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10/27 15:59:57
Name 친절한 메딕씨
Subject [일반] [야구]광주시 돔구장 건설 확정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2942238

국내 3대 건설사 중 하나가 검토하고 있다고 그랬는데 그게 포스코건설이었네요

몇일전에 광주의 그린벨트를 풀어줄것을 요청했다고 하던데
역시나 그게 그 수순이었습니다.
이로써 광주는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야구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을거 같네요

전주에 살고 타이거즈 팬인 저로선 정말 반가운 소식입니다.
1시간... 넉넉히 잡아도 1시간 반이면 갈 수 있는 거리에 타이거즈 홈구장.. 그것두 돔구장이라니..흐흐
더욱 야구를 보러 많이 다닐거 같습니다.

그러나 정말 그럴일은 없으면 좋겠지만..
그린벨트가 안풀려서 포스코가 건설을 포기해버린다면...
에이.. 그럴리는 없겠죠..

내년 착공에 들어가면 빠르면 2012년, 2013년 시즌 부턴 돔구장에서 타이거즈 경기를 볼 수 있겠네요..
아.. 생각만해도 흥분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대구청년
09/10/27 16:01
수정 아이콘
대구도 포스코가 돔구장건립을 맡는군요!! 덩실덩실~
NarabOayO
09/10/27 16:01
수정 아이콘
드디어, 한국에 돔야구장이 생기네요. 기아팬분들 축하드려요.
LG팬으로서... 십여년전부터 계속 생기리라 믿고 있다가 까먹었었는데...
파페포포
09/10/27 16:03
수정 아이콘
그런데 꼭 돔구장이 필요할까요?
광주나 대구의 인구와 경제규모를 고려했을때 돔구장은 너무 무리수를 두는게 아닌가 싶네요.
그냥 일반구장으로 신축만 해도 충분히 야구 할만할것 같은데..
타나토노트
09/10/27 16:03
수정 아이콘
09/10/27 16:04
수정 아이콘
굳이 돔구장일 필요가 있을까요..
건설비용이나 유지비용이 엄청날텐데 과연 수익을 맞출수 있을지.

대략 2만석 가량의 편의시설 잘된 구장정도만(혹은 씩이나) 되도 충분할텐데..
무엇을 노리고 돔구장에 집착하는지를 모르겠네요.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것이고 수익창출 모델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mou는 말그대로 각서일뿐이죠.
착공 들어가기전까진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higher templar
09/10/27 16:05
수정 아이콘
뭐 국민혈세만 안쓴다면야 돔구장을 2층으로 짓던 말던 상관이 없으니 환영이죠^^
Ms. Anscombe
09/10/27 16:05
수정 아이콘
정말로 실행될 것이 얼마나 될 지 의문도 들고.. 굳이 돔에 매달려야 하는지도 의문이고.. 과연 그 관중석을 잘 채울지도 의문이네요..
퍼플레인
09/10/27 16:06
수정 아이콘
1. 돔구장보다는 일반구장이 훨씬 나을 것 같고

2. 왜 '굳이' 안그래도 줄어드는 추세인 그린벨트를 돔구장을 짓기 위해 풀어야만 하는지 의문이고

(전 광주/대구 사람이 아니라 모르겠습니다만 경기장 지을 부지가 그린벨트 아니면 없을까요?
아니면 이참에 그린벨트를 풀어 개발특수를 좀 노려보겠다는 의도일까요?)

...뭐 그렇군요.
달덩이
09/10/27 16:07
수정 아이콘
... 그냥 이쁜 야외구장이나 하나 지으면 좋겠구만...-_-
NarabOayO
09/10/27 16:08
수정 아이콘
한가지 궁금한것이 있는데요, 돔경륜장은 이미 한국에 2곳이나 있는데요(광명시, 창원시)
돔경륜장과 돔야구장의 규모크기는 야구장이 더 크긴 하겠지만 경륜장도 절대 작은 편은 아니거든요.
(한바퀴가 333m이기때문에 경기장 자체도 작은 편은 아니구요, 관객도 3만명 수용합니다)

경륜장이 원체 도박을 하는 곳이지만, 배팅액의 4%만을 가지고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환급 70, 세금 26)
우리나라 야구팀들이 이정도 건설하고, 운영할 능력이 없나요?
친절한 메딕씨
09/10/27 16:08
수정 아이콘
파페포포님// 수익성만 보장된다면 돔구장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롤모델을 서울 월드컵경기장으로 잡지 않았나 보구요

대기업 건설회사에서 이런 수익구조조차 파악하지 않고 건립할 계획을 세웠을거 같진 않구요

1. 4천억을 투자해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발생한다
2. 1천억을 투자해서 야구만 한다. - 결국 이것두 적자

저라면 2번을 택할거 같은데요.
가짜힙합
09/10/27 16:09
수정 아이콘
MOU는 계약서가 아니라서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니 삽 뜨기전까지는 아직 모르는거죠..
그래도 꼭 지어졌으면 하긴 합니다만.. 돔구장이라고 하니.. 괜히 선거용으로 일단 질러보는건 아닌지 걱정되네요..

