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07 13:53:05
Name SAS Tony Parker
Subject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목사(교역자)의 스케줄, 처우 (수정됨)
일러두기: *는 각주 표시 ※각 교회마다 다를수 있음

시리즈물인데 뭐로 이어갈까 하다가 목사의 스케줄을 큰틀에서 써보자 싶었습니다 이것도 담임목사냐 부목사냐
교회가 크냐 작냐에 따라 편차가 심해서 병기할만한 부분은 병기하겠습니다

월(담임목사):주일 혹은 주중 추가 설교로 2~3회 이상 설교한 뒤 꿀 같은 휴일.국룰 .가정에 충실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날
부목사:휴일or 사무실 당직(담당 신자와 통화 심방*) or 식사 교제 등등 교인 상담, 수요예배 등 주중 설교나 평일 교인 훈련 준비. 필요시 신학교 신학석사,박사 등 수업 출석 *2

식사 교제의 경우 규모가 좀 되는 교회의 경우(5~600명 이상) 쓰고 영수증 사무실 제출하여 비용 지원하는 경우 존재, 부교역자의 필요 등록금을 지원하는 경우는 흔치 않음 그게 된다면 최소 대형교회임

화- 담임목사:주일 설교+금요기도회 설교 준비 (본문 선정 등)
각종 성경 주석서+설교 예화로 쓸 인문학,각종 자료 검색 및 검증.  다분야 독서(현대적,현실적 설교 적용를 위한 필수 과정)


부목사:평신도 훈련 인도, 수요 예배등 설교 준비 마무리
봄,가을의 경우 미리 여름,겨울 수련회 설교+특강 준비
별 다른 일이 없다면 각종 세미나 등을 참석해 멘토링 받음

부서.위원회 하나씩 담당

수-담임목사:독서와 묵상*3 을 하며 설교문 정리
부목사:수요예배 인도+설교

목:화요일에 다 못한 교회 행정(장부 정리 등)교육 과정 점검,교역자 회의 진행

금:담임목사 금요기도회 설교
부목사:각 부서 주일 설교 및 교육 준비 마무리

토:리더 교육,평신도 각종 훈련

주일:예배,임시 당회*4 등 정기 당회 등 가장 변수가 많은 날

*1 심방:교인의 집 등에 방문하거나 유선상으로 상담하고 교인의 개별 상황을 파악하는 행위.격려와 위로를 하러 가는 것

*2 편의를 위해 신학교 수업은 월요일 혹은 화 목일 경우가 많다 보통 휴식일임을 고려한 월요일. 신학적 깊이,향후 커리어를 생각할때 신학석사 Th.M 이상은 선택이 아닌 필수

*3 묵상:성경을 보며 잠잠히 생각에 들어가며 말씀의 뜻을 구하는 행위.독백

*4 당회:담임+부목사+장로로 구성된 교회의 최고 의사결정체. 회의(외부 협력,사역 방향,각종 부서의 현안 결정)

**:해당 이유로 교단 행사는 대부분 월요일

새벽기도는 주 5~6회 부목사가 없거나 적은 경우 담임목사 인도(혹은 주 2회 담임목사. 잔여일 교역자 로테이션)

담임목사, 부목사 처우

담임목사:
https://www.google.com/amp/s/www.kmib.co.kr/article/view_amp.asp%3farcid=0020470913

부목사:
https://www.google.com/amp/s/mobile.newsis.com/view_amp.html%3far_id=NISX20220819_0001984186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담임목사 사례비 320만원 이하. 부목사 평균 사례비는 260만원입니다 사택을 주면 아주 감사한 수준입니다
근무일은 5.5일 정도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s://www.google.com/amp/s/www.kmib.co.kr/article/view_amp.asp%3farcid=0924340148

불특정 다수를 향해 감동과 변화를 줘야 하는 설교 전달
(요즘은 유튜브 업로드까지 되기에 난이도 더 상승)

흔히 얘기하는 교인 헌금 먹으며 호사를 누리는. 과격하게 얘기해서 꿀을 빠는 생활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세상 어느 직업이 새벽 4시~4시반에 일어나서 출근하는데 꿀이라고 할까요  

+ 이건 별다른 이벤트가 없을때 기준의 글. 교구나 부서에 OO 성도의 부친모친이 돌아가셨다 하면 다 재껴두고 달려가아함 or 목사님 결혼식 주례 좀 해주세요- 좋은 일인데 머리는 아프게 생김

