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7/29 14:31:45
Name 디미네이트
Subject [일반] [바둑] PGR 바둑 이야기 제4회
지난 연재 보기

어제(28일 화요일)의 바둑 경기 결과
        하이원 리조트배 명인전 - 서건우 4단(흑) : 안성준 초단(백) - 159수 흑 불계승
          관련 뉴스 링크

        STX배 여류 명인전 - 김혜민 5단(흑) : 박지은 9단(백) - 268수 흑 4집반 승

        농심 신라면배 예선 3회전 결과
  
  
          **누락된 기록이 두 개가 있네요. 김미리 초단과 김지석 5단의 대국의 경우, 예선 2회전의 각자의 상대가 불참이라도 했는지, 예선 2회전에 이미 치룬 걸로 나와 있었습니다.
          A조의 경우 역시 눈에 띄는 건 예선 결승에서 사제 대결이 이루어질 것인가, 이겠네요. B조가 약간 죽음의 조의 냄새를 풍기고 있는 듯합니다. C조의 서봉수 9단의 선전이 눈에 띕니다만, 다음 상대가 목진석 9단이라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D조는 조혜연 8단이 떨어지고 예선에서 마지막 남은 여류 기사 김미리 초단에게 주목의 시선이 갑니다. 2009년 최고의 기세를 떨치고 있는 김지석 5단을 꺾었단 건 예선전에서 주목할만한 이변 중 하나인 듯합니다.

          **조금 전에 한국 기원 사이트에 다시 들어가서 확인하고 정정합니다. 대국 일지에 누락된 대국이 기록이 되었는데, 여기서는 3회전에 김지석 5단이 김미리 초단에게 이긴 걸로 나와있네요. 2회전 기록이 뭔가 잘못된 모양입니다(그 잘못된 2회전 기록은 아직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한 대국은 기록이 누락된 채로 있네요. 아무리 예선이라지만, 기록을 너무 소홀히 하는 느낌입니다.

오늘(29일 수요일)의 경기 및 방송 일정
        GS 칼텍스배 본선 - 최철한 9단 : 윤준상 7단 - 오전10시 타이젬 수순 중계

        BC카드 Loun.G배 페어 바둑 챔피언십 8강
                안달훈-박한솔(아마) : 윤준상-고주연 / 최철한-윤지희 : 안조영-김은선
                  관련 뉴스 링크
          **본격 ‘바둑, 너마저도!’를 외치게 만드는 대회네요. 솔로 입장에선 왠지 서글픕니다만, 다양한 시도로 바둑계에 신선함을 던져주는 BC카드의 후원에 대해서는 무척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는 실제 커플 운운하면서 떡밥을 좀 던지는 느낌이네요. 바둑TV 녹화중계라는데, 방송 일정은 잘 모르겠습니다.

         박카스배 천원전 - 박정환 4단 : 이태현 2단 - 오후2시 5분 SKY바둑 중계
  
          **대진표는 있는데, 한국 기원에 일정은 없습니다. 일단 방송 편성표에는 한다고 나와 있어서 쓰는데, 누가 누구랑 붙는지 정말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대진표 상으로 볼 때는 유재성 4단과 김영환 9단의 대국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본선 시작인데, 일정이 오늘에서야 업데이트 되고, 참 일찍도 업데이트 하네요.;;

스피드 수읽기 퀴즈

        지난번 퀴즈의 해답부터 공개하겠습니다.


  <그림 1> 해답도
        1번 - 양자충. 흑1에 백3이면 흑2.
        2번 - 선 치중 후 행마.
        3번 - 흑1로 5에 두면, 백3, 흑2, 백6으로 흑 죽음
        4번 - 백11의 선수가 수상전의 수를 늘리는 요령. 백15 이하 백이 한 수 빠름.

