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0/10/19 16:27:42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3월부터 공공장소 흡연시 과태료 10만원 + 금연성공기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랑이
10/10/19 16:33
수정 아이콘
제대로된 흡연공간과 시민의식이 성장되야겠죠.
무작정 담배값만 올려서 지들 돈벌려고만 하지말구요.
RealWorlD
10/10/19 16:34
수정 아이콘
으악.............우려가 현실로.................으앙우왕부왁 ㅠ_ㅠ애앰..에엑...

진짜 끊어야하나..아진짜 슬프네요.. 이제곧 피씨방 흡연석도 사라지려나요..

그런데 옳은일이긴 합니다 단지 마약같은 담배를 피는 1인으로 답답할뿐 ..
위원장
10/10/19 16:26
수정 아이콘
흠... 정말 절박한 일이 있는데 비흡연자라... 담배를 일단 시작해야하나.............. 물론 농담입니다...ㅠ.ㅜ
10/10/19 16:30
수정 아이콘
담배 안 피는데 글 굉장히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크크
홍성훈
10/10/19 16:36
수정 아이콘
기도는 안했는데..1주일째..금연중이네요..저도 한 100일 금연하게 되면 금연하는법 한번 올릴까요???

10년 피우다가 끊기 시작했는데.--;;금단현상이 전혀없어..저도 놀라움.-_-;;

난 첨엔 담배끊으면 죽을줄 알았는데..
고등어3마리
10/10/19 16:48
수정 아이콘
금연을 하려면 딱 2가지 경우만 있는것 같습니다.

하나는 흡연자의 인내심이 정말 강한 경우. 보통 담배끓는 놈하고 상종도 하지 말라는데..그놈이 바로 인내심 강한 놈일것입니다.
둘째는 글쓴분 처럼 계기가 있어야 합니다. 저도 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다보니 담배끓은지 4개월 되가네요.

이렇게 두개말고 뭐해서 끓었더라~ 라는 사람 한명도 못봤습니다. -_-;;
10/10/19 16:50
수정 아이콘
흡연자 분들껜 죄송하지만 일단 외치고 봅니다.
"올레!"

근데 지금까지 경험상 저런건 쿨하게 무시해 줄 사람들 많을텐데 단속을 확실히 했으면 좋겠네요. 법만 만들지 말고.
10/10/19 16:41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고 불만인게 흡연에 대한 제약은 점점 늘어나는데 그에 상응하는 흡연공간은 확충시킬 생각이 없어보인다는겁니다.
내년 3월이라면 반년도 안남았는데 그동안 얼마나 흡연자들에 대한 권리를 보장해 줄지는 지켜봐야 할것 같네요.
나두미키
10/10/19 16:53
수정 아이콘
베프가 하루에 담배 2갑이상 피우던, 흔히 말하는 '골초' 였습니다. .대학때는 술자리가 길어지면 3~4갑은 우스웠죠
(술자리 + 노래방 + 당구장 + etc..)

3년 전인가 신정때 갑자기, '나 이제 담배 끊을래.. 구정부터' 라고 하더군요
'독하다' 라고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는 친구라 (이친구 별명이 '천사'입니다) 에이..설마..
그냥 스트레스 받지 말고 줄이면서 걍 피워 그랬습니다. 그리고 끊을거면 지금 부터 인거지 먼 구정부터냐고...... 구박했는데
지금까지 단 한대도 안피고 잘 버티고 있습니다. 음 아예 끊었다고 생각이 되네요
처음에는 다른 사람들이 피면 같이 피고 싶고, 손떨림이나 불면 등 금연도 있었는데 잘 이겨내더군요.

다들 금연하세요!!!!!!
나두미키
10/10/19 16:53
수정 아이콘
전체는 아니고 '서울'만 이로군요.. 다른 지방자치 단체들도 부디 !!
방과후티타임
10/10/19 16:49
수정 아이콘
걸어가면서 피는거야 요리조리 잘 피해 가면 되는데 , 사실 버스정류장에서 담배피는 사람들 보면 정말 글쓰신분 말대로 하이킥 날리고 싶어지죠. 잘 만들었네요!
달덩이
10/10/19 16:54
수정 아이콘
공공장소에서 흡연시 과태로 ... 좋네요!
제발 공공장소에서는 담배 안 피었으면 좋겠습니다.
mos_hoop
10/10/19 16:59
수정 아이콘
끊는다고 마음만 수십번 먹다가 귀여운 아들 탄생에 맞추어 금연한지 2년 가까이 됐네요.
가끔 담배 피는 꿈꾸고, 일어나서 다행이다 라며 한숨 쉽니다.

