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4 23:57:41
Name KOZE
Link #1 https://www.spiegel.de/wirtschaft/adam-posen-zum-eu-zollstreit-mit-donald-trump-amerika-ist-der-groessere-verlierer-eindeutig-a-1239ca81-6a9e-4512-901b-cbe95aa24e32
Subject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아담 포즌(Adam Posen)은 전 미국 연준 이코노미스트이자 현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소장입니다.
그는 독일 SPIEGEL 지 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장기적으로 더 큰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는데요,
그는 유럽은 보복보다 자립적 전략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로 대응해야 하며, 이는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PIEGEL: 포즌 박사님, 도널드 트럼프가 8월 초부터 EU에 대해 3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허세일까요? 아니면 진심일까요?

Posen: 그 중간쯤일 겁니다. 아마 모든 나라에 대해 10~15% 정도의 관세로 결론날 가능성이 큽니다. 중국, 멕시코, 캐나다—그리고 유럽도요. EU에는 일시적으로 30%를 부과할 수도 있고, 결국 유럽은 15%, 나머지 세계는 10%만 낼 수도 있겠죠. 자동차, 제약,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산업은 아마 더 많은 부담을 질 겁니다. 트럼프는 이 산업들을 싫어하니까요.

SPIEGEL: 그래도 15%는 올해 초와 비교하면 엄청난 증가입니다.

Posen: 맞습니다. 당시 미-EU 간 상품에 대한 평균 관세는 1~2% 수준이었습니다. 이제는 그 몇 배가 될 겁니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관세율의 높이가 아닙니다.

SPIEGEL: 그렇다면 진짜 문제는 뭔가요?

Posen: 진짜 어려움은 안정된 상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설령 트럼프가 내일 “합의했다”고 발표하더라도, 문제는 그게 얼마나 갈지죠. 그게 지금의 미국 정부의 본질입니다. 일본이나 한국을 보세요. 두 나라는 자신들이 미국과 합의했다고 믿고, 군사비를 늘리고 미국에 엄청난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보답은 트럼프의 더 많은 위협과 요구였죠. 저는 일본이 최근 발표한 합의가 얼마나 갈지 궁금합니다.

SPIEGEL: 그렇다면 트럼프를 협상으로 묶어두는 것은 의미 없다는 건가요?

Posen: 특히 유럽에 대해서 그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미국은 군사적으로 유럽을 보호하고 있고, 트럼프는 그 보험료를 자기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다고요. 마치 플로리다 팜비치에 별장을 가지고 있는데, 보험사가 "기후 변화와 재난 위험이 증가했으니 보험료를 세 배로 인상하겠다"고 통보하는 것과 같죠.

SPIEGEL: 차이점이 있다면, EU는 쉽게 보험사를 바꿀 수 없다는 거죠.

Posen: 그렇죠, 불가능하죠. 유일한 방법은 자가 보험, 즉 자체 방위력을 갖추는 것입니다. 미국 이외의 대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그게 필요하죠.

SPIEGEL: 이 게임에서 더 큰 패자는 누구입니까? 미국입니까, EU입니까?

Posen: 미국입니다. 명백하게요. 우리는 가장 가까운 경제적 동맹국들과의 관계를 파괴하고, 관세로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기업의 이윤을 망치고 있습니다.

SPIEGEL: 하지만 수치상으로는 아직 그게 보이지 않네요. 인플레이션은 그리 심하지 않고, 고용지표도 좋습니다. 예고된 경기 침체는 오지 않았고요.

Posen: 저도 실업률이 이렇게 안정적인 건 정말 놀랐습니다. 이건 아마도 이민 정책과 대규모 추방 조치와 관련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저는 조만간 영향이 나타날 거라 확신합니다. 다음 분기에는 확실히요. 내년 이맘때쯤에는 실업자가 훨씬 늘어날 것이고, 인플레이션도 훨씬 심해질 겁니다. 거의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SPIEGEL: 왜 그렇게 확신하시죠?

Posen: 농업 부문만 봐도 그렇습니다. 누가 과일과 채소를 수확할까요? 미국인들은 이런 일을 오래 전부터 하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지금 그 일을 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여성인데, 이들은 가족 중 아픈 사람을 돌보기 위해 곧 집에 머물게 될 겁니다. 트럼프의 정책으로 이들이 공공의료 보험에서 탈락해 병원도 못 가게 되니까요.

SPIEGEL: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슈퍼마켓 진열대가 텅 비나요?