파페포포님// 저도 동감합니다.. 왜 그렇게 돔구장에 목을 매는건지..
4천억에 달하는 건설비용을 대체 어떻게 민간유치할려고 하는건지.. 그리고 짓어진다고 해도.. 그 유지비용은 어떻게 할려고..
돔구장 하나 짓을돈이면 광주, 대구, 대전에 오픈형 괜찮은 구장 다 짓겠구먼..
09/10/27 16:10
수정 아이콘
포스코는 안산 돔구장 건설에도 응모하고
포스코 건설이 정말 수익을 내서 현대 건설의 시가총액을 따라 잡을려고 저러는건지
포스코의 기업이미지를 향상시키기위한 마케팅 전략일지는 잘 모르겠지만
대규모 투자를 하는군요;
대구청년
09/10/27 16:11
수정 아이콘
솔직히 돔구장이 낭비인게 없지않아있지만 대구에서 여름에 경기를 볼려면 아주각오하고봐야하기때문에.. 그저 반갑네요..
Je ne sais quoi
09/10/27 16:11
수정 아이콘
회사원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MOU는 그냥 우리 잘해보자~ 하는 것 이상의 의미는 전혀 없으니... 완공되서 타이거즈 경기가 열리는 날이 오지 않는 이상 믿을 수는 없군요 -_-a
GutsGundam
09/10/27 16:11
수정 아이콘
돔구장 보다는 그냥 일반 구장이나 제대로 지어주면 안될까요?
퍼플레인
09/10/27 16:12
수정 아이콘
친절한 메딕씨님//
그 수익성 때문에 굳이 그린벨트를 풀어야만 짓겠다고 하는 게 아닐까도 싶습니다.
컨소시엄 형태로 해서 민자 유치하겠다고 하면 뭐.... 4대강도 하는데 그것쯤이야-_-a
Old Trafford
09/10/27 16:12
수정 아이콘
그냥 2만석 내외의 일반구장정도면 될텐데 왜이렇게 집착하나요 광주에 3만석규모의 경기장이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에 3만규모의 돔구장을 유지할 수있는곳은 부산과 서울뿐이 없다는 얼마전 기사가 생각나네요 수익이 날려면 상암월드컵같은
구조로 지어야 할텐데요 쇼핑몰등이 입주 할 수 있는 근데 광주라 말이죠
지나가다...
09/10/27 16:19
수정 아이콘
흠.. 돔구장은...

국민 혈세가 안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건설비는 둘째 치고 유지비 절대 못 뽑습니다. 서울에 지어서 입장료 팍 올리고 각종 콘서트에 행사 유치해도 될까말까일 텐데...
친절한 메딕씨
09/10/27 16:19
수정 아이콘
퍼플레인님// 네 저역시 그린벨트를 풀어야만 한다는게 조금 아쉽긴 합니다.

그래도 야구팬으로서 돔구장좀 지었으면 합니다.
4천억이 적은돈은 아니지만 4대강과 비교하시는 건 좀..

4대강이야 멀쩡한 강을 뒤엎어서 국민들이 원하지도 않는데 더 좋게 만들겠다는 거 아닌가요?
가장 중요한 국민들의 혈세를 뽑아내서 말이죠..
퍼플레인
09/10/27 16:20
수정 아이콘
Je ne sais quoi님// 그 이상의 의미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법적 구속력이 전혀 없다고 볼 건 아니라서요. MOU 문안을 봐야 알 수 있는 사안입니다.

친절한 메딕씨님// 위에 지나가다 님이 말씀해주셨습니다만 돔구장 건설에 혈세가 전혀 안 들어갈 거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싶습니다. 건설비도 4천억쯤 되면 어떤 식으로든 국고지원 요청 들어갈 것 같고, 유지비의 경우에는 더더욱 광주시가 부담할 가능성이 높아지겠지요. 포스코건설의 총자산규모가 2조 정도라는 걸 생각하면, 4천억은 미션 임파서블에 가깝겠는걸요.
lotte_giants
09/10/27 16: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일본 라쿠텐의 홈구장 크리넥스 스타디움(22,187석)이나 히로시마의 마츠다 줌줌 스타디움(33,000석)처럼 짓는게 가장 나아 보이는데 말이죠. 이정도만 되어도 야구 볼맛 날텐데요. 근데 대구에 돔구장 지을 만한 데가 있나요?? 월드컵경기장 옆이라면 접근성이 GG수준인데......두류공원은 대구시측에서 반대한다고 들은것 같고;
크리넥스 스타디움
http://ko.wikipedia.org/wiki/%ED%81%B4%EB%A6%AC%EB%84%A5%EC%8A%A4_%EC%8A%A4%ED%83%80%EB%94%94%EC%9B%80
마츠다 줌줌 스타디움
http://ko.wikipedia.org/wiki/%EC%8B%A0_%ED%9E%88%EB%A1%9C%EC%8B%9C%EB%A7%88_%EC%8B%9C%EB%AF%BC_%EA%B5%AC%EC%9E%A5
survivor
09/10/27 16:21
수정 아이콘
일단 광주와 광주시민에게는 축하의 인사를 하지만 일단 일반구장을 좀 제대로 갖춘다음에 해도 늦지 않을것 같은데요.
리버풀 Tigers
09/10/27 16:21
수정 아이콘
돔구장이라... 하하.. 야구는 야외에서 해야 제맛이거늘...(대구는 그래도 돔구장이 나을듯...)

기아 성적 떨어지면 날리는 파리들을 어찌 감당하려고...

