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7 00:57:39
Name 페이커75
File #1 1755347779_nanobanana22222222.png (659.8 KB), Download : 1061
File #2 5789323423456.jpg (1.07 MB), Download : 1058
Subject [일반] AI 이미지툴의 발달은 점점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SNS에 공개하지 않게끔 만들것이라고 봅니다. (수정됨)




요즘 나노 바나나라는 AI가 매우 핫합니다.

나노 바나나가 핫한 이유는 원본을 그대로 살리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편집을
매우 자연스럽게 해주는게 가장 큽니다.
다른 AI툴은 사진을 편집할때 기존 원본 사진 이미지가 많이 변형되는 반면에
나노 바나나는 원본을 아주 정확히 살리면서 원하는 모습으로 변형시킬 수 있죠.

기존 ai생성 이미지들의 가장 큰 문제가 기존 이미지와의 일관성을 유지못해서
계속 해서 변형이 일어났었는데 이제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이미지를 자기 맘대로 바꿀수 있게되었습니다.

옷이나 배경의 일관성도 일관성이지만 무엇보다 사람 얼굴은 조금만 달라져도
그 인상이 완전 변하는데 이번 나노바나나는 실제 인물의 얼굴도 일관성 있게 유지합니다.

이말은 이걸 악용하고자 마음먹으면 정말 얼마든지 악용가능하다라는 거겠죠.




누군가의 사진을 이용해서 거짓 홍보를 하거나 범죄에 사용하거나 증거조작을 하거나
여성들의 경우에는 딥페이크 같은 성범죄의 용도로 자신의 사진이 사용될 수도 있겠죠.

결국 AI가 계속 발달하면 발달할수록 이제 사람들이 점점 자신의 사진을 SNS이나 인터넷 상에
공개하기를 꺼리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온라인 상에 공개하는 순간 자신의 사진은 언제든지 어떤 용도로든 사용가능한 자료가 되는것이고
그로인해 피해를 보는게 여러번 반복되면 사람들은 점점
자신의 사진도 전화번호나 집주소나 통장 비밀번호와 같은 엄청나게 중요한 개인자료로 여기고
이를 감추려 들겠죠.



연예인들이야 자신의 얼굴로 먹고 사는 만큼 그런 피해를 감수하고서도 계속 자신의 사진을 공개하겠지만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최대한 자신의 사진이 밖으로 유출되는걸 막으려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인스타나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SNS의 침체를 가져오겠죠.
SNS의 목적중 하나가 자신의 모습을 공개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친교를 쌓는것인데
이제 자신의 모습을 함부로 SNS에 공개하는게 위험하다는걸 깨닫게 된다면
더이상 SNS를 이용하지 않으려 들겠죠.
특히 여성들은 더욱더 말이죠.




포토샵도 있는데 왜 오버냐라고 할 수 있겠지만 포토샵은 정말 티 안나게 정교하게 합성하려면
상당히 오랜 노력과 기술이 필요하지만 이런 AI툴은 말그대로 그냥 딸깍이거든요.