Posen: 신선한 과일과 채소 같은 제품에선 분명히 그렇습니다. 하지만 다른 품목도 부족해질 겁니다. 관세 때문에 값싼 자동차 수입이 줄어들 거고, 중국·남미·멕시코에서 오는 소비재들—예를 들면 옷, 커피, 장난감—도 더 비싸질 겁니다.

SPIEGEL: 브렉시트 이후 영국 상황과 비슷하군요.

Posen: 그와 똑같은 상황이 올 겁니다. 저는 확실히 유사성을 봅니다. 물론 영국과 미국은 규모가 달라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근본적으로는 같습니다. 엄청난 불확실성, 값싼 노동력 부족, 투자의 감소 또는 정체, 무역 장벽 증가. 그리고 영국에서 봤듯이 이런 상황은 곧 사라지지 않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트럼프 이후에도요.

SPIEGEL: 얼마나 오래 지속될까요?

Posen: 제가 경제학자로 일하면서 처음으로 대규모 경제 위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미국인들이 트럼프의 정책이 얼마나 큰 비용을 초래하는지 깨달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정책이 강자보다 약자에게 훨씬 더 해롭다는 사실도요.

SPIEGEL: 내년에 미국 중간선거가 있습니다. 정책 변화의 기회를 기대하시나요?

Posen: 그때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트럼프의 정책이 얼마나 재앙인지 자각하게 될지 두고 봐야겠죠.

SPIEGEL: 유럽 입장에서는 전망이 좋지 않네요. 15% 기본 관세든, 주요 교역국의 경제위기든. 트럼프와의 협상에서 EU는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요? 중국처럼 강경하게? 영국처럼 양보하며?

Posen: 최근 몇 주간 제가 만난 모든 유럽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했던 말이 있습니다. 보복은 어리석은 대응입니다.

SPIEGEL: 유럽이 항복해야 한다는 뜻인가요?

Posen: 트럼프에게 똑같이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저는 모르겠습니다. EU는 중국처럼 미국 산업 전체를 멈춰 세울 수 있는 수출품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유럽은 멋진 자동차를 만들지만, 다른 나라들도 그렇습니다. 희귀 금속처럼 대체 불가능한 것도 아니죠. 이런 점에서 중국은 트럼프와의 갈등에서 더 유리한 입장이었습니다.

SPIEGEL: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한 EU의 관세나 세금은 미국에 타격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Posen: 좋은 지적입니다. 하지만 그게 트럼프의 생각을 바꿀까요? 지난번 무역전쟁 때, EU는 영향력 있는 공화당 정치인의 지역에서 생산된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려 했습니다. 예를 들어 켄터키산 버번 위스키에 대한 관세는 당시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미치 매코넬에게 압박을 주려는 목적이었고,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렇게 되지 않을 겁니다.

SPIEGEL: 왜죠?

Posen: 첫째로, 공화당은 지금 트럼프에게 훨씬 더 충성합니다. 둘째, 트럼프는 공화당 의원들이 뭐라고 하든 점점 더 신경 쓰지 않습니다. 대형 은행 CEO들이나 실리콘밸리 기업인들도 마찬가지죠. EU의 서비스 분야에 대한 관세는 이들에게 타격이 되겠지만, 대통령이 신경 쓸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SPIEGEL: 그렇다면 EU는 트럼프에게 아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건가요?

Posen: 그런 조치들이 전혀 효과가 없다는 건 아닙니다. 다만, 모든 것을 불사하는 대통령의 생각을 바꾸진 못할 겁니다. 그는 첫 임기 때 ‘자유의 날’이라 불린 날에 관세를 철회했지만, 그건 증시 폭락이나 은행가들의 경고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SPIEGEL: 그럼 왜였나요?

Posen: 월마트와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업체 CEO들이 백악관에 찾아가 “이렇게 되면 가격을 몇 배로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그제야 트럼프가 반응했죠.

SPIEGEL: 그렇다면 EU에 조언하신다면?

Posen: 단호하게 협상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되, 미국에 시간 낭비하지 마세요.

SPIEGEL: 트럼프와의 거래는 시간 낭비다?

Posen: 유럽은 이제 자국 시장을 더 깊고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전 세계의 인재를 유치하며, 미국으로 향하던 투자와 자금을 유럽으로 끌어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유럽 소비자들도 이제 미국 브랜드 대신 새로운 브랜드와 공급업체를 찾아봐야 할 때입니다. 이는 유럽이 하나로 뭉쳐 방위, 부채 등의 새로운 분야에서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큰 기회입니다.