의지가 그리 강하지 못한편인 일반인으로써, 뭔가 계기가 있어야지 금연 시작과 함께 유지가 가능하더군요.
금연하시면 자유가 흡연자분들을 기다립니다!!
KillerCrossOver
10/10/19 17:11
수정 아이콘
저도 흡연자이지만 당연히 시행되어야 할 것들이죠.
버스정류장에서 피는 것들 보면 저도 뒷통수 때리고 싶습니다. 크크..

하다 못해 요즘은 고깃집에서도 주변에 애기들 있으면 나가서 피고 오는게
우리들 사이에선 매너로 되어가기에..
점점 필 곳(?)이 줄어들고야 있지만 타인에 대한 배려가 우선이니
대찬성입니다.

..근데 담배 끊어야 되는데 언제 끊을 수 있을런지..ㅠㅠ
언제나
10/10/19 17:02
수정 아이콘
금연한지 한 8년 되었는데 그냥 끊으면 됩니다. 뭐 말이 필요합니까... 뭐 다른 행동 필요없습니다.
그냥 안피면 끝.
10/10/19 17:03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길에서도 피고 버스정류장에서도 피고(불 붙이면 꼭 기다리는 버스가 오는;;) 그랬는데 요즘은 밖에서 아예 안피우네요.
흡연자지만 기사의 정책은 환영. 다만, 흡연 장소는 좀 제대로 마련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비흡연자 옆에서 담배피는건 실례가 맞지만 담배피는 것 자체가 죄는 아닌데 흡연구역은 꼭 지저분한 구석...

여담인데 담배 끊는 것도 그냥 체질인 것 같아요. 저는 금연 시도할 때 금단증상 때문에 정말 힘들고 보조제의 도움을 받아도(니코틴 패치는 효과가 꽤 있긴 하더군요) 여러번 실패했습니다만, 저 만큼 담배 피운 제 친구는 그냥 쉽게 끊더군요. 금단증상도 거의 없다고 하고...;;
감전주의
10/10/19 17:16
수정 아이콘
항상 금연관련된 글이 보이면 하는 얘기지만 10년 흡연하고, 4년째 참고 있습니다..

남자가 결심을 했으면 실천해야지 그깟 담배 하나 못 끊는게 말이나 돼?? 라고 주위 사람들에게 금연을 종용하고 있습니다..
(제 주위에 흡연자는 남자뿐이 없어서 그런거니 오해는 마세요..흐흐)
10/10/19 17:17
수정 아이콘
읔 서울만 해당되는거군요 제길!
이런 좋은 안은 지방의회도 얼른얼른 따라하지 말입니다
엄한 4대강 같은 건 좀 집어치우고
아이유
10/10/19 17:23
수정 아이콘
여자친구 생기면 끊을래요.
냥이낙타
10/10/19 17:41
수정 아이콘
비흡연자이긴 하지만 흡연장 설치 확대에 공감합니다. 반대 급부를 주지않고 막기만 하면, 지키지 말라는 것과 같은 이야기가 되버리니까요.
반대로 비흡연자는 흡연장만 피해서 가면 되고요.
하여간 담배란 피지 않는 것이 돈도 굳고 폐도 지키고 냄새도 안 나는 지름길입니다!(냄새 안 날 것 같죠? 냄새 나요. 담배 핀 직후가 아니라도 냄새 나는 분들 많아요.)
은빛비
10/10/19 17:44
수정 아이콘
아직 1년도 채 안되셨군요..

크크

일단 5년은 끊으셔야..........



담배끊은지 3년 됐지만 아직도 담배 생각나는 1인...

'담배는 끊는게 아니라 참는거다'

맞습니다^^
아우디 사라비
10/10/19 18:15
수정 아이콘
사용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담배값 왕창 올리고 재원 마련해서 공공 흡연소 만들면....
하기야 그러면 저소득층 입자에선 너무 가혹한것 같고...