        4번의 원본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1-1> 4번 문제 원본 및 해답

        원본의 모양 자체는 실전에서 나올 법한 모양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백 다섯 점 살렸다간 흑이 2선으로 철벽을 구성하게 됩니다. 만약 선수로 살린다면, 양쪽의 확정가는 비슷비슷한 편이니, 상변의 배석에 따라서 중앙 흑 다섯 점 대 백 석 점의 싸움으로 어찌어찌 될 것 같기도 합니다만, 백27까지는 둬야하므로 흑에게 선수가 돌아갑니다. 그럼 당연히 중앙 백 석 점을 제압하겠죠.

        만약 백에게 우상에서 우변까지 걸친 견고한 모양이 있다면 2선의 흑의 철벽은 그다지 의미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저 백 다섯 점을 살려나올 가치가 있을지도 모르죠. 전국적인 관점에서 평가를 해보면 다른 결과가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부분적으로는 확실히 백이 살려도 살린 게 아닌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오늘의 문제.


  <그림 2>문제도
        1번(10급) - 흑선백사.
        2번(10급) - 흑선. 백 세모 석 점을 잡고 싶습니다.
        3번(1급) - 흑선. 흑 세모의 내려빠진 수가 없을 경우도 생각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4번(유단자) - 백선. 흑집 안에서 수를 낼 수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어제의 4줄 바둑 문제 답입니다.


  <그림 3> 11수 끝. 흑 8집, 백 6집+1.5집. 흑 반집승.

        내일은 조금 더 긴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큐리스
09/07/29 15:06
수정 아이콘
오늘은 일찍 봤으니 답을 달아보겠습니다.
1~3회 문제보단 어렵네요. T_T
1번은 아직도 모르겠구요.
2번은 H17로 끼워서 H18로 받으면 F17,G18로 환격으로 잡고
다른 수를 두면 H18로 막아서 흑 3점과 수상전이 될텐데 흑이 수가 많으니까 아마 잡겠죠... @_@;
1번은 좀 더 고민해보고 답이 나오면 댓글 달겠습니다...
애플보요
09/07/29 15:27
수정 아이콘
1번은 그냥 젖히면 되네요~

3번은 A2로 먹여치고 따면 C1으로 치중하면 되지 않을까요

4번은 생각좀...;;
소군과이교
09/07/29 15:55
수정 아이콘
1번 S16
2번 H17
역시 형님이 3~4급 두시는데 저보고 대략 10급이라고 했는데...
역시 딱 그 실력인듯합니다. ㅜㅜ
부끄러운줄알
09/07/29 15:59
수정 아이콘
1. T 18
2. H 17
3. E 1(아니라면 대략난감)
4. 제 급수론 4번은 무리..;;
홈런볼
09/07/29 16:36
수정 아이콘
4번은 백이 3,티로 먹여치고 흑이 1,티로 빠질 때 백이 2,O로 붙이는 수로 조여붙이고 3,L로 끊어 넘어가서 빅이 나는 수가 있지않나 했는데 2,O로 백이 붙일 때 흑이 1,Q로 백 6점을 잡아버리면 그만이군요. 아 어렵네요. 해답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 듯......
큐리스
09/07/29 17:35
수정 아이콘
하수의 1번 풀이입니다.
일단 백이 T18에 놓으면 살기 때문에...
R19,S19,T18중에 하나에 두어야 됩니다.
근데, R19나 S19에 놓으면 백이 S16에 놓아서 S17의 한 점을 어떻게든 잡고 삽니다.
따라서 첫 수는 T18일 수 밖에 없는데요.
그 다음은 아마도 S16,T17,Q16,T15로 잡힐 것 같네요.
(1,2번도 겨우 푸는 실력이라 3,4번은 패스합니다...)
디미네이트
09/07/29 20:33
수정 아이콘
큐리스님// 1, 2번 설명 수고하셨습니다.^^ 그런데 3, 4번도 도전해보셨으면 합니다. 4번은 몰라도 3번 같은 건 실전에서도 응용이 가능한 형태이고, 무엇보다도 윗 단계 수준의 사활에 도전을 안 하시면 기력은 언제나 그대로가 됩니다.

