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7 10:57:01
Name Hydra이야기
Subject [일반] 유동성의 파티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수정됨)
올해 유동성과 여러 상황이 맞물리면서 자산 시장이 다 파멸적 상승을 했습니다  

gpt에게 물어본 결과 2025년 1월 1일 대비 현재 상승률이

금 : 56%
은 : 69%
나스닥 : 18.7%
코스피 : 56.6%
닛케이 : 23.6%
홍콩 항셍 : 33%
비트코인 : 22%
이더리움 : 24.8%
강남 3구 아파트 평균상승률 : ~10% (한국부동산원 통계)

지수라는 지수가 다 신고가를 찍고 있습니다
이게 환호할 일만은 아닌게
경기는 침체되어 지원금까지 뿌리는 중에
펀더멘탈 상승없이 유동성과 기대감으로 밀어올리고 있습니다

유산자와 무산자의 격차는 벌어지고 있고
근로소득과 현금 가치는 실시간으로 녹고 있고  
투자는 자산을 지키기 위한 생존의 영역으로 가버렸습니다

이 유동성 파티는 언제 끝이 날까요?
그리고 그 끝에는 어떤 미래가 기다리고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7 10:58
수정 아이콘
[펀더멘탈 상승 없이] 이부분이 틀린말이라 별로 드릴말씀이 없네요
슬래쉬
25/10/27 11:00
수정 아이콘
언제 끝날지는 모르겠지만 끝은 항상 똑같지 않나요?
폭등 후엔 폭락..
fomo 를 이겨내고 적당한 타이밍에 현금화 하는 사람이 승자인데...
알지만 저번에 실패했음 ㅠㅠ
야도란
25/10/27 11:01
수정 아이콘
화폐가 녹고 있다 라는 얘기가 많이 들리고 뒤늦게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지만
부동산에 돈이 묶이는 것 보다는 주식 등에 투자되어 돈이 돌아가는게 훨씬 낫습니다

그리고 지금처럼 급등이 오면 단기든 장기든 급락이 오긴 하는데 (이건 경제 역사를 봐도 너무나도 당연한 얘기이긴 합니다)
신용사회의 속성을 보면 인플레이션 자체는 필연입니다

이건 현대 금융의 기본 중의 기본이니까요

다만, 화폐가 녹고 있다거나 다른 사람 따라서 뒤늦게 투자하는 사람들은 크게 물려서 다시는 안 쳐다보는 그런 일은 적었으면 좋겠습니다
Far Niente
25/10/27 11:01
수정 아이콘
다수의 더 불행해진 사람들과 한국판 트럼프가 나오는 결말만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바람돌돌이
25/10/27 11:01
수정 아이콘
일단 기업들 이익이 늘어서 펀더멘탈이 받치고 있구요. 미국 연준이 테이퍼링중이었어서 유동성을 풀던것도 아닙니다. 금리가 5프로였어요. 이제 유동성이 풀리기 시작한겁니다. 그리고 파티의 끝은 금리인상이 시작이겠죠.
Ashen One
25/10/27 12:15
수정 아이콘
금리만으로 유동성이 결정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지난 몇년간, 시장엔 돈이 너무 많이 남아서 유동성은 초과 상태였고, 금융조건은 완화 상태였습니다. 인플레이션도 적당히 살아있는 상태여서 실질금리는 그리 높지 않은 상태였고요.

펀더멘탈이 받친다는 말도 그냥 코에 붙이면 코걸이 귀에 붙이면 귀걸이입니다. 닷컴 버블과 비교하면 펀더멘탈이 좋긴 하지만, 그 이외의 어떤 시기와 비교해도 지금 가격은 더 비쌉니다. 그래서 늘 나오는 소리가 닷컴버블때와 비교하면... 이러면서 당시 멀티플을 갖고와 비교하죠. 왜냐하면 그때말고는 더이상 비교할 시기도 남지 않았거든요.
일각여삼추
25/10/27 11:04
수정 아이콘
유동성 장세 끝에는 항상 누가 발가벗고 있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끝나지요.
덴드로븀
25/10/27 11:04
수정 아이콘
일단 올해는 아닙니다.

