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7/24 08:29:07
Name Lupin
Subject [일반] 인생과 게임.. 혹은 게임과 인생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건 '상실의 시대'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해묵은 떡밥인 그 소설을 끄집어내어 굳이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유는, 재수생 때 재밌게 읽었고 잊었다가 요새 누가 화장실에 가져다 놓은 덕분에 화장실에 갈 때마다 조금씩 꺼내어 읽으면서 옛날엔 보이지 않았던 그런 것들이 보였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면 '봄날의 곰' 같은 부분은 굉장히 많은 분들이 기억하는 구절이지만, '반년쯤 냉장고에 넣어둔 것 같이 냉장이 잘된 맥주' 같은 부분은 요새 읽으면서 감탄했던 표현이었죠. 읽다보면 일상적이고 쉬우면서 쉽게 하기 힘든 그런 표현들이 많아서 화장실에 갈 때마다 봐도 새로운 부분들이 보입니다. (물론 그런 표현들로 가득 채운 문학의 한계라는 것도 많은 독서가들이 지적하는 부분이지만..)
그리하여 제 머리 속을 사로잡은 인물은 주인공의 기숙사에 살고 있는 선배입니다. 읽지 않은 분들을 위해 잠시 그 선배란 사람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면 무섭도록 똑똑하고 강인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면서 집도 잘살고 풍채도 좋은 그런 사람입니다. 당시엔 엄친아 란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전형적인 엄친아 카테고리군요. 하여튼 그는 여자친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밤을 하룻밤만을 보낼 여자와 함께 하며 보내는데, 주인공과의 대화에서 '여자를 꼬시는 것도 게임과 같다' 는 언급을 합니다. 여자 뿐 아니라 시험이든 외국어든 뭐든 일종의 게임으로 생각하며 늘 승리하는 모습을 보며 '이게 정말 현실적인걸지도?'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이런 저런 글을 읽으며 높은 식견에 감탄하곤 했던 이 게시판에 이런 너무나 평범한 생각을 적는 게 조금 부끄럽기도 합니다만, 어쩌면 정말로 세상을 살아간다는 건 게임에 불과한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물론 매우 정교해진 MMORPG 라고 한다면 현실과 다를 바가 없겠지만, 제가 말하는 게임이란 single play RPG 입니다. 혹은 시뮬레이션이라든가 그런거죠. 어떤 경우 - 어떤 특정한 경우 - 의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오가는 행위란 그렇게 복잡하지 않은 경우가 많죠. 물론 예상과 사뭇 다른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만, 조금씩 변동되는 상황에 적응 가능한 지능을 탑재하고 rule 을 가르쳐 준다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아요. 혹은 혼자하는 모든 행위들 - 예를 들어 공부? 라고 해도 (아니면 시험이 보다 더 가깝겠습니다만), 결국 rule 이 있고 몇가지 case들의 모음과 그 종합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게임과 다를 바가 없죠. (물론 재미는 없습니다만...)

그러나 인생을 살아가는 게 게임과 달라보이는 이유는
1. rule 을 모른다.
2. rule 을 알아도 레벨이 낮다.
3. 레벨을 높이기 어렵다...
이 세가지 정도 이유가 생각나는데 실제로 게임을 만들 때 이 세가지 이유를 원칙으로 삼아 게임을 만든다면 인생과 흡사해지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 들어 동급생에 나오는 유이를 생각해 볼 때 동급생5 정도에서는 도저히 어떻게 공략해야 할지 알 수 없고, 공략법을 알아도 엔딩을 보기에는 호감도가 낮으며, 아무리 해도 호감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면, 동급생5따위는 극소수의 '깰 수 없는 엔딩'을 즐기는 사람들만 남겠죠.

사실 생각해보면 이성을 만날 때도 마찬가지이지 않을까요?
잘 안되는 분은 아직 rule을 잘 모를 뿐일지도 몰라요.
(물론 저도 잘 몰라요. 이게 좀 아쉬운 부분입니다만..)

인생은 정말 게임인 걸까요?
게임에 확률을 도입한 게 인생인 건지 인생에서 확률을 줄인 게 게임인 건지 모호해진 요즘입니다...


이 정도에서 마칠까 하다가 생각이 조금 더 나서 조금만 더 쓸게요.

이를테면.. 수많은 인생경험을 쌓고 이제 세상의 rule을 알겠다고 생각이 들어도 또 살다보면 아.. 이런 거구나.. 싶을 때가 있죠. 좀더 상위의 규칙을 알게 되는 그런 느낌인데, 인생을 사는 것도 어떤 층위가 있지 않나 싶어요. 고렙들만이 도달할 수 있는 층에서는 그 아래의 모든 층까지 포함하는 그런 총체적인 규칙을 알고, 저렙들은 그런 걸 모르는 느낌으로.. 나이를 먹는다는 건 이런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7/24 09:16
수정 아이콘
mmorpg '인생 1900-2100'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기에는 게임의 일반적인 플레이 양상을 적어 놓았습니다.