저도 흡연자지만 정말 아무때나 담배 피우는 사람들 보면 한심하긴 합니다
10/10/19 18:22
수정 아이콘
담배는 끊는게 아니라 참는거지 말입니다. 10년 피고 2년 반 끊고 다시 피는중이죠 흐흐 [m]
무지개곰
10/10/19 18:5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흡연자 분들의 입장도 이해는 하지만 걸어가면서 피우시는 분은 이해가 안갔는데 ...
더 강력하게 제제가 가해지네요 비흡연자에게는 좋은 소식이네요
로보트킹
10/10/19 19:29
수정 아이콘
담배 세금 많이 때리는걸로 아는데
흡연구역 좀 제대로 설치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길거리에 담배피우는사람 단속 확실히 하구요
제가 비흡연자라 길다닐때마다 왜 내가 저사람 때문에 기분이 나빠져야하나.. 하면서 슬금슬금 올라오는 화를 주체할수가 없네요
10/10/19 19:42
수정 아이콘
요즘 담배안피는 추세아닌가요?
심지어 군대에서도 비흡연자가 비율이 더 높았죠
담배안피는 선임은 담배피는 후임한테 담배핀다고 갈구기도 하더군요
제가못배와가
10/10/19 21:38
수정 아이콘
예전 용산역근처에 있는 어머님하고 긴터널길목을 가고있었는데 어떤 상놈 개x끼가 뻔뻔하게 담배를 피며 앞서가고 있었구요. 문제는 터널이라 환기도 안되고 돌아갈수도 없고 그놈은 계속 앞서 빠르게 걸어가기 때문에 추월도 불가능.. 어머님은 호흡기가 안좋으셔서 상당히 괴로워 하셨습니다.. 저도 불쾌했고요.. 그런순간엔 솔직히 주위에 보는사람만 없으면 벽돌로 머리를 내려치고 싶습니다. 옛날에 기분나쁜일 있으면 그런 개x끼들 따라가서 신상좀 털어 봤는데(나중에 나도 스트레스좀 풀어볼려고) 집안이나 관상이나 공통적인게 있습니다. 한마디로 X놈의 그거라고 하죠?
제가못배와가
10/10/19 21:44
수정 아이콘
몇십년전만해도 버스안임산부앞에서도 담배피는게 가능했던 나라에서 뒤늦게라도 생겨서 다행이긴 하지만.. 그렇지만 선진국의 예를 봐도 너무 늦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이런 법만드는 사람들이나 그걸 뽑아주는 사람이나 X놈이 많았다는 생각밖에는..
씨밀레
10/10/19 23:27
수정 아이콘
흡연자분들껜 죄송하지만 이거 정말 좋은 제도네요.
흡연자 분들도 이번 기회에 건강생각하셔서 금연하시길 바라봅니다. 후훗..
오늘도데자뷰
10/10/20 02:35
수정 아이콘
외국 여행을 많이 다녀본 후 느낀 점은 우리나라 사람들 넘 빡빡하네요.
뭐가 됐든지 간에.
간접흡연 자체를 이렇게 해서 줄이는 것은 국민 전체의 건강에 좋겠다지만
이런 식의 강제적인 방식이 아무 저항없이 제도화되고 시행될 거라는 사실 자체가
국민성이 '자유'보다는 너무 '집단'을 지향하는 것 같아서 좀 불만이네요.
오늘도데자뷰
10/10/20 02:38
수정 아이콘
제가못배와가� 님//
선진국의 기준이 어떠하신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다녀본 유럽의 많은 나라, 미국같은 서구 사회에서는 공공장소인 실내를 제외하고는 규정이 없는 걸로 아네요.
제가 도시만 여행해봐서 더 깊게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생기는 이런 제도가 저는 오히려 의아합니다.
이걸 탑다운의 방식으로 위에서 룰을 셋업해줘야 할 문제인가 전 이게 더 희한합니다.
울 나라사람들이 넘 고분고분한 것 같기도 하고요.
Dornfelder
10/10/20 06:0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경우 흡연자의 인식이 선진국과 전혀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강제적인 방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애초에 선진국에서는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는 흡연을 자제해야 한다는 인식이 흡연자들 사이에 있기 때문에 비흡연자가 크게 피해를 볼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젊은 사람들은 조금 인식이 나아졌을지 모르지만, 어느 정도 흡연을 오래 한 사람들의 경우 인식이 너무 떨어져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의 경우, 길거리는 물론이고 극장, 식당 등에서 담배를 피는 것이 너무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비흡연자가 뭐라고 해도 아무데서나 흡연하는 것을 상식으로 여깁니다. 그런 사람들의 생각을 바꿔놓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규제에 의한 것 뿐입니다.
hidarite
10/10/20 10:18
수정 아이콘
버스정류장, 공공장소 뿐 아니라, 길거리에서의 흡연도 같이 포함해서 규제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길거리에서 앞사람이 담배피면서 걸어가면, 그 연기가 그대로 테러공습에,
때로는 정신나간 족속들은, 담배재도 털고 탈탈털어 담배도 꺼서, 담배불똥이 그대로 옷에 튄다는;

일본만 해도 길거리에서 담배피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신오오쿠보의 코리아타운이나, 고탄다나 신바시의 전철역 아래 노숙자공간 빼고는.
hidarite
10/10/20 10:28
수정 아이콘
저도 10년간 2갑씩 담배피고, 끊은지 5년차가 되어가네요. 좀더 빨리 끊었으면 더 좋았겠다, 라는 후회가...
일단, 몸에서 냄새나는것 없어지고, 옷/가방 주머니에 가득차있던 담배잎쪼가리들도 없고,
입에서 냄새나는 것도 없어지고,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훨씬 상쾌합니다. 술마신 다음날도 그렇구요. 운동할때도 숨차지 않구요.