내년엔 무조건 큰하락 온다고 생각하고 대응해야할테구요.
25/10/27 11:06
수정 아이콘
우선 음악이 나올 땐 춤을 춰야죠.
가라한
25/10/27 11:10
수정 아이콘
기업 실적이 좋다고 하지만 체감 경기와 괴리가 있는 건 사실이고 양적 축소 중이긴 했지만 연준이 1,2 달 전에 어마어마한 물량의 스텔스 양적 완화를 했다는 얘기도 있죠. 지금은 실적이든 버블이든 자산 가격 상승에 올라타야 할 시점인 건 맞지만, 미국이 어마어마한 장기채 물량을 단기채로 돌리는 편법을 쓰고 있어서 언젠가 미국 금채 금리에 이상 신호가 오면 위험신호라 봐야 한다 봅니다. 또 실적을 견인하는 AI 산업도 사실 돈을 버는게 AI 산업 자체라기 보다는 어마어마한 AI 데이터 센타 투자에 기인한거라 계속 잘 살펴 봐야 한다 봅니다. 엔비디아의 GPU금융이나 오픈AI에서 어마어마하게 AI HW 발주를 하면서 이 회사 저회사 실적이 올라가는데 이 돈을 어디서 조달하는지 계속 잘 살펴 봐야 될것 같아요.
전기쥐
25/10/27 11:10
수정 아이콘
일단 국장은 아직도 펀더멘털만큼의 평가도 제대로 못 받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iPhoneXX
25/10/27 11:11
수정 아이콘
다들 내심 어느정도 너무 올랐다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 싶어요. 주식 같은 경우는 이런 반대심리 노려서 더더 오를 꺼라고 봅니다. 다만 고점 맞추기는 신의 영역이고 개인들은 알기 어려운 이벤트이기 때문에 지금은 그냥 너무 걱정말고 즐기는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도 너무 욕심부리지 말고 분할매도 하면서 말이죠.
Quantumwk
25/10/27 13:38
수정 아이콘
이게 정답이긴합니다.
그대 그대 그대
25/10/27 11:14
수정 아이콘
지금이 코로나 때보다도 더 심한 상황인가요?
Hydra이야기
25/10/27 11:21
수정 아이콘
제가 느끼기엔 코로나가 안왔는데 코로나 때와 상황이 비슷해보입니다
25/10/27 11:14
수정 아이콘
아무도 모릅니다. 그걸 알면 부자가 되는거고요.
야도란
25/10/27 11:17
수정 아이콘
정말 알면 부자, 그냥 부자도 아니고 빈 살만 부럽지 않은 부자가 될 수 있죠

= 아무도 모름
덴드로븀
25/10/27 11:1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36980?sid=101
[“경기 나쁜데 주가는 왜 오르냐”… 전문가가 말하는 진짜 이유] 2025.10.27.
<김태우 하나자산운용 대표>
“주식회사 대한민국에 ‘반도체 이익 급증 / 주요 산업 수출 회복 / 금리 인하 / 정부 증시 부양’이라는 네 가지 상승 엔진이 가동되기 시작했다”
“이런 조합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