그리고 솔직히 지금도 자신이나 가족의 사진을 SNS에 올리는건 전화번호나 집주소 통장 비밀번호
SNS에 올리는것만큼이나 위험한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 어떤것보다 악용하기 쉬운 개인정보가 본인의 사진이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짭뇨띠
25/08/17 01:01
수정 아이콘
사생활 걱정보다 이젠 형사상 증거조작 걱정을 해야할 판 같습니다.
페이커75
25/08/17 01:02
수정 아이콘
네 그것도 같이 포함되는거죠.
증거조작의 가능성이 있으니 더욱더 자신의 사진을 인터넷에 공개하지 않게 된다는거죠.
Lina Inverse
25/08/17 01:07
수정 아이콘
메타 데이터가 있긴한데 이것도 마음만 먹으면 조작할 순 있어서... 뭐 뿐만 아니라 목소리도 딥페이크 시켜서 피싱에 이용될 수도 있죠
AI가 영상이나 사진 등을 분석해서 AI생성으로 제작된건지 아닌지 잡을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그런방향으로 갈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5/08/17 01:22
수정 아이콘
퀄 미쳤따... 예술관련 직종은 이제 뭐 먹고 사나요
짭뇨띠
25/08/17 01:25
수정 아이콘
원래도 좀 먹고 살기 힘들었습니다.
25/08/17 06:38
수정 아이콘
할 게 훨씬 많아 질겁니다. 예술은 새로운 것을 찾는 창작의 영역이고, 그것에 자본과 시간이 더 적게 드는 방향이니깐요. 개인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커진 겁니다.
고민시
25/08/17 02:35
수정 아이콘
구더기 무섭다고 장 안담그나요
Jedi Woon
25/08/17 05:40
수정 아이콘
한동안, 아니 향후 5년 간은 AI 이미지로 각종 사건 사고가 많아질 거라 봅니다.
특히 성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더 높겠죠.
어느 순간 인스타와 틱톡은 AI 생성물로 넘쳐 날 것이고 이용자들의 외면을 받겠죠.
통 속에 들어가 있지 않지만 메트릭스 안에 사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삶이 될 것 같네요.
케이사
25/08/17 09: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제 많이 바뀌겠죠. 뭐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전에도 합성이나 다른 이미지툴로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라고 주장하며 큰 변화가 없을 거라 주장하지만, 그 기술의 난이도나 접근성 자체가 말도 안 될 정도로 쉬워졌으니 변화를 일으키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거기다 그 결과물조차 완성도가 높아서 이전과는 완전 다른 세계가 펼쳐지겠죠. 좋은 방향이든, 혹은 나쁜 방향이던 간에...
iPhoneXX
25/08/17 09:26
수정 아이콘
이제 AI가 한건지 아닌지 찾는 AI를 만드는게 중요한 시점이 아닌지...
하이퍼나이프
25/08/17 09:33
수정 아이콘
당연히 대응 기술도 따라올겁니다
사진 도용에 따른 피해가 걱정된다면 그것을 추적 적발하는 기술또한 급속도로 발전할거고
AI인지 아닌지 모른다면 AI로 생성된게 아님을 증명, 인증해서 믿을 수 있는 사진을 공유하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겠죠
블록체인이나 DID 같은걸 뻘로 만든건 아니니까요
나를 드러내고 표현하는건 인간의 근본적 욕망같은거라 수익이 따라오고, 돈이 있는 곳에는 다 대책이 있기 마련이죠
25/08/17 10:03
수정 아이콘
기술이 빨라진만큼 사건,사고,부작용이 먼저 올 것이고 대응기술은 나중에 올거라고 봅니다.
기술발전은 안 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법과, 대응기술과 동시에 같이 나오기엔 그것도 돈과 시간이 들테니 어쩔 수 없겠죠.
그럼 돈이 먼저 쓰이거나 쓰임 당해지는 쪽이 어느 쪽부터일지는 뻔하잖아요.
25/08/17 10:09
수정 아이콘
DC 초창기 합성짤에 비교하면 불과 20년만에..
특이점이 오긴왔나 봅니다
Quantumwk
25/08/17 10:26
수정 아이콘
이제 그림쪽은 진짜 '특이점'수준에 이르렀다 보고 완전 '육체노동'인 분야를 제외한 다른 분야도 머지 않았습니다. 최근에 구글, OAI 비공개 모델 모두 IMO 금메달 땄음.
흔솔략
+ 25/08/17 11:53
수정 아이콘
오히려 웹소설이나 그런 장편 스토리쪽은 늦게 대체되지 않을까요?
이미지 같은건 잘합성해도 장기 기억능력은 아직 허술해서 소설쓰라고 하면 갈수록 아무말 대잔치인거로 아는데...
장기기억능력까지 대체되면 진짜 육체노동 제외하면 암담해질지도 모르겠네요.
한방에발할라
+ 25/08/17 11:55
수정 아이콘
장기기억만이 아니라 그냥 스토리도 못짭니다. ai한테 웹소 쓰라고 하면 제일 큰 문제는 그냥 재미가 없다는 거라...도파민 도는 전개나 이런 걸 아예 못하는 수준인데 여기에 장기 기억력까지 한계가 있으니 될 수가 없죠.
Quantumwk
+ 25/08/17 11:59
수정 아이콘
글쎄요... 장기기억도 계속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불과 2년전에 '세종대왕이 아이패드 던졌다'하던 수준이었다는 걸 상기 해보시면 됩니다. ChatGPT이전에는(2022년 11월 이전) 아예 말귀를 못알아 듣는 수준이었구요.
한방에발할라
+ 25/08/17 12:34
수정 아이콘
실제로 써보면 느껴지는 차이는 gpt 4(4o아님)가 5까지 오는 동안 본질적인 문제가 전혀 고쳐지지 않아서 체감이 안됩니다. gpt4 때만 해도 프롬질 빡세게 해서 문체 학습 시키고 쓰게하면 지금이랑 차이가 없었어요. 이건 실제로 안써본 분들이 오히려 막연하게만 알고 있어서 그러는데 본질적인 문제점은 먼지만큼도 해소가 안 됐습니다. 그냥 롱컨텍스트만 늘어났을 뿐이지 그때나 지금이나 진짜로 장편 웹소를 쓸 때 내가 얠 어시로 쓰겠다는 용도라면 놀라울만큼 발전 속도가 느립니다
모링가
+ 25/08/17 12:05
수정 아이콘
현 수준이 아니라 속도를 봐야 합니다
인간의 모든 활동은 신경망의 전기자극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식노동은 원론적으로 하나가 대체될 수 있다면 다른 쪽도 다 대체될 수 있어야 합니다
육체노동은 그동안 로보틱스가 물리적인 제조, 테스트 시간과 자원이 들어가기 때문이지 ai와 접목해서 발전하고 있는 시점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분야는 없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한방에발할라
+ 25/08/17 12:37
수정 아이콘
그 발전 속도가 장편 소설의 경우 가장 체감이 안될만큼 느립니다. 그럴듯한 문장이야 원래 프롬질로 해결이 가능했고 문제는 일관성과 웹소 특유의 드립이랑 도파민쪽 전개를 보충해야 하는데 옛날도 지금도 ai는 이게 0입니다. 냉정히 말해서 아예 발전이 안돼서 속도를 따질 수가 없어요. 애초에 지금 ai 발전 방향 이 이쪽이랑 전혀 상관이 없이 더 논리적이고 더 코딩 잘하는 쪽이라....agi가 나오면 대체가 될 거 같습니다만 agi 나오면 기계공학도 미친듯이 발전할 테니 전 인류가 2년 내로 실업자가 되겠죠 흐흐
Quantumwk
+ 25/08/17 12: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에이전트도 오고 있는 상황이라 그리 긴시간은 걸리지 않을듯 합니다.