혹시 광주 그린벨트 지역 아시는 분 계시나요?
지나가다...
09/10/27 16:24
수정 아이콘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또 현실적인 구장은 히로시마의 마즈다 줌줌 스타디움이 아닐까 합니다.
규모는 조금 작게 해서 말이죠.
09/10/27 16:27
수정 아이콘
삼성팬으로써 반갑네요~
그러나 왠지 모를 이 불안함이 엄습해오는 이유는?
파벨네드베드
09/10/27 16:32
수정 아이콘
일단 광주 대구야 시설 노후하기로 손꼽힐 만한 구장이니
돔구장짓는거 대찬성입니다

포스코에서 두개다 짓는다니
설계비용나 자재구입비용 역시 각각 따로 짓는것보다 훨씬 더 싸게 먹힐것 같네요
똑같은 설계도로 지어서 하나는 호랑이 하나는 사자 이렇게 붙이면 되는건가요 흐흐

다만 하도 돔구장 떡밥에 많이 속아서
우리 애들이 거기서 경기하는걸 봐야 믿을수 있을듯..
아스카짱
09/10/27 16:43
수정 아이콘
포스코에서 만든다고 하면 안산에 지을 돔구장은 현대에서 만드는게 거의 확정인건가요
하긴 원제안자가 현대건설이긴했지만 -_-;
C.P.company
09/10/27 16:43
수정 아이콘
그냥 문학 정도로만 지어줘도 감지덕지임.;;
공업셔틀
09/10/27 16:44
수정 아이콘
1. MOU라면 보통 그야말로 memo수준이라 확정이라고 하긴 좀 그렇죠.
일반기업체에서 MOU 10번 써도 그 중에 본계약서 한번 쓰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이 경우는 조금 특수하긴 합니다만.
퍼플레인님 말씀처럼 내용을 봐야 알겠지만 제 예상에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된 부분은 아직 나오기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그럴수록 구속력이 떨어지는 거죠.

2. 우리나라 같은 경우 날씨 영향이 좀 심하긴 하지만
그래도 굳이 돔구장을 고집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개폐식 구장으로 가지 않는 한 돔구장은 인조잔디로 갈 수밖에 없는데
야구를 위해서도 선수들을 위해서도 천연잔디 구장이 훠얼~씬 좋은데 말이죠.
개폐식으로 가자면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3. 아마도 BTO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모양인데
요게 쉽게 말해서 땅은 시가 대고 공사비는 건설회사가 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소유권은 시가 갖게 되지만 대신 건설회사는 일정기간 (통상 20~30년) 운영권한을 갖게 되죠.
이 운영권을 이용해서 임대분양으로 회사가 투자한 금액을 보전한는 구조입니다.

야구장의 임대권한은 시로갈지 회사로 갈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이런것도 아직 안 정해져있지 않을까 싶네요)
건설회사의 수익은 야구장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부대시설로 지어지는 건물들을 임대분양해서 나오게 됩니다.
통상 마트라든지 상가, 영화관 이런것들을 함께 지어서 분양을 하게 되죠.
즉 건설회사 입장에서는 돔이든 실외구장이든 크게 상관은 없다는 거죠.(돔이면 집객력이 좀 더 높아서 부대시설 분양가가 높아지는 부분은 있겠지만서도 공사비가 그만큼 더 드니까 메리트가 없습니다.)

제가 보기엔 오히려 시에서 더 돔구장쪽으로 추진하지 않나 싶네요.
시는 땅만 투자하니 기왕에 땅 투입하는거 민간자본을 조금이라도 더 끌어들이고 싶겠죠.
정치적으로도 야외구장보다는 돔구장이 파급력이 더 있다고 볼테고요.
말하자면 돔이 아니라면 민간사업자에게 사업권을 줄 수 없다고 시쪽에서 주장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실제 야구 자체를 위해서는 그다지 현명해 보이지 않네요.
벤카슬러
09/10/27 16:50
수정 아이콘
리버풀 Tigers님//
2002년 쯤에는 지금 월드컵경기장 자리에 짓는다는 '설'이 있었는데 '설'로 끝났구요...
지금까지 제가 들은 비공식적인 소문에 의하면 서창동, 옥동... 뭐 이런 데가 있다네요.
풍암동은 좀 힘들 듯... 월드컵경기장 지어지고 풍암지고 개발되면서 땅값이 후덜덜하게 올랐겠죠.
(서창동은 풍암동 옆 시골동네, 옥동은 소태 지나서 지하철 종점 차량기지 있는 곳 -_-;;;)
아니면 광산구 쪽을 알아보는 게 나을 듯... 어차피 이제 광주 시내쪽에서 가까운 곳은 땅 없습니다.
광주시가 2000년 이후로 실속은 없이 아파트단지만 주변에 왕창 늘려놔서 땅값이 모두 후덜덜하죠 -_-;;;
아시아자동차 공장 지을 때나 월드컵경기장 지을 때처럼 지역 유지분들이 땅을 좀 기증해준다면
생각보다 빨리 지어질 수는 있겠지만... 그런 일이 또 일어날지 모르겠구요.