[눈치 빠른 일부 외국계 증권사들은 지금까지 본 적 없는 공격적인 숫자를 내놓고 있다. ]
UBS : 반도체 빅2 내년 영업이익 174조원(삼전 94조, 하닉 80조) 예측 (2024년 코스피 상장사 전체 영업이익 총액 : 196조)
씨티증권 : 빅2 영익 162조원 예측
주간회의
25/10/27 11:17
수정 아이콘
펀더멘털에 대해서 걱정되시면 인버스 투자를 해보시죠. 저는 좀 즐기렵니다.
Hydra이야기
25/10/27 11:18
수정 아이콘
저도 관망이 아니라 풀롱 포지션입니다만 언제 튀어야 할지가 고민입니다
회색의 간달프
25/10/27 11:24
수정 아이콘
올해 국장 팔고 알트코인 건들였다 폭망....
감전주의
25/10/27 11:25
수정 아이콘
국장은 반도체만 보면 되죠
대만도 마찬가지구요
유동닉으로
25/10/27 11:27
수정 아이콘
지난 20년간 언론에서 경기가 좋다고 말한 적이 있던가요. 대기업 경기랑 체감경기는 계속 불일치 했습니다
설탕가루인형형
25/10/27 11:32
수정 아이콘
인생의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살아있는 동안 즐기면 되는거죠...크크
꿈트리
25/10/27 11:37
수정 아이콘
문화는 k-국뽕, 경제는 K-양극화죠.
빅테크 실적이 좋아서 당분간 계속 갈겁니다.
25/10/27 11:45
수정 아이콘
강남 3구 아파트 가격이 올해 빠진게 맞나요?? 마용성만 많이 오른건가
수돌이
25/10/27 11:50
수정 아이콘
10퍼정도 올랐다는 것입니다. 떨어진 표시가 아닌 것같네요
25/10/27 11:59
수정 아이콘
아; 마이너스(-)인줄 알았는데 물결표시(~)였군요
FlutterUser
25/10/27 12:31
수정 아이콘
저도 마이너스인줄.... 시력떨어진게 느껴지네요 ㅠ
Hydra이야기
25/10/27 11:54
수정 아이콘
부동산원 평균상승률이 10~13% 안팎인데 개별적으로는 20% 이상 오른 아파트도 있을것 같습니다
유료도로당
25/10/27 1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가지 확실한것은 파티는 절대 영원할 수 없고, 상승의 끝에는 하락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 지점을 정확히 맞춰서 끝까지 수익을 발라먹는건 불가능합니다. 증권 계좌를 보고 기분이 좋다면 조금씩 차익을 실현해두고 현금(혹은 채권, 금 등)을 조금씩 충전해두는 자세가 좋을것 같습니다. 슈카옹의 "하락장에서 니들이 대응할 수 있을까?' 미리 대비를 해놨어야지" 라는 일갈을 기억하면서... 크크크
25/10/27 11:49
수정 아이콘
유동성 파티가 끝나면 또 다른 유동성 파티가 열리겠죠. 역사가 계속 그러했듯이.
김멍거
25/10/27 11:51
수정 아이콘
저도 시드 다 들어가있지만 다들 내년 중간선거까지는 풀롱 확정짓고 달리는거 살짝 무섭긴 합니다.

과연 시장이 개미들 다 맥여줄만큼 관대할까?
Hydra이야기
25/10/27 12:04
수정 아이콘
주변 인간 지표를 보면 모두가 가즈아를 외치는 상황입니다?
감전주의
25/10/27 12:07
수정 아이콘
지금도 개미는 열심히 팔고 있습니다 크크
이게무슨소리
25/10/27 12:01
수정 아이콘
96년전마냥 이게 대공황급 대참사로 끝이 나고 이후 더 큰일로 퍼지는게 아닐까 싶어서 두렵습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괜히 나온게 아닌데
Ashen One
25/10/27 12:09
수정 아이콘
정말 만약에... 현 상태에서 원유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모든 것의 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트럼프는 어떤 수를 써서라도 원유값은 잡아두려고 할테고요.

하지만 만약 트럼프가 실패한다면... 사실 트럼프가 그렇게 한들 공급은 현 상태에서 크게 늘긴 어려울거라 많이들 예상하더군요. 대신, 수요 또한 위축되어 있어 원유값이 낮게 잡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 경기가 좋아져서 수요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땐 정말로 큰 위기가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몽키매직
25/10/27 12:16
수정 아이콘
강남 요지 아파트들도 2024년 6월 상승장 시작한 시점과 비교해보면 대략 +50% 정도 올랐습니다. 시작점을 어디에 끊느냐에 따라서 수치가 상대적으로 달라보일 뿐 대부분 자산이 미친 듯이 상승 중이긴 하죠...
탈리스만
25/10/27 12:21
수정 아이콘
뭐가 있긴요 크크
계속 오르던가 너무 올랐다싶으면 조정이 오거나 폭락이 오겠죠.
그러다 다시 오르겠고
저는 주식을 21년에 처음 시작했는데 엄청나게 오르는 것도 봤고 22년에 역대급 폭락도 봤고
또 미장은 오르는데 국장은 흐르는 것도 봤고
과거를 봐도 마찬가지더라구요.
2018 미중무역 갈등 폭락
2020 코로나 폭락
2022 코로나 버블 폭락(아니면 제로금리 종식의 폭락?)
그냥 앞으로도 무수하게 반복하겠죠.
올랐다 내렸다 올랐다 내렸다
아서스
25/10/27 12:28
수정 아이콘
1000이 오르면 나중에 500은 폭락하는 시점이오죠.

