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0/10/14 00:03:24
Name 뜨거운눈물
Subject [일반] 현 경제상황에 대하여
경제에 관하여 관심은 2년전 이맘때 쯤 미국 리먼브라더스 부도사태이후
엄청난 환율 상승과 코스피가 연일 떨어지며 인터넷에서는 미네르바의 이슈
등등으로 그때 부터 본격적으로 경제에 대하여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 세계경제와 대한민국 경제는 갈림길에 서있는거 같습니다
여기서 저의 생각을 밝히고 여러분들의 현 경제상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 부동산의 문제

지속 되는 걱정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정부에서 규제를 풀어도 부동산시장은 꽁꽁 얼어있고
오르라는 집값은 안오르고 전세값만 오르니 집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속이 터질 지경이죠
거기에 장기적으로 보면 부동산은 하락세라고 생각하는데 이에 대한 저의 생각은
현재 집을 구입해야 하는 세대(30대~40대)와 10년뒤 집을 구입할 지금 20대의 경제력은 과거에 비해
엄청나게 외소해졌으며 앞으로 계속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누가 과연 집을 구입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집값하락이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러한 집값 하락에 의한 우리 경제의 충격을 어떻게 흡수해야 할지.. 걱정입니다

2. 환율 문제
최근 환율 문제는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일본 그리고 중국과 미국의 복잡한 이해 관계에
따른 문제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환율문제도 유심히 봐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수출지향적인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원화가치가 떨어지는 환율상승이 우리나라에게는 무척 유리하지만
최근 3개월동안 1200원대가 깨지며 1100원대에 진입 어떤 사람들은 1000원대로 진입할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옆 나라 일본은 엔고현상을 막기 위해 정부가 개입했지만 엔고현상이 지속되는 모습 때문에
일본정부가 무척 큰 고민에 빠졌다고 하는군요

3. 출구 전략
경제 위기이후 전세계적으로 각 정부들은 엄청난 돈을 풀었고
언제 다시 돈을 빨아드릴까라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어떤 사람은 더블딥에 빠질 우려가 있으니
출구 전략은 아직 안됀다라는 의견과 어떤 사람은 출구 전략이 늦어지면 인플레 압박과 다시 경제에 거품이 생길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출구전략이 늦어지면 안돼다는 의견으로 나눠졌습니다. 솔직히 정답을 모르겠습니다.
이래나 저래나 리스크가 있으니 리스크가 없는 쪽으로 잘가야겠죠?

내일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정부측은 어떻게 현재 경제상황을 진단하느냐 라고 보이겠네요
여러분들은 현 경제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관리지
10/10/14 00:22
수정 아이콘
아마 힘들껄요~금리인상하게 된다면......환율이 너무 변동될듯 싶네요..지금도 힘들텐데~

현상태는 환율전쟁상태로 중국과 미국이 쌈이 났죠.

물론 미국이 이기긴 하겠지만..키는 중국이 쥐고있다는것도 무시할수없죠~

국채도 어마어마하게 사모으고있고요.

당분간 출구전략은 물건너갔죠.
honnysun
10/10/14 00:41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고 부동산쪽은 집 한채 이상의 경우는 대부분 투기라고 생각하기에.. 집을 다수 보유한 사람들에게 세금 좀 팍팍 때리고~ 부동산 거품도 많이 빠지길 바랍니다.
28살 2학년
10/10/14 00:53
수정 아이콘
현재상태에서 부동산이나 환율문제는 어떻게 보면 난이도가 덜한 떡밥이죠.
부동산은 국내변수를 환율문제는 국제변수를 포커스로 보면 되니까요.

윗분말씀대로 금리문제가 최근의 큰 딜레마죠.
분명히 지금 우리나라의 물가상승은 임계점에 다다른 상태이고 시중의 M2의 증가도 상당합니다.
여기에 2.25%인 현 금리 또한 많이 비정상적인 상태이기에 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미국이나 일본이 돈을 풀거나 금리를 내리는 와중에 우리가 금리를 올려버리게 되면 금리가 높은 우리쪽으로 돈이 몰리게 되고
이렇게 되면 가뜩이나 환율하락 속도가 가파른데 여기에 부채질(사실 부채질이 아닌 태풍이죠..)을 할 수가 있기에 참 난감한 상황입니다.

일단 시장전문가들은 약 60% 정도가 이번에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은이 물가상승을 더이상 좌시하지는 않을거라는거죠.
저 또한 조심스럽게 금리인상쪽에 베팅하고 있습니다. 김중수 한은 총재가 저번에 밝혔듯 단계적으로 몇차례 금리를 인상할것이라 한데다가,
최근의 급격한 물가상승을 물가관리의 핵심주체인 한은이 가만 두고보지는 않을거라는 생각입니다.
10/10/14 03:48
수정 아이콘
엔고현상이 일본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실분