애플보요님// A2로 먹여치면 백은 '드리겠습니다'하고 냉큼 살아버리겠죠.^^;

소군과이교님// 1번은 조금 더 생각하셔야겠네요.(이미 답이 나왔지만..^^;)

부끄러운줄알아야지님// 10급 정도의 사활은 첫 수만 말씀하셔도 그게 다 답이 되지만, 그 이상은 그 이후의 수까지 정확히 읽어주셔야합니다. 뒷수까지 읽는 연습을 하지 않으시면 수가 안 늘어요.;; 3번 첫 수는 일단 틀리셨습니다.^^;;

홈런볼님// 조금만 더 생각하시면 답을 찾으실 수 있겠네요.^^
큐리스
09/07/29 20:47
수정 아이콘
디미네이트님//
사실 1,2번 같은 게 실전에 나와도 모르고 넘어갈만한 실력이라서요.
1,2번 정도만 계속 풀어봐도 기력은 더 늘 것 같습니다. @_@;
그리고 3,4번은 고급문제라서 안 푼다기보다는...
흑선활, 흑선패, 흑선빅, 흑선백사 뭐 이렇게 결과가 딱 떨어지는 거면 시도를 해보는 편인데...
결과가 안 나와있으면 도저히 감이 안 와서요.
당신의조각들
09/07/29 21:33
수정 아이콘
역시 제 실력으로 문제를 풀기는 참 어렵네요..
그래도 해보지도 않고 포기할수는 없지 말입니다.
틀려도 계속 부딪쳐봐야 되겠죠? 또 꾸준하게 올려주시는 수고를 생각해서라도.. 돌아가지 않는 머리 좀 써봐야죠, 크크

1번 2번은 큐리스님께서 잘 설명해주셨네요. 그래도 한번 써보자면... (틀린 부분이 있다면 꼭 짚어주세요!)
1번) T18 -> S16 -> T17 -> Q16 -> T15 이후 수순 상관없이 우측 흑돌 이어가면서 백 사망.. 이렇게 되는 수순인가요..?
2번) H17 -> H18 -> F17 -> H16으로 흑 한점 잡음 -> G16으로 백 석점 잡음 -> J15로 흑 한점 추가로 잡음..
이것이 쌍방 최선의 선택일까요?
3번) 흑 세모가 있는 경우 (없어도 가능할련지 여부는 정답이 나와봐아.. ㅠㅠ)
D1으로 치중 -> 백의 선택은 C1 혹은 E1 (아무래도 D2로 가면 F1으로 붙이는 수에 답이 없어 보이네요..)
혹은 C2나 E2로 아예 이어버릴수도 있는건가요? 최선의 선택은 뭘까요........ 계속 고민중입니다.
4번) 우엑 계속 홈런볼님과 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다는.. 미리 댓글 좀 읽어볼걸 그랬어요 ㅠㅠ 시간 꽤나 투자했는데....

음, pgr에서 바둑 관련 글을 꾸준히 볼수 있어서 참 좋습니다..
따로 찾을 만큼 관심이 있는건 아닌데, 또 아예 모르는건 아니어서, 글이 꾸준히 올라오니까 저도 모르게 클릭을 하게 되네요.
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오늘 하루 잘 마무리하시고! 내일도 기대하겠습니다~

뱀다리) 4줄바둑은 보고 있어도, 다시 읽어봐도 이해가 잘 안됩니다.. ㅠㅠ
후더기
09/07/29 22:53
수정 아이콘
1,2번 문제가 많이 고급(?)스러워졌는데요??? ^^;
이정도 난이도를 한눈에 풀어낼 실력이라면 기원에서도 7급 수준은 무난히 되실듯 한데요??
이정도 난이도가 정말 인터넷 바둑 10급 난이도 맞는 건가요?? 덜덜덜..