그때 다시 매수준비해야겠죠
지금바로여기
25/10/27 12:46
수정 아이콘
며칠 전부터 인터넷 곳곳에 주식 수익률 캡쳐와 자칭 고수들의 일장연설이 올라오네요.
옛날엔 이러면 고점 신호라고 했는데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죠. 옛말이 맞을 지 아니면 이게 대상승장의 서막일지..
덴드로븀
25/10/27 13:46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268314?sid=101
[빅테크 5곳 실적, FOMC, 미중 정상회담…랠리 운명이 달린 한 주] 2025.10.27.
<실적 발표일>
10월29일 : MS / 메타 / 알파벳
10월30일 : 애플, 아마존
11월19일 : 엔비디아

이번주에 미국 초대기업들 실적이 좋게 나오고 APEC 도 무난하게 끝나면

[그깟 동학개미 인증] 따위긴 합니다.
25/10/27 12:49
수정 아이콘
문명도약급의 생산성 혁신이거나 모두가 파멸로 가거나..

도망칠 타이밍? 이번엔 터진다면 주식이고 자시고 전쟁을 피해야될지도..

샘알트만과 일론머스크가 사기꾼이 아니길 빌어야될껍니다 허허(저는 그들에게 전재산을..쿨럭)
25/10/27 13:20
수정 아이콘
한가지 덧붙이자면 베센트가 본인의 그림을 성공시키면 금융공학의 새역사를 쓸 꺼라는 거 정도..
Tiny Kitten
25/10/27 12:51
수정 아이콘
주식시장은 참 재밌어요. 오르면 오르는데로 걱정 내리면 내리는데로 절망...
이 시장에는 가지각색의 이유가 있습니다. 그걸 믿고 안믿고는 개인의 선택이고 오른다고 믿는다면 사고 아니면 파는거죠.
이런 간단한 기준도 없기때문에 흔들리고 불장에서는 고점이라 주저하고 폭락장에서는 공포에 사지 못하죠.
그 이유가 정치적이건 경제적이든 충분한 공부가 됐다면 확신을 가지세요.
아니라면 시장을 떠나시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죠.
25/10/27 12:57
수정 아이콘
한가지 확실한건 현금보유자가 가장 큰 손해를 본다는 것이 아닐까...
야도란
25/10/27 13:16
수정 아이콘
이 생각이 제일 위험하죠

어설프게 뭐 하다가 잃는 사람이 가장 큰 손해를 봅니다
이쥴레이
25/10/27 13:35
수정 아이콘
다들 이걱정이기는 합니다. 월급쟁이들 돈이 녹고 있다.
다람쥐룰루
25/10/27 13:15
수정 아이콘
다른것들에 비해 금 상승량이 심하긴 하네요
금 채굴에 뭔가 문제가 있는걸까요?
지금바로여기
25/10/27 13:16
수정 아이콘
공급보다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는 뉴스더군요.
덴드로븀
25/10/27 13:48
수정 아이콘
원래도 금 생산이 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데

[트럼프 시대] 엔 금이 도움이 될거라는 생각이 떠오를수밖에 없는거죠.
메르데카일일팔
25/10/27 13:15
수정 아이콘
한국만이 아니라 전 세계인게 무섭긴합니다
안군시대
+ 25/10/27 16:46
수정 아이콘
결국 미국이죠. 경제대공황때부터 대부분의 경제위기는 미국발이었습니다.
닷컴버블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도 미국..
toujours..
25/10/27 13:19
수정 아이콘
보통 이럴때 더 오르긴 하더군요....
25/10/27 13:21
수정 아이콘
폭발적인 성장 후엔 큰 반동이 따라오죠... 자본주의가 늘 그렇듯
25/10/27 13:22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zCwKTzAERnQ?si=bckvrcIilbrPTA9N