일본도 엔고 현상때문에 힘들어 죽겠다는 말은 많이 봤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힘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정독하겠으니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10/14 10:40
수정 아이콘
이런 글은 자게 쪽이 좀더 괜찮을꺼라는 생각도 드네요. 좀더 활발한 논의도 이뤄질 것 같고..
Zergman[yG]
10/10/14 12:22
수정 아이콘
1번과 3번은 서로 맞물리는 문제죠
지금 현재 부동산 상황은 최악의 국면으로 치달아가는 상황이고
거기에 출구전략 시행으로 금리까지 올라가버리면 대대적인 부동산 정책 수혈 이외에는
답이 없어보입니다.
부동산은 향후 10년간 일부 지역 빼고는 답이 없어보이긴 하네요
지구사랑
10/10/14 15:59
수정 아이콘
단기적으로는 예측하기 어렵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답이 이미 나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거가 그대로 되풀이 되지는 않더라도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70년대 초 베트남 전쟁으로 인한 부채에 시달린 미국이 금 태환 정책을 포기하면서까지 달러를 확 풀고, 표면적으로는 오일 쇼크를 명분삼아 인플레이션을 일으켰습니다. 70년대의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은 80년대의 엄청난 긴축 정책으로 간신히 잡혔죠.
이번의 금융 위기로 늘어난 국가 부채를 그대로 갚을 리 없는 미국이 역시 비슷한 짓을 하고 있다고 봅니다. 지금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못해서 안달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 저것, 앞서거니 뒷서거니 돈을 제외한 모든 것들의 가격이 오를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은 오르는 것이 아니라,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죠. 문제는 균등하게 오르지 않는다는 겁니다. 제대로 된 출구 전략? 글쎄요, 건전한(?) 경제로 멋지게 회복을 하면 이번 금융 위기로 진 엄청난 부채를 미국 정부가 제대로 갚아야 합니다. 그런 짓을 과연 할까요?

PS) 미국이 만일 위와 같은 마음을 먹고 있다면, 한은이 인플레이션을 막을 정도로 금리를 올릴 수는 없을 것으로 봅니다. 금리를 그렇게 올리면, 즉 우리 나라의 인플레이션을 그렇게 막으면,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이야기이므로 환율이 하락할 수밖에 없고, 이는 우리 나라 기업들의 대외 경쟁력에 상당한 악영향을 줍니다. 달러가 기축 통화인 이유로, 알면서도 인플레이션을 따라 일으킬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물론 이 모든 의견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830 [일반] 하품 때문에 눈물을 흘리다 [3] 뜨거운눈물3820 10/10/17 3820 0
25751 [일반] 현 경제상황에 대하여 [9] 뜨거운눈물4674 10/10/14 4674 0
25589 [일반] 좋은 앨범이 출시 되었습니다 [4] 뜨거운눈물4959 10/10/07 4959 0
25565 [일반] 요즘 군대이야기 [45] 뜨거운눈물6887 10/10/06 6887 0
25521 [일반] 타블로 관련 논란이 끝나지 않은것 같습니다 [115] 뜨거운눈물9779 10/10/04 9779 0
25381 [일반] 내가 그녀를 잊지 못하는 이유 [4] 뜨거운눈물4254 10/09/27 4254 0
25317 [일반] creep의 여러가지 버전들 [23] 뜨거운눈물6862 10/09/24 6862 0
25233 [일반] 내가 알고있는 우울한 노래들 [5] 뜨거운눈물4123 10/09/19 4123 0
25022 [일반] 어느 풋사랑 이야기 [1] 뜨거운눈물3375 10/09/12 3375 0
24761 [일반] 통기타 배우고 싶은 짧은 영상 [19] 뜨거운눈물4942 10/08/31 4942 0
23475 [일반] 잉여인간 [24] 뜨거운눈물5912 10/07/13 5912 0
23244 [일반] 푸념)살빼기가 이렇게도 힘든가 ㅠㅠ [28] 뜨거운눈물4200 10/07/01 4200 0
22639 [일반] 떠나간 연인을 그리워 하며 쓴 노래들 [10] 뜨거운눈물5737 10/06/06 5737 0
22106 [일반] 바이브 4집에 대하여 [14] 뜨거운눈물4288 10/05/21 4288 0
18119 [일반] 군대갑니다. [11] 뜨거운눈물3596 09/12/08 3596 0
17896 [일반] 보편적인 슬픔 짝사랑 [5] 뜨거운눈물3463 09/11/28 3463 0
17773 [일반] 어제 KBS스페셜 꿈꾸는 자들의 섬 노량진 [22] 뜨거운눈물7214 09/11/23 7214 0
17630 [일반] [잡담]정말 매력있는 여자분의 기품있는 스타일 [30] 뜨거운눈물18773 09/11/18 18773 1
17607 [일반] 제 눈은 여자분들에 사소한것들이 잘 보이네요 [59] 뜨거운눈물6201 09/11/17 6201 0
17339 [일반] 우리는 2013년을 볼 수 있을까요? [68] 뜨거운눈물6843 09/11/08 6843 0
16517 [일반] 동전한닢(remix) [30] 뜨거운눈물8372 09/10/07 8372 0
16446 [일반] 정말 그녀는 아름답네요.. [6] 뜨거운눈물6867 09/10/05 6867 0
16356 [일반] 나의 군전역날짜는? [40] 뜨거운눈물4976 09/09/30 49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