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8 14:19:37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

1. 지루함의 능력자

똑같은 걸 반복해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는 건, 상당한 장점이 될 수 있다. 하고하고 또 하여도, 여전히 재미 있다. 먹고먹고 또 먹어도, 여전히 맛이 있다. 입고입고 또 입어도, 여전히 매력 있다. — 지루함을 느끼지 않으면, 행복하다.

똑같은 걸 반복해서 읽어도 지루하지 않으니, 교과서도 반복해서 읽고, 그 결과 잘 암기되어, 시험에서 고득점을 올릴 수 있다. 지루함을 쉽게 느낀다면, 반복해서 할 수 없고, 시험 점수는 좋지 않을 것이다.

씻고, 닦고, 빨고, 싸고, 자고, 입고, 먹고 — 일상의 수많은 반복을, 기꺼이 즐겁게 행한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반복되는 일상속에서도 생의 활력이 있다.

따라서 지루함을 느끼지 않는 건, 분명 엄청난 장점이다. 그렇다면 그 반대는, 엄청난 단점일 것이다. 과격하게 말하자면 — 지루함을 잘 느끼는 건, 저주받은 성격이다.

2. 지루함의 무능력자

지루함을 잘 느끼기 때문에, 새로운 것에 손을 대려 한다. 대개 새로운 것은 해로운 것이다. 대개 새로운 것은 비효율적인 것이다. 잘 가던 식당을 가는게 좋다. 잘 먹던 메뉴를 고르는게 좋다. 괜히 다른 식당 찾아가서, 낭패를 볼 때가 많지 않던가. 괜히 다른 메뉴 골라서, 후회한 적이 많지 않던가.

생활 패턴도 자주 바꾸면, 효율이 떨어진다. 질서가 서지 않고, 효율이 높아지지 않는다. 이런저런 우연적 잡음에 시달리게 된다. 그것이 스트레스를 늘린다.

줄곧 만나온 사람은 나를 잘 알기 때문에, 이것저것 설명할 필요없이 편하다. 그러나 새로운 사람을 만나려니, 그 사람은 나를 잘 모르기 때문에,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고단함이 있고, 스트레스와 불안이 있으며, 온갖 잡음이 있다.

외길 인생으로 주욱 가야지, 이거 했다가 저거 했다가, 우왕좌왕하니, 실력이 자라지 않는다. 이것저것 손댔다가, 이도저도 아니다.

나는 누구인지, 나는 누구 편을 할 것인지, 딱 정해서, 공동체 의식을 느끼며, 함께 가야 하는 것이지, 한쪽에 있다가 지루하다고, 다른 쪽을 기웃거리니, 배신자로 낙인 찍힌다. 공격받아 인생이 평안하지 않다. — 지루함을 잘 느끼는 건, 저주받은 성격이다.