휴가: 보통 주일을 끼지 않은 평일 5~6일
중대형교회의 경우 담임목사 안식월 제도로 +- 20일 휴식 부여

이 기간 설교는 신학교 교수, 교단내 명설교자인 타교회 목사 초청. 물론 중소형 규모는 안식월 시행 힘듬

지금 제 글도 이번주 안에 하나 써야지. 하다가 제목 아까 11시에 잡고 마무리 하는데 설교는 말할 필요도 없겠습니댜 표절은 당연히 하면 안되고 예전에 했던 설교와 겹치면 안되니 조건도 많이 붙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07 14:05
수정 아이콘
널널한 교회 스케쥴을 예시로 드셨네요. 부교역자 업무 강도도 교바교인데, 저정도면 양호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SAS Tony Parker
25/09/07 14:09
수정 아이콘
진짜 케바케죠
짭뇨띠
25/09/07 14:19
수정 아이콘
종교인들의 삶 대부분의 종교가 육체적/경제적으로 팍팍하더군요
지인의 배우자가 같은 종교내에서 만난 본문의 교역자 역할을 하던 사람인데
지인 벌이의 반의 반도 안됐던가, 거의 용돈받고 일하고 있더라구요.
SAS Tony Parker
25/09/07 14:20
수정 아이콘
그럼 교육전도사 신분이셨을겁니다 신학대학원생 파트타임으로 쓰는 직책
25/09/07 14:51
수정 아이콘
사실 담임목사/부목사들은 담당 성도들의 개인상담에 시달리는 경우가 꽤 많죠. 이게 좀 심한 경우에는, 성도들이 온갖 문제로 다 상담해달라고 오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밤낮 안가리고요.
SAS Tony Parker
25/09/07 14:53
수정 아이콘
카톡과 목양실. 교역자실이 터져나가는..
25/09/07 14:54
수정 아이콘
전 처음 생성형 AI라는 게 생겼을 때, 가장 써먹기 좋은 데가 1주일마다 평타를 쳐야 하는 교장선생님 훈화말씀이랑 목사 설교 만들기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SAS Tony Parker
25/09/07 14:57
수정 아이콘
써먹으려는 시도는 하고 자료 서치용으로 의미는 있는데 설교를 혼자 만들라고 냅두면 아주 기초적인 설교밖에 안된다는게 교계의 주류 의견입니다

최근엔 프롬프트를 짜서 설교문을 넣고 평가가 가능한 수준이 되긴 했어요 근데 아직 딥한 성경 해석에 의한 설교는 안됩니다
25/09/07 15: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부랄친구가 부목산데,
교인들 시어머니질이 진짜 .......

그리고 얘는 쉬는날에 뻑하면 지방 산골가서
노동자마냥 노가다를 ....
담임목사님이 여름학교겸 별장겸 해서 뭘 짓는데
쉬는날일꺼 같아서 연락하면 노가다하는 확률이 70%이상 ...
SAS Tony Parker
25/09/07 15:24
수정 아이콘
교인의 무시와 조언을 넘어선 간섭은 교역자 이동 주요 사유죠 흐흐..
SAS Tony Parker
25/09/07 15:27
수정 아이콘
아니 노가다는... 덜덜덜
25/09/07 15:31
수정 아이콘
작년까지 뭐하냐? 하고 카톡하면
어 나 거기 내려와서 톱질함 이런식 답변이 옵니다 ㅠ
제가 그래서 신학노예라고 불렀는데 ... 크크크
지금은 공사끝나서 가끔 내려가 마당관리 정도만 하는데
공사때는 진짜 크크크크크 이게 종교인인지 건설업자인지
SAS Tony Parker
25/09/07 15:54
수정 아이콘
보통은 관리 집사를 페이 주고 따로 쓰는 편인데
문제가 있나보네요 교회내 공고 띄우거든요
25/09/07 20: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약간 이야길 하다보면
담임목사님 로망이 내손으로 지은집이 있어 보입니다
저도 아니 니네 돈이 없는규모도 아닌데 왜그러냐 하면
결국 담임목사님 이야기가 ... 크크크크
틈나면 담임목사님도 그 장소로 내려갑니다
다만 말로만 공사를 하시고
그리고 관리집사? 그런분이 있긴했는데
그분이랑 담임목사 두분이 같이 쿵짝쿵짝 하고
목회자들이 군인마냥 갈려나갔습니다.
SAS Tony Parker
25/09/07 20:48
수정 아이콘
으어어엌
25/09/07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요한걸 빠뜨렸네요. 막상 사역자들 스케쥴에 가장 큰 걸 차지하는건 장례죠.(+결혼)
교회규모가 클수록 교회주관장례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여기서 예시로 든 500명 규모는 이미 꽤 큰 규모이기 때문에, 그정도 교회에는 담임목사가 직접 가야되는 장례도 자주 있고 그렇죠. 성도의 부모님이거나 하면 3일 내내 해야되니까 위에서 든 스케쥴은 고정스케쥴이니까 그걸 틈틈히 소화하면서 3일장 스케쥴 소화해야되죠. 서울교회인데 장지가 부산이면 환상적이죠. 물론 그정도 거리면 극단적이니 부목사를 대신 장지에는 보내던가, 어떤식으로든 교회스케쥴과 맞도록 협의를 하죠.
그리고 제가 들은 바로는 이 장례가 교회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 성도 가족들은 평생 기억하거든요. 이건 일반적인 경우도 마찬가지죠. 장례 때 찾아와주는거 엄청 기억에 남잖아요. 그래서 모두 엄청 신경쓰기 때문에, 실제론 이게 가장 중요한 사역 중 하나입니다. 설교만큼이나. 휴가기간이라 제주도 가족여행 갔다가 자기 교구 장례생겨서 제주도에 가족들 남기고 혼자만 도로 올라온 부목사 사례도 흔하죠.