그리고 완전 대체는 시간이 더 많이 걸릴걸려요. 대체된다는게 완전 자동화 된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필요한 사람이 줄어들 뿐이죠. 이제 대체 된다고 떠드는 분야도 아직 사람 손은 많이 필요해요. 그림도 나노 바나나 까지 나온 수준이지만 아직 사람 손은 필요할겁니다. 다만 필요한 인력 수가 줄뿐이죠.

장편소설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봅니다.지인이 컨텍스트 능력 제일 좋은 제미니로 장편소설 시도하는사람 봤는데 나름 대로 잘 활용하던군요. 이 사람은 전업 작가가 아닌데 예전보다는 확실히 진입장벽이 낮아진걸로 보입니다. AI이전에는 엄두도 못냈으니깐,...
+ 25/08/17 11:57
수정 아이콘
각종 범죄 및 악의적 행위에 악용될 우려가 최우선이고 sns사진같은것조차 그런 우려에 기반한거라 봐야겠죠.
이민들레
+ 25/08/17 12:02
수정 아이콘
조작된 사진들이 더더 범람할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0607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0991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352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8320 4
104778 [일반]  지포스 RTX 50 슈퍼 가격 유출 SAS Tony Parker 875 25/08/17 875 0
104777 [일반] 루머: 갤럭시 S26 프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유출 [22] SAS Tony Parker 1539 25/08/17 1539 0
104776 [일반] 귀멸의 칼날 - 무한성1 보고 왔습니다 (노스포) [13] 빵pro점쟁이2517 25/08/17 2517 0
104775 [일반] AI 이미지툴의 발달은 점점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SNS에 공개하지 않게끔 만들것이라고 봅니다. [23] 페이커754168 25/08/17 4168 10
104774 [일반] 내가 충분히 좋은 사람이 아닌 것 같은 날들. [9] aDayInTheLife3121 25/08/16 3121 6
104772 [일반] 인간은 현대문명에 적합한 존재인가? [11] 고무닦이3508 25/08/16 3508 5
104770 [일반] 노력과 행복질량보존의 법칙 [2] Categorization2628 25/08/16 2628 1
104769 [일반] 『루리드래곤』- 굴복이 아닌 이해로 다름을 인정받는다는 것 [10] Kaestro2298 25/08/16 2298 8
104768 [일반] 휴대폰 수리하러 와서 넋두리... [14] 앗흥4622 25/08/16 4622 3
104766 [일반] 저출생(산)문제에 대해 생각해보기 [44] Categorization5248 25/08/15 5248 0
104765 [일반] 강속구 vs 변화구 (下) [5] 無欲則剛3975 25/08/15 3975 2
104760 [일반] LLM의 창의성을 끌어내는 마법의 프롬프트 [16] 번개맞은씨앗3431 25/08/15 3431 0
104759 [일반] 바이킹 전사의 평화로운 일상을 알아보자 [8] 식별2619 25/08/15 2619 15
104757 [일반] [팝송] 존 케이 새 앨범 "SALT + LIGHT" 김치찌개1487 25/08/15 1487 0
104755 [일반] 이덕일은 본인 주전공인 독립운동사로 꾸준히 나갔으면 지금과는 평이 완전히 달랐을 거라 봅니다. [5] petrus3189 25/08/15 3189 3
104753 [일반] "'1인 1음료' 왜 안지켜" 영수증 찢더니…손님 내쫓고 소금 뿌린 카페 [231] 페이커759941 25/08/14 9941 1
104749 [일반] GPT 5는 아마도 GPT 5o — 부제 : 안전함과 직관력의 대립 [29] 번개맞은씨앗4578 25/08/14 4578 0
104748 [일반] [잡담] 버스 정류장... [5] 언뜻 유재석3098 25/08/14 3098 7
104747 [일반] 알찼던 펀쿨섹좌 방한 [55] 어강됴리11481 25/08/13 11481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