그렇지만, 저는 삽 뜨기 전까지는 믿지 않을려고 합니다. 뭐 한두번 당하나...
그리고 제 생각에도 돔구장은 절대(!) 반대입니다. 안그래도 광주시가 광역시 중 재정자립도 꼴지인데 ㅠ.ㅠ
4000억이 어디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뉘집 개이름도 아닌데 포스코나 광주시 공무원들이나 쯧쯧
09/10/27 16:57
수정 아이콘
NarabOayO님// 말씀하셨다시피 입장료의 4%가 아닌 베팅액의 4%는 적은 금액이 아니죠
어느 도박장이든 도박장 총 베팅액의 4%는 대박인거죵 ^^;
홍스매니아
09/10/27 16:57
수정 아이콘
벤카슬러님// 저도 동감합니다..

그런데 그린벨트라고 하면.. 서창동쪽은 공항쪽에 가깝기 때문에 힘들지 않을까 하고..
오히려 인프라가 좋게 되나요?..
음.. 지하철에.. 공항에..

옥동에 만약 짓게 되면.. 버스종점과 지하철 종점이 있기 때문에 어찌 될지 모르겠지만
교통량이 후덜덜해질거 같은데..

전 첨단에서 담양나가는쪽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봤는데.. 이건 제 생각뿐이겠지요?
그쪽도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논밭도 많고.. 고속도로 근처이고 .. 담양간 국도 확장되면서 교통량도 어느정도 감수가 될거 같고..

그렇지만, 저는 삽 뜨기 전까지는 믿지 않을려고 합니다. 뭐 한두번 당하나... (2)
Je ne sais quoi
09/10/27 16:59
수정 아이콘
퍼플레인님// 아 물론 상황 따라 다르긴 하지만 사기업간의 MOU가 아니라 공공기관과 사기업의 MOU인 경우는 정말 그럴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야 당연히 법적 구속력이 생겨서 이번에 안 지으면 사인한 x들 다 날아가면 좋습니다 -_-;
홍스매니아
09/10/27 16:59
수정 아이콘
흠.. 복합테마타운인거 보니 서창동쪽이 유력하겠는대요~~

공항근처라서 소음이 장난아닌데..
Into the Milky Way
09/10/27 17:05
수정 아이콘
mou는 그냥 관심이 있으니 한번 만나나 보자 수준이고

BTO방식의 사업진행이라면 향후 운영을 통한 수익이 보장되어야 할 수 있는데
솔직히 광주에서 "돔구장"을 지어서 그 수익을 보장 받을 방법은 없어 보입니다.

광주 시내 중심에 지어서 마트나, 영화관, 예식장 등으로 성업해야 되고
각종 행사 등으로 대관 요청이 심심찮게 들어와야 그나마 유지가 되는데
지금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게 되는 건 "상암월드컵경기장" 뿐입니다.

지금 기아 우승 했다고 공무원들 또 선심성 기사 내는 모양인데
월드컵 열기에 편승해서 시민구단 창단 한답시고 가입금 냈다가
창단 못하고 가입금을 돌려받네 마네 하고 난리부르스를 추었던 전례를 비추어
볼때 또하나의 선심성 헤프닝일 가능성이 무척 높습니다.
NarabOayO
09/10/27 17:08
수정 아이콘
어...님//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4%가 적다는 말이 아니라,(1년넘게 광명경륜장 알바를 해서 아는데요,
하루에 보통 90~110억을 벌고, 주 3일을하니 월 1200억정도의 매출-> 48억 수익인데요
이 돈은 경륜장은 물론, 많은 가맹점들 운영에 쓰여야 하는데요. 사실 창원경륜장은 훨씬 이하의 수익입니다.)
프로야구가 기업입장에서는 사회환원적인 느낌이 짙기도 하고,
돔구장 설립에 드는 돈이 돔구장 이익 창출 + 기업의지원이 불가능 하느냐입니다.
벤카슬러
09/10/27 17:10
수정 아이콘
Into the Milky Way님//
공감 100%입니다.
광주광역시 공무원들이 프로스포츠 팀들에게 했던 행정들을 열거하자면
거의 뒷목잡을 수준이라 -_-;;;
코리아텐더(구 나산플라망스, 현재 부산 KT 소닉붐) 팀이 여수로 간 걸 생각하면 어휴~~~~~~
시민구단 어쩌구 쇼하다가 결국 창단한 것이 '광주 상무 불사조'니 말 다했죠.
광주가 야구도시가 된 것은 80% 이상 공무원, 행정가들 잘못입니다 -_-;;
세레나데
09/10/27 17:25
수정 아이콘
돔이든 야외든 제발 좀 지읍시다...-_-
최유형
09/10/27 17:32
수정 아이콘
저는 다른건 잘 모르지만 김형준기자가 일본의 돔구장을 방문하고 작성했던 기사가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돔중에서 가장 성공한 곳은 인구수 3000만의 메가시티, 그중에서도 교통의 요지에 조성한 복합 문화공간, 거기에 일본 최고 인기 구단 요미우리가 플레이하는 도쿄 돔 시티입니다. 관동이 있는데 관서가 없어서야! 라는 자존심 하나만 가지고 만든 쿄세라돔은 시망이죠. 인구수 140만에 주변 다 끌어모아야 300만인 광주에 그것도 중심부도 아닌 외각에 돔을 짓는다는 것은...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타이거즈 올시즌 70만 조금 못 들어왔나요? 10년전에는 총 관중이 7만이었던 시절도 있습니다.