SPIEGEL: 유로본드, 즉 공동 유럽 채권은 특히 독일에서 인기가 없죠.

Posen: 그렇다고 그게 비합리적이란 뜻은 아닙니다. 공동 방위를 고려한다면, 최소한 지출은 조율해야 하니까요. 그렇게 하면 유럽은 생산성에서 도약할 수 있습니다.

SPIEGEL: 트럼프가 오히려 기회라는 말씀이신가요?

Posen: 단기적으로는 아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분명 그렇습니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 무역전쟁을 하며 관세를 올리고 보조금을 확대하고, 상대방을 괴롭히는 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그 게임에서 이기려 하지 말고,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법치가 지켜지는 시장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해야 합니다. 그 안에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

SPIEGEL: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Posen: 저는 브뤼셀과 다른 유럽 수도들에서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예컨대 인도, 베트남, 태국, 호주 같은 나라들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고 봅니다. 남미, 중남미 국가들도 미국의 무관심 속에 협력에 더 개방되어 있습니다. 이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에도 경제적으로 다시 존재감을 드러낼 좋은 기회입니다. 캐나다는 그야말로 이상적인 파트너이기도 하고요.

SPIEGEL: 하지만 이들 중 다수는 중국과 가까운 나라들입니다. 그러면 유럽이 중국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지 않을까요?

Posen: 반드시 그렇진 않습니다. 미국이 중국 시장을 차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를 받아들이고, 중국이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못한 하이테크 제품을 제공하며, 유럽이 중국의 투자와 저축, 유학생과 연구 인력을 안전하게 받아들이는 장소로 자리매김한다면—FBI나 제재의 위험 없이요—유럽은 미국보다 더 큰 영향력을 중국에 행사할 수 있습니다. 저는 베이징과의 강경한 협상 여지도 있다고 봅니다. 동시에 양쪽 모두에 이익이 되는 윈윈 시나리오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SPIEGEL: ‘무역을 통한 변화’는 독일 정치가 꿈꿨던, 하지만 이뤄지지 않았던 이상 아닙니까?

Posen: 설령 그렇다고 해도, 유럽은 "우리는 중국도, 미국도 빼고, 과거의 ‘개방적 지역주의’를 실현하겠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기준을 충족하면, 누구든 환영한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죠. 이건 단순한 무역 및 투자 협정부터 깊은 통합까지도 가능하게 합니다.

SPIEGEL: 그런 전략이 정말 유럽을 경제적으로 구할 수 있을까요?

Posen: 유럽뿐 아니라 일본, 한국도 향후 6-12개월은 매우 힘들 겁니다. 하지만 14년을 놓고 본다면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 저는 경제의 힘이 점점 이들 국가 쪽으로 기울고 있다고 봅니다. 캐나다, 일본, 멕시코, 한국, 영국은 미국과 너무 얽혀 있어서 결국 워싱턴에 굴복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EU는 다릅니다. 단기적으로는 보복 수단이 부족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매우 강력한 위치에 있을 수 있습니다.

SPIEGEL: 포즌 박사님, 오늘 인터뷰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canumToss
25/07/25 00:43
수정 아이콘
[진짜 어려움은 안정된 상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설령 트럼프가 내일 “합의했다”고 발표하더라도, 문제는 그게 얼마나 갈지죠. 그게 지금의 미국 정부의 본질입니다. 일본이나 한국을 보세요. 두 나라는 자신들이 미국과 합의했다고 믿고, 군사비를 늘리고 미국에 엄청난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보답은 트럼프의 더 많은 위협과 요구였죠. 저는 일본이 최근 발표한 합의가 얼마나 갈지 궁금합니다.]
저도 이게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외의 국가와 다시 합의를 믿을 수 있는 안정된 상태를 구축해야죠.
예측 가능성이 있어야 계획을 수립하고 투자할 수 있으니까요.
VictoryFood
25/07/25 01:48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도 미국이 불리하지는 않을거 같아요.
관세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와도 미국은 그냥 버티고 다른 나라가 더 힘들어 져서 돈은 또 다시 미국으로 몰리고 미국이 더 강해질 거 같습니다.
전세계가 중국 수준으로 미국을 차단해야 할텐데 못하잖아요.
본문의 경제학자도 결국 해결책은 다시 대규모 경제위기가 오는 거 말고는 없다고 생각하고 있을 정도니까요.
아이군
25/07/25 02: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재 한국 입장에서 가장 우려되는 상황은 (그리고 본문이 이야기하는 것은) 이른바 패권의 붕괴기가 오는 것 아닌가... 입니다.