1번은 2단 젖힘 후 한점을 버림돌 삼아서 귀에서 넘어가면 되는 모양이구,
2번은 우선 호구자리로 끼우고 백이 받을때 3점을 단수치면 환격 모양이네요..
3번은 힌트로 말하기가 어렵네요.. -_-; E2로 끊고 흑이 D2로 받을때 C1으로 치중하면 간단히(?) 죽는 모양이지만..
사활에 익숙하지 않은 분이라면 바둑돌을 놓아봐야 이해가 가실듯 합니다.
4번은 또 고민해봐야 하나요?? -_-;;
우선 저라면 무조건 T3에 먹여쳐서 수를 늘려놓은 후 고민을 시작해 볼 듯 합니당..
디미네이트
09/07/29 23:18
수정 아이콘
큐리스님// 결과를 알려주는 사활 문제는 '수읽기'보다는 묘수, 맥점 등의 '수법'을 중심에 둔 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0급대까지는 수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지만, 문제 푸시는 걸로 봐서는 수법이 부족하신 단계는 아니지 않나 싶네요. 결과를 모르고 푸는 게 실전에서는 훨씬 도움이 되니까, 너무 일찍 포기하진 마세요.^^

당신의조각들님// 3번에 D1 치중은 백이 C1으로 받으면 아무것도 안 됩니다.

4줄 바둑의 계가가 이해가 안 가시는 건가요? 일단 저 장면을 우리나라식 계가법으로 생각하면 저 상태로 반면 빅입니다. 서로 이 이상 둘 곳이 없죠. 그런데 중국식 계가법은 원칙적으로는 반상 위의 '살아있는 돌'의 개수를 셉니다. 다만, 흑이 집을 확보하면 흑은 자기 집에 돌을 놓아서 반상 위의 살아있는 돌의 개수를 늘릴 수 있죠. 그래서 편의상 '살아있는 돌의 수'+'집의 수'를 계산하는 겁니다.
위의 그림을 살펴보면 중국식 계가법에서는 흑과 백이 각각 더 둘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흑은 D1과 D3에 각각 돌을 놓을 수 있고, 백은 A4에 돌을 놓을 수 있죠. 이렇게 놓아져 있다고 생각한 상태에서 흑과 백의 반상 위의 돌의 개수를 세어보시면 8집 대 6집이란 걸 아실 수 있으실 겁니다.

후더기님// 음...지난번 1, 2번 문제들보다 어려운지 잘 모르겠네요. 일단 책처럼 비교적 고르게 난이도가 설정된 곳에서 뽑은 문제가 아니라 사활 문제집을 모은 사이트에서 뽑아내는 거라서 문제별 난이도가 고르지 않은 감은 있겠습니다만, 일단 1, 2번 문제는 제가 딱 보고 바로 답이 나온 문제들을 꼽은 거라서 상대적인 난이도는 크게 변함이 없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제가 지금 타이젬 3급이니까, 이정도면 10급짜리 문제라고 할 수 있지 않나 싶었죠.) 원래 기력이란 게 절대적인 기준이 없고, 상대적인 거라서 문제 난이도를 설정하기가 참 어렵네요.