캐릭터 생성을 하고 게임을 시작합니다. (주의 1. 캐릭터 생성시 골드(집안의 재력)과 외모, 성별은 랜덤입니다.) 일단 10대에는 지력을 올려야 합니다. 그리고 필수 퀘스트인 '수능'을 클리어해야 합니다. 실패했다면 다시 할 수도 있으나 캐릭터의 스테이너스인 나이가 올라간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능'을 클리어한다면 20대에도 지력을 올려야 합니다. 또한 '군대'라는 강제 퀘스트도 존재합니다. 이것도 역시 클리어 해야 게임진행에 악영향이 없습니다. 그리고 30대에는 늦어도 '취업'이란 퀘스트를 통과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결혼' 이벤트가 나올 확률이 높아집니다.

가장 어려운 퀘스트중 하나가 게임 초기부터 생성되는 '히로인 찾기' 입니다. 30대가 되어서도 찾지 못한다면 게임이 상당히 꼬여버릴 수 있습니다. 주의하시길.

히로인 찾기의 난이도에 대해서 말하자면,

Very Easy - 미남과 재력가의 자제

Easy - 미남 or 재력가의 자제

Normal - 보통남.

Hard - 추남. 가난함.

Hell - ....

개중에는 지력이 아니라 신체의 스테이너스를 올려서 운동선수로 전직하는 플레이어도 있긴 합니다. 외모 수치가 높다면 연예인으로 전직이 가능합니다. 가끔 있는 패치인 로또 당첨이나 각종 대박은 히로인 찾기의 난이도를 대폭 낮출 수 있습니다.

다른 플레이어와 동맹, 친구추가도 가능하며 그것을 위한 도구로 핸드폰이란 아이템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자, 여러분의 게임을 플레이하십시오! 게다가 엔딩 또한 요즘의 추세를 반영하여 멀티 엔딩입니다! 끝에 어떤 엔딩이 마련되어 있는지 직접 확인해 보세요!
09/07/24 09:24
수정 아이콘
마이님// 하하하 재밌네요. 다만, 인생 게임에는 엔딩이란 것이 없지 않나요? 제한 시간동안 신나게 플레이하고 그 시간이 끝나면 그냥 접속이 종료되는거죠 ^^

하나 추가하자면,

필수 아이템 : 골드. 매일매일 일정량이 소모가 되며, 골드가 0 이 되면 게임에서 강제 접속종료가 되어버립니다. 게임 내내 노동이나 로또를 통해 보충해야합니다. 나이 1 - 20까지는 부모 캐릭터에게서 조금씩 이전받을 수 있지만, 그 이후에도 계속 이전을 시도하면 다른 캐릭터로부터 놀림을 받게 되고, 지나치게 이전을 강요하면 부모캐릭터의 접속 종료가 빨라집니다.
09/07/24 09:29
수정 아이콘
마이님// 하하하 재밌네요. (2)
저는 애초에 '히로인 찾기' 같은 퀘스트는 목표가 아닌지라.. 먼산-
09/07/24 10:29
수정 아이콘
인생 게임은 매 순간 순간 패치가 됩니다.
몽키.D.루피
09/07/24 10:41
수정 아이콘
cynical님// 그렇죠. 제가 알기로는 이 게임은 5년마다 대통령 패치가 이루어 지고 4년마다 국회위원패치가 이뤄진다는데, 재작년에 있었던 대통령, 국회위원 대규모 동시 패치에서는 왠일인지 버전이 20계단이나 다운 그레이드 되었다고 합니다. 그 덕분에 지금 보수,진보의 게임밸런스가 완전 무너졌죠. 제작사에 문제가 있는듯 합니다.
09/07/24 10:51
수정 아이콘
인생 1900-2100의 주요 사항

1. 자동 로그인 시스템 (말이 필요없는 시스템이죠)

2. 각 서버당 동시 접속자 다수 (대한민국 서버 ㅡ 동시접속 4천만 돌파, 중국 서버 ㅡ 사용자 집계불가)

3. 서버를 옮길 수 있는 시스템적인 요소 - 이민, 관광, 어학연수 등으로 미국, 캐나다 등의 서버에서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4. 엄청난 호평을 받은 시스템 - 히로인/히어로 찾기 퀘스트에는 미연시 + 육성 시뮬적인 요소 추가.