무엇보다도, 행동의 자유가 생겨서 너무 좋아요. 장시간 버스라도 탈라치면 휴게소 언제들르나, 코엑스몰에서 오랜시간 보내면, 언제 나갔다와야되는데, 싶은 생각들. 뭔가의 노예가 되어있다는 그 느낌으로부터의 해방감이 최고죠.

저의 금연의 계기는, '귀찮음'이었습니다. 회사가 갑자기 금연건물로 지정되었는데, 엘레베이터 상황이 최악이어서 대기시간이 보통 5-10분... 어느날 점심시간에 오후에 필 담배 4가치 다 피고 올라갔는데, 그날 죽을뻔 했네요;
그다음부터는, '먼저 담배피자고 청하지않기' 라는 기준만 가지고 생활했어요. 담배 끊는다고 인간관계까지 끊고싶진 않았거든요. 그러다보니 어느새 습관이 되어서 스물스물 안피게 되고, 어느새 담배가 없어도 잘 살수있게 되었더라구요.

근데 생각해보니, '인간관계'때문에 담배 못끊는것 자체가 좀... 그런것으로 끊어질 인간관계라면,다른 어떤 사소한 것으로도 끊겨진다,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담배는 그냥, 습관입니다. 몸에서 원하는 것도 아니구요. 입이 심심하고 쉬는시간이 필요하고 해서 습관이에요.
커피먹는 것이나, 게임하는 것이나 비슷한 습관...

많은 분들이 금연 성공하셨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126 [일반] 지방 이전 추진 대상 공공기관 명단이 나왔네요. [221] 캠릿브지대핳생17835 18/09/05 17835 2
74841 [일반] 공공기관의 신뢰도와 이미지 지형도가 나왔습니다. [62] 아유12066 17/12/04 12066 11
74686 [일반] 文대통령 "직장내 성폭력, 공공기관장·부서장 책임 물을 것" [35] 톨기스12302 17/11/21 12302 10
70575 [일반] 문재인 "공공부문 입사시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 추진" [143] ZeroOne13437 17/02/14 13437 3
69146 [일반] 김용태 曰 "새누리는 대선다가오면 국당과 합친다는것이 당내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118] aurelius16570 16/12/02 16570 14
68566 [일반] 카타르 월드컵 기간 중 공공장소 음주가 금지되었습니다. [28] 예니치카5863 16/11/11 5863 2
63601 [일반] 공공 부문 비정규직 1만5천명 내년까지 정규직 전환 [136] 몽유도원10366 16/02/18 10366 2
61612 [일반] 서울시 공공시설 자판기 탄산음료 퇴출. [190] 비수꽂는 남자13754 15/10/21 13754 8
57640 [일반] 공공기관 취준생인데 너무 화가 나고 분합니다. [98] 카시우스.16830 15/04/18 16830 4
53753 [일반] 공공재가 되어버린 신상정보! 어디서부터 신상털이일까? [28] 포도씨4366 14/09/12 4366 5
49015 [일반] 공공기관, 필수자산 빼고 전부 매각한다 [41] 당근매니아7501 13/12/31 7501 0
48595 [일반] 가격이 폭등할 가능성이 있는 민영화는 반대, 그렇다면 합리적인 공공요금 상승을 공론화할 시기(제목수정) [112] 삭제됨6021 13/12/17 6021 0
43106 [일반] 진주의료원문제, 공공성을 위해 어느정도의 비효율성을 감안해야 하는가. [52] Realise9084 13/04/09 9084 5
34918 [일반] 노인과 공공 질서 [60] 로렌스5468 12/01/26 5468 0
31397 [일반] 공공장소에서의 소란이 있다면.. [26] 포트거스.D.에이5299 11/08/29 5299 0
27069 [일반] 아..이런게 바로 역차별 아닙니까??(공공기관 28% “신입 채용시 여성 우대” ) [107] 부끄러운줄알��7796 11/02/01 7796 0
26933 [일반] 공공장소에서 화장고치는 여성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4] 하늘의왕자10489 11/01/26 10489 1
26711 [일반]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공공장소에서는 좀... [22] 중년의 럴커6287 10/11/28 6287 2
25874 [일반] 3월부터 공공장소 흡연시 과태료 10만원 + 금연성공기 [51] 삭제됨5084 10/10/19 5084 2
15551 [일반] 사람들의 공공시설 사용 인식에 대한 사소한 불평들 [18] 럭스3328 09/08/28 3328 0
6851 [일반] 공공의 적 1-1 을 봤습니다. [10] 마이지저스4241 08/06/19 4241 0
6614 [일반] 촛불집회 한 달,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3) 내 마음 속의 공공 [7] Frodo3000 08/06/08 3000 2
6521 [일반] [공공기관 물갈이] ‘이명박의 사람들’ 기관장 내정 [10] DC 하는 준구씨4024 08/06/05 40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