걍 만들어주면 좋은거 아니냐..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일반 구장에 비해서 관리비가 후덜덜하게 들어가는 돔구장인 만큼, 존재만으로도 재정의 블랙홀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티켓가격도 많이 오를겁니다. 도쿄돔 좌석이 내야 지정 6만원에 외야석 2만원 정도랍니다. 경기가 없을때 반드시 유치해야할 여타 행사들도, 김대중 컨벤션 센터같은 곳과 경쟁해야 합니다. 필연적으로 손실이 날테고, 아마도 그 손실은 지방의 재정으로 메울수 밖에 없을 겁니다.

저는 야구는 실외 스포츠이고 천연잔디 위에서 바람을 맞으며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더우면 더운데로, 추우면 추운데로, 비가오면 방수포를 깔고, 비가 심하게 오면 더블헤더나 월요일 경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돔구장이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돔구장을 접근하는 가장 큰 관점은 돈과 경제의 관점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의 중심가에 인기구단 두팀이 같이 사용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돔이 아니고서는 돔을 반대하던 김형준기자의 기사에 공감합니다.
Into the Milky Way
09/10/27 17:39
수정 아이콘
최유형님 / 동감합니다. 도대체 경제성 분석은 안드로로 가고 선심성 가쉽성 이야기만 나오는
"돔구장 떡밥"이 진심으로 지겹습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서울의 중심가에 인기구단 두팀이 같이 사용하는 복합 문화공간으로서의 돔이 아니고서는 돔을 반대하던 김형준기자의 기사에 공감합니다.(2)

덧붙여 엘지에서 그 당시 뚝섬에 돔을 지었으면 어찌 되었을 까 잘 되었을까가 갑자기 궁금해 지네요.
헤나투
09/10/27 17:42
수정 아이콘
대구는 역시 월드컵경기장 부근이 유력하네요. 제발 그곳만은 아니였으면 했는데...
지어주는것만으로도 고마워 해야하는걸까요...
달덩이
09/10/27 17:44
수정 아이콘
Into the Milky Way님// 그 돔구장 계획은... 하아. 저는 그 계획나올때 2005년쯤에서는 엘지 경기를 돔구장에서 볼 수 있을 거라고 믿었는데 말이죠.......
09/10/27 17:47
수정 아이콘
헤나투님// 지금 시민운동장 부지 참 좋은데 안타깝네요.
월드컵 경기장도 있고하니 시민운동장쪽 축구장을 밀어버리고 야구장과 복합레져타운으로 조성되면 어떨까 상상만 해봅니다.
여자예비역
09/10/27 17:48
수정 아이콘
부지 확실히 사서 삽뜨기 전까진 절대 안 믿을래요.. 대충할 사업도 아닐 뿐더러...
그깟 MOU, 강제성도 없고, 포스코가 사업성 없어서 도저히 못하겠다고 엎어버리면 끝나는 걸요.. 쳇..
왠지 올해 MOU 해결하고, 내년에 지방선거서 광식이 동생 또나왔는데 또 되고...
그후에 포스코에서 [부지선정에 어려움, 사업성 없음을 이유로 돔구장 포기] 기사가 뜰것 같은 예감이라면..
제가 넘 까칠한걸까용???
09/10/27 18:03
수정 아이콘
아마 내년이 지방선거죠.

이 한마디로 현재 나오는 구장관련 기사들이 다 설명된다고 생각합니다.

블리자드의 게임출시일 드립과 대구광주의 구장드립은 동급입니다.

내컴에 인스톨 하기전까지 믿으면 안되고 표 끊어서 구장에 앉기전까지 믿으면 안됩니다.
나두미키
09/10/27 18:21
수정 아이콘
굳이.. '돔?' 이라는 생각은 듭니다만, 어쨌거나.. 구장 신축에 대해서는 좋군요.
선거 관련한 공약이 아니었으면 하고, 그리고 가능한 그린벨트는 그냥 유지해주었음 하는 바램이라죠.
민죽이
09/10/27 18:23
수정 아이콘
보수가 아닌 새로 지울꺼면
이왕 짓는거 돔이면 좋겠군요.. 타이거즈 팬으로서..
근데 올해처럼 성적 못내면 파리 날릴텐데 걱정입니다.

광주 월드컵 경기장도 별로 유용하게 쓰이는거 같아 보이진 않던데
설레임
09/10/27 18:35
수정 아이콘
삽을 떠도 믿기 어려운게 구장 신축 기사인데 말이죠~
그런데다 돔을 짓는다 그러니 믿음이 0%도 안가네요. 완공기사가 나야 실감이 날텐데..
쑤마이켈
09/10/27 18:35
수정 아이콘
대구 사는데, 돔은 무슨.......... 그냥 경기장 2~3만석으로 깔끔하게 지어주던가요. 위치는 어디든지 상관없으니.
돈 더 쓴다면 하프돔으로 짓던가요. 또 뻥일 가능성이 높고, 뻥이 아니라고 해도 적자나는건 뻔한일이네요.
리오넬메시
09/10/27 19:07
수정 아이콘
대구에 돔구장 앗싸라비야 경사났네^^ 게다가 걸어서 5분 이게 꿈이냐 생시냐~~~ 축구도 야구도 이렇게 가까이서 볼 수 있다니~~~ 첨에 대구 외곽에 이사와서 별로 안좋아했었는데 시간이 지나니 이렇게 또 좋아지네요 크크크
리버풀 Tigers
09/10/27 19:10
수정 아이콘
Into the Milky Way님// 뚝섬 LG돔에 관한 비화에 대한 스포츠2.0에 실렸던 박동희 기자님 글이 생각나네요...
대충 찾아보니 이글 같네요. http://cafe.naver.com/lovegiant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746