뭐.. 사실 일반적인 직업도 야근이나 자발적? 추가업무하는거 생각해보면 이게 특별히 노동강도가 더하다거나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물론 이런건 있죠. 성직자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기쁘게 감당해야한다는 조건이 붙는다는거. 그래서 대개는... 페이랑 안맞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최소한 전임자들은 집을 교회에서 구해주는게 예전 룰이었습니다만(박한 월급 때문에) 요즘은 집값이 하도 올라서 서울은 특히, 월급을 좀더 주고 집은 알아서 구하라는 교회도 많아졌다고 압니다.
25/09/07 15:49
수정 아이콘
보통 성도 장례식하면, 장례예배/입관예배/발인예배/화장터 동행까지 전부 진행하죠. 그래서 3일장의 3일을 전부 장례식장에 다녀와야하는 사태가...
25/09/07 15:52
수정 아이콘
맞아요. 보통은 장례식장이 교회랑 가까운 곳이 대부분이지만(성도가 교회 근방 사시는 분이니), 가깝다고 해도 아무래도 화장터나 병원 왔다갔다 하면 시간은 걸리겠죠. 특히 화장터는 시 외곽에 몇개 없으니까, 걸리는 편이고 그렇죠. 저도 그래서 담임목사하는데 가장 고생하는건 장례인듯 하다 싶더군요. 물론 제가본 담임목사는 힘든티조차 내시는 분 한사람도 못봤습니다. 엄청 중요하게 생각하시더군요. 그래서 그 장례 치루는 유가족도 그걸 굉장히 고마워하시구요. 거기서 끈끈한 유대가 생기는 거 같습니다.
SAS Tony Parker
25/09/07 15:53
수정 아이콘
여러 기사에도 나오는데 세금 때문에 사택을 교회 명의로 구해주기가 부담스럽다죠

장례도 짧게 추가해뒀지만... 말씀하신대로 이게 제일 부담이긴 합니다
특히 농어촌 목회하시는 분들은 일상이라서
25/09/07 17:14
수정 아이콘
잘 모르는 사람들은 목사가 일요일만 일하는 줄 알더군요. 일주일에 하루 일하고 교회 헌금 다 자기가 갖는 줄 아는...
많은 분들 말씀해 주셨지만 규모 있는 교회는 장례가 꽤 자주 있습니다. 특히 추워지는 계절엔 진짜 매주 부고 소식이 나오더라고요. 장례가 특히 더 힘든 이유 하나 더 추가하면 결혼이나 개업축하 이런 것들은 미리 일정이 나오기 땜에 스케줄 조정이 가능한데 장례는 갑자기 찾아오는 거라 스케줄을 어그러뜨립니다.
25/09/07 17:40
수정 아이콘
사람 대하는 자영업의 끝판왕...
25/09/07 18:19
수정 아이콘
어렴풋이 생각만 했지만 생각보다 더 노고가 많으시군요...
SAS Tony Parker
25/09/07 18:34
수정 아이콘
다른건 그렇다치고.. 휴가가 일반 노동자 절반 수준이라 그게 많이 빡센편이죠 일이야 더 힘든 분들도 있는데
에이치블루
25/09/07 20:15
수정 아이콘
SAS Tony Parker님 // 늘 수고가 많으십니다. 몇번인가 컴퓨터도 맞춰주시고 시삽도 해주시고 해서 기억에 남습니다.
그런데 목사님이셨네요... 고생이 많으십니다.

저는 얼마전에 저 위의 리플에서 언급된 부친상을 교회장으로 치렀습니다.
말씀 나누신 바와 같이 그때 와주신 목사님들 전도사님들을 평생 기억하게 될 것 같더라고요.