인류역사를 봐도 패권국이 없는 시기가 적지 않거든요. 가장 최근의 예시를 들면 1차 세계대전으로 대영제국이 패권을 잃고(혹은 독일 제국의 성립 즈음에 잃었다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 미국이 세계패권을 쥔 2차 세계대전 까지의 수십년 간의 전간기가 있습니다.
이러한 짧은 전간기가 될지, 혹은 로마 제국 이후의 긴 중세시대가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이게 사실 한국 입장에서는 아주 끔찍한 이야기 입니다. 그 기간동안 중국의 압력을 버티기가 힘들거라는 이야기라서...
진짜 핵개발 카드도 생각해야 할지도....
자급률
25/07/25 18:35
수정 아이콘
사실 지출비용으로만 생각하면 그 상황까지 가면 자체 핵무장보다 중국 패권에 수그리고 들어가는게 더 싸게 먹히긴 할텐데, 금융 및 첨단기술<->제조업으로 산업적 역할분담이 가능했던 한미관계와 달리 한중은 대부분의 먹거리 산업 포트폴리오가 겹친다는 점이 진짜 걸림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만약 중국이 아예 세계패권 지분을 노린다면 잠재적 아군들에 대한 어필이 필요할테니 경제적 이득 축소 감수하고 한국 먹거리분야 보장해줄 가능성도 있는데, 그냥 '동북아 역내 패권 확보하고 세계정세 관망하겠다' 이 메타로 나간다면 한국이랑 먹거리 산업 겹치는 분야 전부 다 확보해서 다가올 경제 침체기 일단 넘기겠다로 갈 가망이 커보여서...
허어여닷
25/07/25 02:46
수정 아이콘
이거도 너무 미국에게 낙관적인 이야기죠 애당초 미국의 생산력 자체가 레이건 이전 이야기고 지금 미국의 생산력은 냉정하게 말해서 인력부터 인프라까지 다 그떄 이후로 박살나서 안됩니다 괜히 미국이 희토류는 전략자원이라고 중국에게 제제걸다 결국 다시 여러번 풀고 그런 게 아니에요

게다가 미국이 교역 안해도 괜찮다 소리도 라틴아메리카랑 경제 권역으로 묶여서 구대륙과 교역 안해도 된다 수준의 소리지 지금처럼 트럼프가 신대륙 내 국가들에게도 관세폭탄 때리고 일자리 이민자 이동도 막겠다 수준의 소리하는 거면 그거마저도 안 통합니다 뭣보다 미국은 지금 중서부 지역 20년 가뭄같이 다른 지역들과 비교해서도 기후변화를 제일 강하게 맞고 있는 지역 중 하나라서요
일각여삼추
25/07/25 04:10
수정 아이콘
유럽하고 중국이 힘을 합쳐봤자 러시아와 힘을 합쳤다 험한 꼴을 본 독일처럼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허어여닷
25/07/25 05:36
수정 아이콘
이미 트럼프 1기부터 만만치 않게 통수 때린 게 누적된 상황이라 중국과 거리도 먼 유럽 입장에선 그래서 뭐?? 소리 나올 겁니다