이때 지었어야 했는데 말이죠... 그때는 모두가 무지했던 상황이라 저렇게 된듯 싶네요.
Cedric Bixler-Zabala
09/10/27 19:13
수정 아이콘
아무리봐도 선거대비용 멍멍이드립으로밖에 안보이네요...
인구수가 우리의 4배인 일본에서도 수익이 나는 돔구장은 구단이 주변 제반시설을 모두 소유하고 있는 도쿄돔 한군데 뿐입니다.
라이시륜
09/10/27 19:47
수정 아이콘
대구는 시의 활동성이랄까, 역동성이랄까 하여튼 그런게 정체된 상황에서
올림픽 경기장 주변에 돔 구장을 짓는게 효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축구장이랑 다르게 야구장은 더 많은 날짜 동안 고정적인 유동 인구를 발생시키고, 옆에 쇼핑몰도 들어서고 복합 문화 쇼핑 단지를 건설하면
그 쪽 경기 살리는 데에는 축구장보다 100배 낫습니다.
덕분에 축구장 적자 줄이는 데에도 일조할 것으로 보이고요.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돔구장이 적자가 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도 땅은 시가, 운영권은 일정 기간 시공 업체에서 소유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데,
못해도 40~50년은 시공 업체에서 운영권을 쥐고있는 방식으로 계약이 맺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내일은
09/10/27 19:49
수정 아이콘
안산돔구장도 그렇지만 야구경기장으로는 절대 수익성이 안나고 (월드컵 경기장 사례만 봐도...)
공공시설인 야구장을 짓기 위한 부지 조성이라면서 시는 그린벨트 풀어주고 건설사는 야구장을 복합시설로 짓는 것 +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뭐 내년 지방선거용이라고 보시는 분도 있지만, 포스코건설이라는 구체적인 이름이 나왔으니 어느정도 실제적인 계산은 나왔다고 봐야겠죠.
하지만 특정 건설사에 대한 특혜 의혹은 피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Into the Milky Way
09/10/27 20:06
수정 아이콘
리버풀 Tigers 님/ 지금이라도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때와 지금의 땅값은...넘사벽이라고 할 수 밖에
Lunatic Heaven
09/10/27 20:35
수정 아이콘
굳이 돔...일 필요는 있나 싶습니다만, 일단 새로 짓는다는 데에는 기쁨의 박수를 보냅니다.
오사카 교세라돔과 도쿄 도쿄돔을 다녀와보니 이런 뚜껑있는 구장 하나 정도 있는 것도 괜찮겠다 싶더라고요.
비맞으며 경기하는 우리 선수들 몸상태 걱정 안해도 되고 자리도 못 뜨고 응원하는 관중들 안전사고 생길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되니
좋겠구나 싶다가도 지금처럼 구단에서 소유하지 못 하는 돔을 무슨 수로 유지하나 싶기도 하네요.
(한마디로 좋다가 실망했다가 기분이 들쭉날쭉;;)

아... 그러고보니 28일이 선거날이군요??
홍Yellow
09/10/27 20:40
수정 아이콘
개장하기 전까진
믿을수없어..!!
테페리안
09/10/27 20:51
수정 아이콘
삽뜨기 전엔 못 믿습니다. 돔 지을 돈으로 대전 광주 대구에 구장을 새로 지었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민죽이
09/10/27 20:52
수정 아이콘
근데 박광태 시장이 굳이 야구장 드립으로 선거를 준비할 이유 있나요..?
어차피 될텐데.. 아닌가..
벤카슬러
09/10/27 21:21
수정 아이콘
민죽이님// 일단 민주당 경선도 있고 말이죠.
민주당 안팎으로 광주시장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는 경쟁자가 의외로 많다고 들었습니다.
거기에 박광태 시장에 대한 여론이 2선할 때보다는 좀 약해진 듯 하구요.
생각해보면 유니버시아드 유치 외에 딱히 떠오르는 업적도 없고...
문화전당을 둘러싼 갈등에서 너무 방관자적 태도를 취해서 갈등을 조정하지 못했다는 비난도 있고
뭐 3선까지 할 정도로 능력이 있어보여야 말이죠.
기아팬들이야 돔구장드립으로 인해서 거의 원수가 되어버렸고...

그래도 현직이니까 강력한 후보는 분명한데,
저는 내년에 박광태시장 나오면 100% 안찍을 겁니다. 한두번 속아보나 -_-;;;
Naraboyz
09/10/27 22:2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돔구장이.... 수익이 날수가 없죠. 더더욱 서울이 아닌 다른데서...

야구를 그렇게 좋아하시고.. 저쪽에 일하시는 아버지도 그렇게 반대하는게 돔구장인데...