중요한 부분이 맞는 것 같습니다.
SAS Tony Parker
25/09/07 20: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평신도중 하나입니다 크크
지인중에 교역자가 많죠

소를 키울만큼 시간과 초기 자본이 있는 목사는 없을겁니다
성야무인
25/09/07 21:05
수정 아이콘
전 교역자분보다

사모가 더 힘들다고 보는 사람 중에 하나입니다.

이게 참..

목사도 아니신데 이런 저런 신경쓸게 많고

이혼도 쉬운일이 아니라서요,
SAS Tony Parker
25/09/07 21:22
수정 아이콘
직업을 가져도 난리.내조만 해도 난리
행동 하나 하나 목사보다 때론 더 주목받는
교역자가 아닌데 오만가지 스트레스와 부담은 다 받는 비운의 포지션
25/09/07 21:54
수정 아이콘
이거레알 크크크
위에도 적었지만 베프가 부목사인데
얘가 결혼하고 8-9년정도 아이가 없었고
이유는 그냥 아이가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살자 마인드여서 그랬던건데 ....
(사실 이건 제가 원인이라 개 미안한 ....)
이걸로 성도들이 시어머니질에 사모가 문제니뭐니
제가 들은거 다 토해내면 저도 역겨워서 더는 말 못하고
심연의 구렁을 봤습니다
올해초 득녀해서 그 역겨운 모함에서 벗어났는데 진짜 헬입니다
25/09/07 22:11
수정 아이콘
사모가 찐이죠.
작은교회는 작은교회대로, 큰교회는 큰교회대로 사모가 드러나지 않게 책임지는 부분이 어마어마합니다.

신앙좋은 여성들 사이에서도, 부르심 없으면 못한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닌 직분아닌 직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39 [일반] <기병과 마법사> 책 후기. aDayInTheLife388 25/09/08 388 0
104938 [정치] 드디어 시작되는 강선우 탈락 나비효과. 시동거는 여가부장관 [60] 카랑카4487 25/09/07 4487 0
104937 [정치] 정부조직법 개편안 발표 [43] 빼사스2870 25/09/07 2870 0
104936 [일반] 중국에 끌려가게된 러시아의 외통수 [15] 어강됴리3270 25/09/07 3270 2
104935 [정치] 이시바 총리직 사임 발표 [26] 롤격발매기원5422 25/09/07 5422 0
104934 [정치] 대통령실 "한국인 근로자 석방 교섭 마무리…전세기 출발 예정" [112] Davi4ever6410 25/09/07 6410 0
104933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목사(교역자)의 스케줄, 처우 [29] SAS Tony Parker 2410 25/09/07 2410 0
104932 [일반] [팝송] 조나스 브라더스 새 앨범 "Greetings From Your Hometown" 김치찌개2730 25/09/07 2730 1
104931 [정치] 보수진영의 간손미, 오이안 연합 [130] 짭뇨띠9985 25/09/06 9985 0
104930 [일반] 인생은 터프하게 [8] 밥과글3931 25/09/06 3931 30
104929 [일반] 응팔류 마을 공동 육아에 대한 환상 [199] 럭키비키잖앙12139 25/09/06 12139 4
104928 [일반]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2025) _ 흐릿한 풍경 속, 선명해지는 삶의 질문 리니시아3180 25/09/06 3180 3
104927 [정치] 대북송금에 대해서 이재명에게 누명을 씌우라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134] 네야10330 25/09/06 10330 0
104926 [일반] 자본주의는 근본적으로 무엇 때문에 양극화를 일으키는가 [62] 번개맞은씨앗3037 25/09/06 3037 4
104925 [일반] 유튜버 대도서관 자택에서 숨진채로 발견 [89] EnergyFlow13312 25/09/06 13312 1
104924 [정치]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청문회, 수사관 태도 논란 외 [74] 빼사스10417 25/09/06 10417 0
104923 [정치] 진영 논리에 절여진 보수 유권자를 '소극적 지지'로 돌아서게 한 이재명의 장점들 [181] Quantumwk9965 25/09/05 9965 0
104922 [일반] 파인애플 피자 논쟁 [16] 유동닉으로4987 25/09/05 4987 0
104921 [정치] 조국혁신당 당내 성폭력 문제 [124] 짭뇨띠10825 25/09/05 10825 0
104920 [일반] 아내 이야기 12 [9] 소이밀크러버4228 25/09/05 4228 19
104919 [일반] 사는데 대단한 무언가가 필요하진 않아요. [26] 프뤼륑뤼륑6580 25/09/05 6580 21
104918 [일반] 자고일어나니 90만원 결제.... 공통점은 광명, KT? [21] 유머7642 25/09/05 7642 4
104917 [일반] 슈카가 빵집 IPO 관련해서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 [315] 돌기름16024 25/09/05 16024 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