오늘 3번 문제에서 다들 고전하시네요. 흑E2, 백D2에 흑C1 치중이면 백이 B1으로 받아서 살아있습니다.
후더기
09/07/29 23:36
수정 아이콘
넵.. 착각했네요.. 흔히 나오는 모양이라서 너무 쉽게 생각했나 봅니다..;;
c1 선 치중이 답인듯 합니다. 그 수로 사는 길이 없어보이네요.. 백이 최강으로 버티는 수는 b1으로 두는 수로 보이는데..
가만히 귀에 a2를 먹여치면 죽는걸로 보이네요.. d2에 두어도 e1에 치중하면 h1의 활용이 빛나보여요..
이것도 틀린가요?? ㅠ.ㅠ;
디미네이트
09/07/29 23:57
수정 아이콘
후더기님// 맞습니다.^^ 금방 보이시겠지만, 백 C2에 대한 응수도 고려해보시면 좋겠네요.
후더기
09/07/30 08:56
수정 아이콘
그건 제가 어제 틀린답이라고 적은거에 힌트(?)가 있는 듯합니다.. ^^;
우선 E2로 끊어두고 난 후 B1자리(적의 급소는 나의급소.. -_-;)에 두면 간단히 잡히는 모양이네요~
C2가 옥집형태라 안이을 수 없다는 게 백으로써는 너무 아프네요~ ㅠ.ㅠ
4번은 gg 치겠습니다.. n2를 선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제 기력으로는 안보이네요..;;;;;
28일 문제는 다 맞췄는데.. ㅠ.ㅠ;
소군과이교
09/07/30 13:35
수정 아이콘
역시 실력이 미천해서 상대방 돌을 봐야하는데
제 돌만 보고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062 [일반] 5일 저녁 9시 이후 서울을 멈춥니다 - 서정협 권한대행 발표 [173] Leeka19030 20/12/04 19030 8
85916 [일반] [스연] 트와이스 6월 1일 컴백 [27] 발적화8315 20/04/28 8315 2
79829 [일반] 용산의 추억(1) - 재고와 매입의 정의 [18] Croove8086 19/01/22 8086 18
79225 [일반] 메르스 의심환자로 격리됐던 이야기 [41] 킹리적갓심6120 18/12/10 6120 10
78003 [일반] 다스뵈이다 29회 삼성, 삽자루 그리고 표창원 [22] 히야시13201 18/08/24 13201 18
73714 [일반] 자유한국당 위헌정당 해산 심판 청구 청원이 올라왔네요. [74] 리얼리티즘9875 17/09/12 9875 16
72677 [일반]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141] Pathetique17755 17/07/04 17755 149
56017 [일반] 신용카드를 잃어버렸습니다. [13] 찍먹파6162 15/01/18 6162 0
54941 [일반] [K리그] 승격 PO에 나올 클래식팀은 경남? 성남? [17] ChoA2536 14/11/17 2536 0
51062 [일반] 진도 해상 3km 지점에서 여객선 침몰 [410] dokzu17744 14/04/16 17744 1
43938 [일반] 드디어 비밀의문이 열립니다. - 조세피난처 한국인 명단공개 [68] 어강됴리9743 13/05/22 9743 4
40445 [일반] [K리그] 우승경쟁은 끝나가고, 강등권 경쟁은 오리무중으로! [11] lovewhiteyou4003 12/11/17 4003 0
35736 [일반] 역사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강연정보입니다. [9] 자이체프4318 12/03/05 4318 0
31151 [일반] 2회 보드게임 모임 안내~ [12] 플로엔티나3612 11/08/17 3612 0
30947 [일반] 보드게임 모임 안내! [61] 플로엔티나5045 11/08/08 5045 0
25962 [일반] 천하무적야구단 vs 프로야구 레전드 경기가 있습니다 [36] 타나토노트6944 10/10/23 6944 0
23915 [일반] 무한도전 프로레슬링 동호회 WM-7 경기! (티켓가격추가) [3] 6542 10/08/02 6542 0
21957 [일반] 봉하마을 다녀왔습니다. [7] 튼튼한 나무4387 10/05/16 4387 1
18339 [일반] PGR21에서 이것좀 해결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29] 성야무인Ver 0.004844 09/12/17 4844 0
14794 [일반] [바둑] PGR 바둑 이야기 제4회 [15] 디미네이트3057 09/07/29 3057 0
14765 [일반] [바둑] PGR 바둑 이야기 제3회 [14] 디미네이트5527 09/07/28 5527 1
14409 [일반] 훈내나는 바자회 후기&결과물입니다^^ [18] 로즈마리4533 09/07/13 4533 2
9467 [일반] 게임 - 해킹(도대체 어떡해?) [12] 라바셋,,,3785 08/11/25 37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