월드컵때 쓸때없이 지어논 축구장에서 제발 교훈좀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돔구장은 수도권쪽에 한개.. 그리고 지방은 문학구장급 중소규모의 최신식 구장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는 이래도 심장은 저도 야구팬인가보군요 -_-;;
FreeZone
09/10/27 22:28
수정 아이콘
돔이 좀 오버 스럽긴 하지만 뭐든 좋으니까 일단 좀 지어주고 나서
얘기했으면... 짓는다 안 짓는다 말 나온게 몇년째인지... ;;
intothesea
09/10/27 23:0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렇게 까지 드립을 해대는 걸 보면 돔이든 일반구장이든 하나는 지어지지 않을까요? 대구나 광주나 한군데만 지어지면 어쩔수 없이 나머지 한 지역도 지을거라 생각합니다. 지금까지는

대구 : 광주구장도 있는데 뭐..
광주 : 대구구장도 있는데 뭐..

이러면서 서로 의지를 했지만 한 군데가 배신(?)을 해버리면 나머지 지역은 더 이상 기댈 언덕이 없어보입니다. 흐흐
09/10/27 23:31
수정 아이콘
돔구장이 그렇게 비용이 많이 듭니까? 태클이 아니라 정말 궁금해서 여쭈는 겁니다 ^^;;
그나저나 대전도 돔구장까진 아니라도 쫌...
Lainworks
09/10/27 23:58
수정 아이콘
Calum님// 건설비가 더 많이 드는건 상식선일테니 패스.

유지비에서 우선 냉난방비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있는게 좋지 않겠어? 가 아니라 없으면 큰일납니다. 햇빛 찬란하게 비추는 돔은 여름이 아니더라도 온실이 되죠. 근데 140M*140M 정도 되고 높이고 50M 정도는 되는 큰 공간을 냉난방하는게 쉬운 일이 아니지요.

그리고 천연잔디를 사용할 경우, 잔디 유지비도 장난 아니게 듭니다. 일본처럼 그라운드를 바깥으로 빼서 자라게 하고 다시 집어넣고 하는 돈이 튀는 짓을 하지 않는 이상, 블럭별로 잔디를 계속 수급해야 하는데 비용이 장난이 아니죠. 게다가 일반 야외 구장이 아니라서 잔디가 그라운드에 잘 붙지도 않아서, 비싼 품종의 잔디를 쓰고 생육이 잘 되도록 지하에 파이프라도 깔아서 온수를 공급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돔구장에 인조잔디를 쓰던가(.........)

그리고 지붕이 있으니 불도 켜야 합니다. 어두우니까.

이래저래 돔구장이 유지비는 흉악할수밖에 없습니다. 표에 눈이 먼 일개 정치인 입장에서야 그딴거 하나도 안보이고 그냥 "멋지고 간지난다 오오 돔구장" 이겠지만.
리버풀 Tigers
09/10/28 00:24
수정 아이콘
Calum님// 일반구장 1000억원이면 초호화 메이저리그급 구장을 짓고, 돔구장은 4000억원 정도 들어야... 쓸만한 돔구장을 지을수 있습니다.(90년대 중후반 LG가 추진한 초호화 세계 최고급 돔이 건설비만 6000억원을 호가한걸로 평가되었습니다.)

그리고 유지비는 정말... 최악으로 치닫을수 있는게...Lainworks님 말씀처럼 냉난방 조명비용만도 만만치 않습니다.(한국의 특성상 잔디는 인조로 갈것으로 예상해서 패스)
상암구장 FC서울 들어오기전에 1년 유지비가 20억원 수준인걸로 아는데.... 만약 1년에 80일 이상 야구하는 야구장이라면 유지비로만 1년에 100억원을 넘어갈것으로 예상되고... 30년정도 지나면 보수비용도 드는데... 당연히 건설비가 비싼만큼 보수비도 비쌉니다.

이렇게 비싼 돔구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울이나 부산에 35000석정도의 좌석에 80일이 아닌 100일 이상 경기를 치뤄야 하므로 두개의 팀이 홈구장으로 이용해야 하며, 경기 없는날과 시즌이 끝나면 각종 행사 대관을 계속해야하고, 당연히 주변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접근성을 위해 도심에 지어야 한다는게... 한국에 필요한 돔이라고 평가가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토스희망봉사
09/10/28 00:41
수정 아이콘
2~3만석 야구장도 위치만 좀 외곽쪽으로 옮기면 500억 정도면 지을수 있습니다 위치를 괜찮은데다가 넣을려고 하니 1000억이 필요한 게지요
땅값 약 500억원 추가 해서요
광주구장에서 자꾸 부상 선수가 나오니 위치가 다소 안좋더라도 좀 신식 구장으로 옮기면 좋겠네요
돔 구장은 말 그대로 선거철을 앞두고 양 시장이 애드립 한번 한것 같습니다 제 2 의 수도라는 부산 마져도 돔 구장은 적자 운영을 벗어나기 힘듭니다
더구나 지방은 대부분 공장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실질적으로 여가 생활 즐길수 있는 사람들이 서울 보다 별로 없습니다.
후루꾸
09/10/28 01:09
수정 아이콘
지방은 대부분 공장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실질적으로 여가 생활 즐길수 있는 사람들이 서울 보다 별로 없다 라... 흠...
09/10/28 01:25
수정 아이콘
토스희망봉사단님// 지방민입니다. 여가 생활 즐기고 잘 지냅니다. 그리고 지방인데 공장은 많이 안 보이네요.
토스희망봉사
09/10/28 01:29
수정 아이콘
먼산님// 저도 지방민이에요... 수도권에 비해서 지방 인구가 적어서 그렇지 비율상으로 보면 공장 근무자들이 제법 많습니다 영업직도 많구요
수도권은 본사가 많이 위치해서 사무직 같은 관리직이 많죠
적울린 네마리
09/10/28 01:57
수정 아이콘
일본 역시 월드컵 경기장은 적자를 못 면하고... 나머지 돔구장은 수익을 이룹니다.
그래서 자꾸 돔구장타령하는 것 같습니다.