추가하자면 난이도에 대한 밸런스 문제가 플레이어간의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캐릭터 생성시 플레이어가 조작할 수 없는 부분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전작인 '인생 1700-1900'에서 플레이어가 어떤 활약을 했느냐에 따라 캐릭터 생성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전작에서 나라를 구한 캐릭터인 'XX훈' 플레이어는 차기작에서 외모와 명성으로 상위 0.5%안에 손꼽히는 '한가x'플레이어와 결혼이 가능했습니다. 전작에서 어떤 플레이를 했느냐에 따라 지금 서비스되는 게임에서 캐릭터 생성이 자동으로 이어집니다.
09/07/24 10:57
수정 아이콘
몽키.D.루피님// 불법서버에 상주하는 플레이어 때문에 제작사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설서버 '대한민국1%'를 차단해야 하는데 게임 시스템을 악용하는지라 쉽지가 않습니다. 플레이어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OrBef2님// 접속 종료시 나오는 '주마등'이 엔딩입니다.
슬픈눈물
09/07/24 11:05
수정 아이콘
서버를 옮기는데는 이전료가 꽤나 비싸다는게 문제군요...

사설서버는 GM들이 오히려 조장하고 있기 때문에 막기가 쉬워보이지 않습니다

선량한 플레이어들이 많은 피해를 받고있죠ㅠㅠ
09/07/24 11:29
수정 아이콘
마이님// 오오 주마등 오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560 [일반] 이공계 석사 졸업자의 셀프 인터뷰 [28] TORCS9740 10/02/15 9740 3
19461 [일반] 지금이라도 늦지않은거같습니다... [139] 그래프8900 10/02/10 8900 0
18959 [일반] 무한도전 '의상한 형제' 평점 매겨보아요. [34] 탈퇴한 회원9998 10/01/17 9998 1
18809 [일반] 생명의 무게 [39] 상코마네5701 10/01/10 5701 3
17749 [일반] WoW가 재미없는 그대를 위한 퀘스트게임, 폴아웃2 [9] 헥스밤7722 09/11/23 7722 0
16826 [일반] [영화] 인류는 그 탐욕으로 멸망하리라 - '디스트릭트 9 (District 9, 2009)' [48] DEICIDE7023 09/10/20 7023 3
16570 [일반] 초난강이 아닌 쿠사나기 츠요시의 드라마를 소개합니다. [9] Alan_Baxter7059 09/10/10 7059 0
16411 [일반] 수의학, 그리고 수의사. (5) 그리고 지구는 멸망했다. -1 [5] 휘리노이에스5737 09/10/03 5737 0
16196 [일반] V3 ZIP이 나왔습니다. [44] azurespace5524 09/09/24 5524 0
15663 [일반] ‘스타무한도전’을 아시나요? - 5명 대원들의 입담으로 유즈맵 정복하기 [26] 오만과나태9722 09/09/02 9722 13
14688 [일반] 인생과 게임.. 혹은 게임과 인생 [9] Lupin3896 09/07/24 3896 0
14384 [일반] 아시아 웃대채널 휴모르를 아십니까? [15] 이슬먹고살죠10455 09/07/12 10455 1
14313 [일반] 전교조의 제 2차 시국선언과 교사의 넋두리.. [16] 잿빛토끼4092 09/07/08 4092 1
14117 [일반] 도타이야기 - 내 마음 속 캐릭터 Best 3 ?! [14] Joker_6200 09/06/30 6200 0
13401 [일반] 청담동 클럽 사진 기사와 '착각' [24] swflying7123 09/06/04 7123 5
13294 [일반] 영화 [마더]에 대한 의문점.. 함께 얘기 나눠봐요 (스포 있음) [18] youngwon5540 09/06/01 5540 0
13049 [일반] 자살설과 타살설, 밸런스는 5대 5라고 봅니다. [74] 히로하루7550 09/05/27 7550 0
12286 [일반] [세상읽기]2009_0429 [19] [NC]...TesTER5170 09/04/29 5170 0
11190 [일반] 존댓말의 이유. [37] 초록추억5708 09/02/28 5708 0
11049 [일반] [세상읽기]2009_0220 [21] [NC]...TesTER5041 09/02/20 5041 0
10724 [일반] 죽어서도 살아있는 한국호랑이의 위용 - 2 [23] asuka6810 09/02/04 6810 3
10543 [일반] '판'님 스페셜 #1 - 동물의 왕국- [95] Timeless14391 09/01/23 14391 75
9063 [일반] El pipita, 과연 엘 니뇨의 후계자가 될 수 있을까? [21] 라울리스타5537 08/10/30 55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