데 다른 사람 홈페이지 만들어주는건 왠지 복잡하고 다 만들어주니 이건 이렇게 고쳐달라 저렇게 고쳐달라 하고 또한 우리날 국민 컴퓨터 보급과 구청에서 무료 홈페이지 강좌등을 통해서 사실상 웹디자이너의 수익이 상당히 줄어들고 거의 아르바이트 개념으로 바뀐 뒤로는 이걸로 직업을 가지긴 힘들겠구나 싶었고 재미가 없더군요. 그래서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에서 웹디자이너를 해볼까도 생각했는데 그 쪽도 우리나라랑 마찬가지로 웹디자이너 포화 상태에 거의 아르바이트 수준이 많은 관계로 이것에 대한 꿈은 접었고 지금은 컴퓨터에 관련되지 않은 직종에서 일하고 싶다라는 생각만 들더군요.

꿈이나 하고 싶은 것보다 지금은 남들처럼 정년길고 안정적인 직업만 가지고 싶네요... (아 이 지나친 현실주의여~)
11/01/21 17:42
수정 아이콘
좋은 글에 딴지 걸어서 죄송하지만, 마지막에 쓰여있는 자기계발서의 가르침 같은 문장은 좀 거슬리네요...
제가 느끼기엔... 적어도 자신의 인생을 걸 직장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건, 의지나 흥미가 아니라 '재능' 입니다.
노력이나 성실함은 그 다음 문제죠. 정말... 재능이 없어서... 흥미도 있고, 관심도 있고, 노력도 많이 하는데,
결국은 견뎌내지 못하고 무너지는 분들을 많이 봤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제가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결정했던 많은 일들 중에, 제일 잘 했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일이,
음악가가 되기를 포기한겁니다. 정말 좋아하고, 노력도 많이 해봤지만, 재능이 없어요 재능이.
취미로 하는 수준에서는 '잘한다'라는 소리를 들을 수준까지는 올라가봤지만, 절대 그걸로 밥 벌어먹을 수는 없겠더군요.
아로아
11/01/21 18:30
수정 아이콘
좀 다른 조언을 드리자면..
아무리 고민하고 고민해봤자(고민만 해봤자).. 그닥 소용없다는 겁니다.

직접 부딪혀보지 않으면, 이 일을 정말 좋아하는지.. 이 일이 정말 내 적성에 맞는지 절대 알 수 없습니다.

생각만 했을 때는... 그 일을 좋아하고, 즐거운 일일 것 같고, 내가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직접 해보면 다릅니다..
힘든 것도 너무 많고, 내 재능이 따라주지 않기도 하고.
또 더 큰 문제는... 생각했던 것만큼 내가 그 일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거죠.

자신에 대해... 정말 그렇게 잘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진지하고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은 좋은데.
고민만 하지 말고.. 실제로 해보라는 겁니다.. 무엇이든요.. 그래야 아니까요.
여러가지 부딪혀보면.. 그제서야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것과.. 자신이 정말 잘하는게 보입니다.

길을 잘못 선택했다? 이 일이 아니었다?
그러면 돌아가면 됩니다.

인생 길잖아요...
켈로그김
11/01/21 18:40
수정 아이콘
선택을 위한 100번의 고민보다
일단 해보고 나서 하는 한 번의 고민이 더 생산적이긴 합니다.
11/01/21 20:04
수정 아이콘
옜날에 학교에서 진로 관련 강의 를 듣던중 강사분이 하신 말씀이 있는데

아인슈타인의 원래 꿈이 뮤지션이였다고하네요
만약 아인슈타인이 음악이 좋아 음악을 했다면 오늘날의 아인슈타인은 없었겠죠.

고로 결론은.
좋아하는것과 잘하는 것은 다른계념이다.
11/01/21 20:13
수정 아이콘
한때는 좋아하는것을 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했고
좀 지나서는 내가 잘하는걸 하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했지만
결혼해서 애키우기 시작해보니 돈잘버는직업이 짱입니다.
현재하는일은 평생해도 좋겠다 싶을정도로 만족하고있고 야근이나 주말엔 근무를 안하니 가족과 보내는 시간은 많아서 좋은데 낮은수입은 금융계쪽으로 빠진 억대연봉자들을 부러워하게 만듭니다.
제가 돈을 조금만 더 벌었다면 더좋은 아들 더좋은 남편 더좋은 아빠가 되어줄수도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요즘 해봅니다.
물론 많이 버는친구들은 저보다 일하는시간이 정말 많더군요...막상 그렇게 되면 가족과는 또 소원해진다는 단점이 있고요
어떤날
11/01/22 07:35
수정 아이콘
좋아하는 걸 직업으로 삼아서 그 열정을 계기로 더 파고들어 잘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직업이라는 굴레에 파묻혀 좋아한다는 감정 자체가 희미해져 버리는, 그런 사람도 있습니다. 속단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저 개인적으로는 제가 잘 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을 했습니다만 주변 여건상 그게 계속 무시되고 밀려나는, 가치를 찾을 수 없는 일이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직까지는 아니고 팀을 옮겨서 완전히 다른 분야를 하고 있는데.. 처음이라 좀 걱정도 되고 어리버리하긴 하지만 이전보다 마음은 더 편합니다. 이렇듯이 꼭 '좋아하는 일을 해라'라는 명제는 절대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124 [일반] 삼성 반도체 핵심 직원 2년 이직 금지 조치 정당 [131] 굄성13479 23/07/04 13479 4
98356 [정치] 직장어린이집 올 예산 60% '싹둑' [47] 동훈14067 23/04/04 14067 0
84286 [일반] 능력 위주 사회의 문제점 - Meritocracy Trap [59] 모모스201314541 20/02/06 14541 19
83048 [일반] 조커가 아니라 파커였다면? (조커의 배경은 몇년도 일까요?) [5] 박진호9090 19/10/09 9090 4
80997 [일반] 대학교들이 정시확대를 원하지 않는 이유 [132] 아유15875 19/04/30 15875 18
78043 [일반] [토막글] 원숭이를 통해 알아본 성차이. [36] kien11777 18/08/29 11777 19
74341 [일반] 한국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문재인, 김연아, 이순신 [100] 홍승식20657 17/10/26 20657 2
73710 [일반] (번역) 직업 선택에 대한 조언 [70] OrBef22677 17/09/12 22677 102
57331 [일반] 사법시험을 허하라! - 계속해서 개천에서 용이 나와야 하는 이유 있는 항변 [105] 콩콩지11384 15/04/02 11384 6
57080 [일반] 내가 문과를 선택한 이유 [4] 꽁꽁슈4693 15/03/20 4693 2
53225 [일반] (스포) 더 기버-기억전달자 보고 왔습니다. [8] 王天君5074 14/08/15 5074 0
46753 [일반] 현대판 음서제 기사 [84] 도도롱이9350 13/09/30 9350 3
46165 [일반] 한국 사회에서 평등이 존중 받을 수 없는 이유 (스압) [40] 잉명성9490 13/08/29 9490 46
46128 [일반] 奇談 - 네번째 기이한 이야기 (5) [7] 글곰4400 13/08/27 4400 3
26856 [일반] 직업 선택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18] Right5360 11/01/21 5360 1
17957 [일반] [이벤트] 드디어 시작됩니다. [1653] Claire8827 09/12/01 8827 4
12314 [일반] KBO의 고교 유망주 해외진출 '봉쇄'규정. [31] OnlyJustForYou4640 09/04/30 4640 0
5728 [일반] 로마 기독교 멸망설과 근대인(역사)(3) [2] swordfish3132 08/05/05 313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