일단, 1500억짜리 광주월드컵경기장을 보면....
K-리그에서 특별한 지역연고가 아닌 상무를 유치함으로써
2008 : K-리그 24회, 기타축구 0회, 생활체육 3회, 기타행사 35회 등 총 70회가까이 월드컵경기장중 가장 많은
행사를 벌입니다 . (임대료가 상당히 저렴하다는 것도 크게 작용했구요..)

반면 전주구장을 보면 03~08년까지 총92번 사용했구요..
K리그 전북이외에는 4번밖에 대관을 안했습니다.

상암구장은 2008년 국가대표경기 7회, K-리그 19회, 기타축구 4회, 문화행사 4회, 일반행사 1회등 35회 이용했으며
이용수익만 대략 100억(FC서울과 이용계약금이 상당하죠)가까이 되고 CGV, 할인점등의 임대수입만 150억가량 됩니다.
물론 흑자구요...

호남지역에 저런 문화복합공간이 상당히 부족한 상황에 돔구장 건립되어 상업시설과 기아구단과의 임대계약만 잘 성사된다면
가능성도 충분하다 봅니다.
다만,,, 정확한 설계안이 안나와 모르지만 3만석 이상은 거품이구요... 3만석규모라면 충분히 수익성창출이 가능하지 않을까합니다.

제발,,,,, 선거용 설레발이나 언플이 아니길 빌면서...
Zergman[yG]
09/10/28 02:04
수정 아이콘
일단 MOU는 20장써야 본계약 하나 될까입니다.
법적구속력이 0이니까요
KnightBaran.K
09/10/28 12:35
수정 아이콘
구장은 찬성이지만....돔구장은 좀 오바아닐까 걱정이 되네요. 물론 운영을 잘 해서 수익을 창출하믄 좋기야 하겠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25 [일반] 새정치연합, 광주 광산을 권은희 전략공천 확정 [233] 어강됴리8035 14/07/09 8035 2
51455 [일반] 광주 금남로에서 횃불이 켜졌답니다.(수정) [224] Manchester United10611 14/05/01 10611 2
47538 [일반] 어디든지 가고 싶을 때 - 8. 광주발 S-트레인 [15] ComeAgain6681 13/11/07 6681 9
47085 [일반] 광주지법. 진보당 대리투표.. 유죄. [63] 삭제됨4054 13/10/16 4054 2
46271 [일반] 경기동부연합과 광주대단지사건 [26] kurt7548 13/09/02 7548 0
43853 [일반] 5.18 광주의 진실과 역사학습 [36] 절름발이이리7601 13/05/19 7601 20
40320 [일반] [K리그] 광주와의 단두대 매치.... [7] lovewhiteyou3627 12/11/12 3627 0
36463 [일반] [정치]어라? 오늘도 여론조사 공표가 가능한가요? 부산과 광주 여론조사+격전지 추가 [15] 아우구스투스4852 12/04/05 4852 0
36238 [일반] 이정현vs오병윤 누가 광주 유일의 자당 국회의원이 될건가?(광주지역 여론조사 결과) [8] 타테시4093 12/03/27 4093 0
36180 [일반] 3월 24일 서울신문 총선 여론조사(서울 접전, 이정현 광주에서 선전 등) [27] 타테시4638 12/03/24 4638 0
30498 [일반] 야구 광주 팜은 왜 이리 뛰어날까? [21] 다크나이트6457 11/07/24 6457 0
27623 [일반] 광주FC 개막전을 다녀와서.. [9] SSeri3747 11/03/05 3747 0
26477 [일반] 제주 4.3은 폭동·광주 5.18은 민중반란?? [82] karlstyner5603 10/11/18 5603 1
23873 [일반] 광주 폭동이나 사태나 민주화 운동이나 그게 뭐가 중요해? [33] 쿠루뽀롱5493 10/07/31 5493 3
23868 [일반] 광주 '사태'라 생각하는 이들에게 전하는 글 [41] BlAck_CoDE5549 10/07/31 5549 5
23426 [일반] [야구불판] 오늘의 프로야구 (광주, 부산 경기는 우천 취소) [121] 달덩이2746 10/07/11 2746 0
21996 [일반] 나의 광주 [15] 늘푸른솔3923 10/05/17 3923 0
20725 [일반] 1971년, 경기도 광주. [21] Grayenemy5537 10/03/31 5537 2
19330 [일반] 포스코건설, 광주 돔구장 건설포기 [21] jipll4129 10/02/05 4129 0
17112 [일반] 광주서 신종플루 확진받은 4살 男兒 숨져 [8] 날카로운비수3451 09/10/31 3451 0
17014 [일반] [야구]광주시 돔구장 건설 확정 [74] 친절한 메딕씨5067 09/10/27 5067 0
15140 [일반] 지금 광주는 야구 하네요~[스포일러 조심] [66] 여자예비역3586 09/08/11 3586 0
14592 [일반] 광주시 야구장 지을 돈은 없고, 조형물 지을 돈은 있네요. [12] swordfish3475 09/07/21 34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