러시아가 문제인건 유럽과 가까워서지, 중국은 거리가 멀어서 안보 위협도 안 되고 험한 꼴 보기 전에 손절하는 것도 편해요
25/07/25 08:11
수정 아이콘
중요한 건 관세 카운터가 있냐는 점인데 이 깡패짓거리는 미국의 최대 소비국가라는 지위를 레버리지로 휘두르는 트럼프 때문에 벌어진 일이죠 근데 하필이면 그 나라가 기축통화를 가진 나라고, 니네가 돈 안 내면 관세 때려서 너네 물건 못 팔게 할꺼야 팔 나라 많아 이게 깡패짓이어도 지금으로서는 딱히 미국 상대편 나라 입장에서 할 게 없어 보인다는게 문제죠, 어쨌든 물건은 팔아야 되니까요. 결국 다른 나라는 할 게 없고 본문처럼 미국에 인플레가 와서 경제위기가 터져야 미국 입장에서도 문제가 현실로 다가올 텐데 지표는 아직까지 견조한 편이고.. 국제 투자시장도 코로나 이후부터 나스닥 1극으로 움직인게 이런때는 또 악재죠 세계 경제위기가 와서 주식시장 폭락이 와도 사람들은 또 나스닥부터 줍겠죠
갸르릉
25/07/25 09:1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미국이 타격 받긴할텐데..문제는 다른 나라들이 받는 타격이 훨씬 심한게 문제죠..
다람쥐룰루
25/07/25 08:29
수정 아이콘
관세 장벽을 쌓는 일반적인 이유와 트럼프가 관세를 때리는 이유가 다르다보니 기존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이질감이 생길수밖에 없죠
메가트롤
25/07/25 09:40
수정 아이콘
다 같이 죽어도 니네가 더 끔찍하게 죽어 스탠스라... 일단 지금까지는 영리한 무브로 보여요. 그놈의 경제공황 언제 오는 거야...
쿠키루키
25/07/25 10:15
수정 아이콘
요즘 느끼는것은 경제학자도 경제를 모른다. 예측불가 영역인듯 합니다.
신성로마제국
25/07/25 12:29
수정 아이콘
반대로 트럼프의 경제정책을 긍정적으로 볼 여지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솔직히 모르겠거든요. 반대편의 입장도 좀 보고 싶은데...
25/07/25 16:47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저런 문제들은 트럼프와 그들이 추진하려는 감세의 혜택을 낭낭하게 볼만한 사람들에게는 해당되지않거나 감세로 인한 혜택이 그를 상쇄하고도 남을것이고 그로인한 나비효과는 적어도 트럼프 본인 생애동안은 없거나 별체감없다 생각할겁니다.
플리트비체
25/07/25 18:45
수정 아이콘
아직 미국 경제지표가 괜찮다는게 신기할뿐
25/07/25 22:00
수정 아이콘
자기 살을 내주면서 동맹국들 뼈를 부러뜨리려고 하는데 당할 수밖에 없다는게 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818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22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181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5952 4
104608 [정치] 대통령이 청문회 한듯한 SPC 노사 간담화에 대하여 [46] 오컬트9321 25/07/25 9321 0
104606 [정치] 의대생이 사과도, 반성도, 재발방지 약속도 없이 돌아옵니다. [206] 발이시려워11729 25/07/25 11729 0
104603 [정치] '북한과 통모’ 시도했나, '몽골 공작' 수사 [22] lightstone4575 25/07/25 4575 0
104602 [정치]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에 사우나 설치 [63] lightstone6565 25/07/25 6565 0
104601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16] KOZE5870 25/07/24 5870 0
104600 [정치] 2030의 4050 혐오, 단지 위선과 여성우대 때문일까 [142] 방구차야8026 25/07/24 8026 0
104598 [정치] 이준석의 예견된 실패, 자초한 비극 [73] 딕시7609 25/07/24 7609 0
104593 [정치] 李대통령 지지율 64%…국민의힘 지지율 17% 최저치 경신 [57] Davi4ever6372 25/07/24 6372 0
104592 [정치] "다신 안 그럴거죠? 믿어요" '법원 폭동' 다 선처한 판사 [64] 카린6634 25/07/24 6634 0
104587 [정치] "미국, 한국에도 15% 관세 조건으로 548조원 투자 요구" [84] 유머7086 25/07/24 7086 0
104586 [정치] 역린을 건든다 [185] 육돌이8383 25/07/24 8383 0
104579 [정치] 호송 중 여성 피의자 성추행 사건 무죄 선고 [25] 如是我聞4813 25/07/23 4813 0
104576 [정치]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 자진 사퇴 [202] 제논11109 25/07/23 11109 0
104571 [정치] 따라가기도 벅찬 김건희 관련 뉴스 [61] lemma8850 25/07/22 8850 0
104565 [정치] 결국 팔은 안으로 굽는가 [435] 아린어린이22415 25/07/21 22415 0
104561 [정치] 일본 참의원 선거 자민. 공명 연합 참패 [52] 매번같은8159 25/07/20 8159 0
104558 [정치] 국민의힘이라는 정당에 관하여 [99] 딕시9764 25/07/20 9764 0
104557 [정치] 정치적 파편화의 시대(그들은 악마가 아니다) [226] 만렙법사9258 25/07/20 9258 0
104554 [정치] 아직도 4대강 사업을 찬양하고 있는 조선일보 [27] 베라히6859 25/07/19 68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