3. 새로움의 능력자

더 보기

4. 새로움의 무능력자

더 보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18 14:21
수정 아이콘
음? 잘 읽고 있었는데, 더 보기? 글을 작성하다 그만두신걸까요?
번개맞은씨앗
25/08/18 14:26
수정 아이콘
새로운 글형식을 시도해봤어요. 
내일은주식왕
25/08/18 14:23
수정 아이콘
뭐야 내얘기잖아 빨리 완성해주세요 크크
번개맞은씨앗
25/08/18 14:27
수정 아이콘
이 글은 댓글로 완성될 겁니다. 
CoMbI COLa
25/08/18 14:25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잘 느끼는 분들이 사업이든 뭐든 새로운 것에 잘 도전하시더라고요. 물론 그럴 환경이 갖춰졌을 경우에;;
번개맞은씨앗
25/08/18 14:27
수정 아이콘
대개 망하죠. 
내일은주식왕
25/08/18 14:29
수정 아이콘
그게 접니다. 대개 망했죠.
엘브로
25/08/18 14:33
수정 아이콘
이게 생각보다 단점이 큽니다.
저도 지루함을 느끼는 편이라, 새로운 것에 도전은 다른분들보다는 잘하는거 같은데...
지루함을 잘 느끼다보니, 어떤 일이든 얇고 넓게는 알게 되는데
그러다보니 깊이가 떨어져는 편입니다.
내일은주식왕
25/08/18 14:42
수정 아이콘
얇고 넓게 안다고 하죠. 하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는 속도가 빠르다거나 대부분의 일에 적용되는 기본원리에 대한 통찰, 낯선환경에 던져졌을 때의 내모습 관찰기회를 얻는 등 장점도 일부 있는 것 같습니다.
내일은주식왕
25/08/18 14: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근데 표현이 좀 부적확한 거 같아요
1번을 예시로 들면 지루함을 견디는 능력자가 더 적절하지않을까요?
같은 맥락에서 3번4번의 의미 파악이 좀 어렵네요.
새로움을 잘 느낀다는 의미인지? 그렇다면 그것은 지루함의 대척점으로서의 의미를 의도하셨던 건지, 아니면 34번과 12번의 조합으로 인간상을 설명하고 싶었던 건지요
-수정추가- 새로 댓글달기가 뭐해서 수정으로 추가합니다.
아마도 글쓴이가 말씀하시는 새로운 글 형식 시도와 34번이 연관이 있을 것 같습니다. 3번 새로운 형식을 보고 흥미로워 하는 사람은 2번 지루함의 무능력자일 가능성이 높겠죠. 새로운 것에 목말라 있으니 목마른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물을 빨리 찾을테니까요. 아마도 3번의 내용은 2번의 비효율과 스트레스와와 불편함의 양면성. 즉,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는 사람, 프론티어로서의 장점을 다루려 의도하시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용자마스터
25/08/18 14:40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잘 느끼지 않는 다는 점에서 전 좀 축복 받은 성격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쳇바퀴 굴리는 삶이 오히려 편하고 새로운걸 기피하고 적당히 만족하며 살다보니 삶의 지루함이 그다지 크게 와닿지 않더라고요
25/08/18 14:42
수정 아이콘
저도 최근에 하던것들이 죄다 지루해져서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어서 주제자체는 좋았다고 생각하는데요
~
근데 지루함을 잘 느끼는게 안좋다는건 일반적으로 당연한것일텐데요.
제목 때문에 그 반대가 있나하고 들어와봤는데 그런 내용은 없어서 아쉽네요.
모링가
25/08/18 14:43
수정 아이콘
각 특성에 알맞는 라이프스타일이 있는거라 봐요
25/08/18 15:00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이 단점이라는게 그다지 와닿지 않네요.

성격이나 성향이라는 것이 단순 단점, 장점 이렇게 나뉘는 일은 별로 없죠.

아마 3, 4번 항목에서 반대되는 케이스를 서술해주실 생각이 아니었나 어림짐작해봅니다.
Jedi Woon
25/08/18 15:34
수정 아이콘
저는 누가 제 성향을 물으면 보수라고 합니다.
제 생활이나 습관 등에서 뭘 바꾸고 새로운 걸 시도하기 보다는 익숙한 걸 이어가고 쉽게 바꾸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게임도 하던 게임만 계속하고 컴터를 업그레이드해도 돌리는 게임은 늘 똑같아요.
25/08/18 15: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루함을 잘 느끼는 건 그냥 단점맞죠. 지루함이 긍정적인 감정은 아니니...

오히려 지루함을 거의 못느끼는데 이건 장점일까요? 이런 물음이라면 얘기거리가 더 많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지루해보이는 반복적인 일상에서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편안함을 좋게 생각하는 편인데,
그런 사람은 또 변화하지 않고 안주하려는 경향도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지루함을 느껴서 뭔가를 시도하는 사람도 있기야 하겠지만,
기본적인 에너지가 많아서 뭔가를 시도하고 탐구하고 일을 벌리는 등 그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안할 사람은 지루해도 안하고, 할 사람은 지루하지 않아도 한다고 생각하는 편.)
은때까치
25/08/18 15:45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잘 느낀다 = 새로운 것을 많이 시도한다 = 강화학습에서 exploration factor가 높다
뭔가를 배우는데에는 유리하게 작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개인의 행복도 차원에서 낮아질 뿐이지....
사회를 발전시키는 사람들은 일상이 지루한 사람들이죠.
산다는건
25/08/18 15:56
수정 아이콘
글쓰시다가 지루함을 느끼셨나보네요.
골드쉽
25/08/18 18:01
수정 아이콘
222
25/08/18 18:49
수정 아이콘
크크크
깃털달린뱀
25/08/18 15:59
수정 아이콘
지겨운데 지겨워하며 새로운 걸 안하는 저같은 인간도 있습니다. 진짜 삶이 지겨워 죽겠어요...
사이먼도미닉
25/08/18 16:29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허락하지 않는 문화는 현대 사회의 허상이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모두가 SNS나 숏폼 같이 끊임없는 쾌락에 의존하게 만드는 헉슬리의 사회가 떠오릅니다.