오르락 내리락 반복해 기쁨과 슬픔이 반복돼
사랑과 이별이 반복돼 내 삶은 돌고 도네

지금을 즐기십시오.
이른취침
25/10/27 13:28
수정 아이콘
그 끝에 제가 존재하기를 빌 뿐입니다...크
25/10/27 14:02
수정 아이콘
호황장 끝나고 무슨 일이 벌어지는진 가까운 역사가 충분히 증명해줬죠
이번에는 다를것이라는 착각만 안 하시면 됩니다.
안군시대
25/10/27 14:14
수정 아이콘
뭐랄까.. 만약 이 추세가 끝나고 갑자기 유동성 위기가 오고, 금융위기로 이어진다면, 또 무제한 양적완화 해서 돈 풀겠거니.. 하고 있는게 아닐지?
25/10/27 14:26
수정 아이콘
누구나 그 끝이 무엇인진 알지만 그 끝이 언제오는질 모를 뿐이죠. 끝이야 다들 아시다시피 올라온거에 대한 조정이고요.
25/10/27 14:34
수정 아이콘
아직 안탔다면 모르지만 이미 탄 상태라면 갈 때까진 가봐야죠 기호지세라
25/10/27 14:42
수정 아이콘
A.I 버블이라고 보이는데 빅테크틀 실적 보고 생각보다 AI 전환이나 발전이 지지부진해진다 싶으면 도망쳐야 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A.I가 세상을 바꿀 어마어마한 혁신이라고 해도 사람들 생각만큼 평탄하게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진 않을것 같아서요
VictoryFood
25/10/27 14:47
수정 아이콘
결국 분할매도 후 자산배분이 답이죠.
그러나 언제나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실수를 반복합니다?
국수말은나라
25/10/27 14:54
수정 아이콘
유동성의 끝은 돈의 가치 폭락이죠
지금 M2보면 너무 풀려있긴 합니다
제조업이 망가지고 유통이 망가지면 주식폭락부터 연쇄 폭락될겁니다
관세 빔 아직 시작도 안됨 내년이 진또베기죠
크리스마스 전까지 즐기다가 쟁여놓던지 현물로 바꿔쳐야할듯
우울한구름
+ 25/10/27 16:41
수정 아이콘
환율도 많이 올랐죠. 내년에 유럽여행 예정인데 언제 환전할지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97 [정치] 싸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57] Neuromancer3601 25/10/27 3601 0
105296 [일반] [주식] 콩고기의 난 [45] 깃털달린뱀4404 25/10/27 4404 5
105295 [일반] 유동성의 파티 끝에는 뭐가 있을까요 [65] Hydra이야기5183 25/10/27 5183 2
105293 [정치] 코스피, 장중 4,000선 돌파…역대 처음 [220] 전기쥐9092 25/10/27 9092 0
105292 [정치] 자게 #105255.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글에 대한 비판 [35] 달푸른5080 25/10/27 5080 0
105291 [일반] 9박 11일 폴란드 여행기 Day 1. (data 주의, scroll 주의) [5] 강력세제 희드라2594 25/10/26 2594 9
105290 [일반] 2025년에 가장 많이 들은 일본노래 [6] Pika484547 25/10/26 4547 0
105289 [일반] 램 3~50% 가격 상승에도 추가 상승 전망 [69] SAS Tony Parker 7347 25/10/26 7347 1
105288 [일반] [팝송] 도자 캣 새 앨범 "Vie" [3] 김치찌개3836 25/10/26 3836 2
105287 [정치] 보이지 않는 유권자/정치참여자가 된 그룹들 [50] 유동닉으로7521 25/10/25 7521 0
105286 [일반] 올해 5급 공채시험 수석/최연소 등 면면들 [44] 흰둥7844 25/10/25 7844 5
105285 [일반] 자동차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2029년부터 장착 의무화 [21] 굄성6500 25/10/25 6500 5
105284 [일반] 너무 늦게 쓰는 한달짜리 미국 여행기(스압) [15] 퀘이샤3884 25/10/25 3884 10
105280 [일반] 안녕하세요.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마르코입니다. [25] 마르코5444 25/10/25 5444 48
105278 [정치] 김어준이 이번 부동산 정책에서 의외로 조용한 이유? [241] petrus11153 25/10/25 11153 0
105277 [일반] 부고니아(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 감상평 [6] 흰긴수염돌고래3935 25/10/25 3935 5
105276 [일반] 실생활에 체감될 듯한 '다크패턴' 규제정책 [23] 오컬트5889 25/10/25 5889 15
105275 [정치] [속보] 이상경 국토차관 사의표명 [192] petrus12786 25/10/24 12786 0
105274 [일반] 한국은 인재 보호가 가능하고 해외 주요 인력을 스카웃할 수 있을까? [105] 성야무인7136 25/10/24 7136 9
105273 [일반] 웹소설에서 생각나는 주인공과 인물들. ( 스포성 글들 주의 ) [12] 일월마가3470 25/10/24 3470 4
105272 [일반] 반도체 천조국 달성! [13] 삭제됨4297 25/10/24 4297 0
105271 [일반] 이제는 아예 언급도 안되는 과거의 코스피 황제주이자 우량주 [52] 이게무슨소리5810 25/10/24 5810 0
105270 [일반] 재미있는 현대차그룹과 LG그룹의 시가총액 3위 경쟁.jpg [28] 시나브로3512 25/10/24 351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