지루함으로 우리를 돌아보고, 창의성을 키우는 시간으로 삼는다면 그것도 가치있는 경험이 아닐까 싶어요.
25/08/18 19:02
수정 아이콘
지루함을 잘 느끼지만 그 지루함을 해결해줄 코인은 또 없으니 삶을 무의미하게 보내는 경우가 많고 단점투성이 입니다... 최소 경제적 자유라는 준비물이라도 있으면 모르겠는데 그냥 평범하거나 그 이하의 사람이 가졌으면 저주가 맞습니다.
닉언급금지
+ 25/08/18 20:36
수정 아이콘
21일 동안 곰탕을 먹고
30일 동안 카레를 먹는

음식 한정 지루함 못느낌 보유자 등장이요.
내일은주식왕
+ 25/08/18 21:31
수정 아이콘
선생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생각해보니 음식에도 적용되는 거 같네요. 저는 같은메뉴 두 끼 이상은 힘들고 세 끼 이상은 정말 힘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795 [정치] [단독] 검찰, 건진법사 ‘관봉권’ 추적 단서 전부 유실…감찰도 안 해 [18] Crochen623 25/08/18 623 0
104794 [일반] PGR21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친일 의견에 대해서.. [14] 헤일로592 25/08/18 592 2
104792 [정치] 원전 관련 윤정부 큰 문제가 터졌네요 [133] 청운지몽5586 25/08/18 5586 0
104791 [일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25] 번개맞은씨앗3556 25/08/18 3556 1
104790 [정치] 양궁 국가대표 장채환, SNS에 '대선 조작' 극우 성향 게시물 [134] 유머8160 25/08/18 8160 0
104788 [정치] 이재명 51.1%, 민주당 39.9%…사면 여파로 내려간 與 지지율 [176] 윤석열9710 25/08/18 9710 0
104787 [정치] 윤미향 판결문, 저도 다시 봤습니다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에 대한 반박) [327] Quantumwk16837 25/08/18 16837 0
104786 [일반] 요즘 젊은애들은 일본을 어떻게 생각할까? [113] 럭키비키잖앙9338 25/08/17 9338 3
104785 [일반] 이스라엘, ‘가자 주민 이주’ 5개국과 논의… ‘인종청소’ 현실화하나 [39] 베라히6360 25/08/17 6360 5
104784 [일반] <스탑 메이킹 센스> - 기묘한 폭발력과 에너지. [2] aDayInTheLife2633 25/08/17 2633 1
104783 [정치] 윤미향의 횡령죄 판결문을 봅시다 [195] 사부작12947 25/08/17 12947 0
104782 [정치] VIP와 조국은 은연 중에 긴장관계죠. [91] petrus7435 25/08/17 7435 0
104781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4] 일신1214 25/08/17 1214 5
104780 [정치] 건강한 공론장과 개인들의 역할 [33] 딕시3382 25/08/17 3382 0
104779 [정치] 서부지법 폭동 징역 4년 [52] 조랑말6772 25/08/17 6772 0
104778 [일반]  지포스 RTX 50 슈퍼 가격 유출 [14] SAS Tony Parker 3426 25/08/17 3426 1
104777 [일반] 루머: 갤럭시 S26 프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유출 [46] SAS Tony Parker 3785 25/08/17 3785 0
104776 [일반] 귀멸의 칼날 - 무한성1 보고 왔습니다 (노스포) [19] 빵pro점쟁이3435 25/08/17 3435 0
104775 [일반] AI 이미지툴의 발달은 점점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SNS에 공개하지 않게끔 만들것이라고 봅니다. [39] 페이커755626 25/08/17 5626 11
104774 [일반] 내가 충분히 좋은 사람이 아닌 것 같은 날들. [11] aDayInTheLife3714 25/08/16 3714 6
104773 [정치] 이준석은 망할 수밖에 없다 [240] 짭뇨띠11592 25/08/16 11592 0
104772 [일반] 인간은 현대문명에 적합한 존재인가? [12] 고무닦이3984 25/08/16 3984 5
104771 [정치] 읍면동장 ‘주민 선출제’ 추진한다 [50] VictoryFood7247 25/08/16 72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