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23 23:40
악은 생각보다 가까운 곳에 있어서, 그 악을 비난하는 사람 자신조차도 그럴 만한 상황과 여건에 처했을 때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똑같이 악을 행하게 되기 쉽습니다. 타인의 거악을 비난할 때 겸허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항상 남들은 단순하게 악한 사람이고 나는 복잡하게 좋은 사람으로 느껴지기 마련이니까요.
25/07/23 23:49
사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나는 피해자요"이렇게 말하는데, 말만 듣다보면 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있더군요. 행동이라는게 가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마치 악이 하늘에서 떨어진 것 처럼 묘사되죠. 예전에는 단순하게 악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냥 마인드가 부족한 사람... 정도의 차이지만 나도 마찬가지, 이렇게 생각하려고 합니다.
25/07/24 00:09
악이란것도 내 입장에 따라 달라지는것이죠.
우리가 과거의 제국주의나 노예제를 악으로 보는것처럼 지금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제도중에도 먼 미래에는 악한제도로 보게 될 날도 올겁니다
25/07/24 00:11
몇백년전 과거로 갈필요도 없이 당장 한국내에서 딱 30년만 기준으로 잡아도
30년전에는 별것도 아니고 당연했던것들이 2025년인 지금은 매우 커다란 도덕적 잘못이나 법적 유죄까지 갈 수 있는 사안들이 수두룩하죠 크크
25/07/24 00:16
오래전 명예 혹은 정의라고 불리고 찬양받던 것들은 이제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 되어 의무 혹은 규범, 호의정도로 취급되죠. 물론 시대를 초월한 것들도 있긴 있습니다만 인류는 항상 ‘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25/07/24 00:20
네. 다큐멘터니라 사설을 보면 말씀대로, 인류는 "덜 폭력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꼭 강조를 하더군요. 과거에는 약간의 성질부리는 정도로만 생각했던 행동이 지금은 죄악으로 취급되기도 하고요.
25/07/24 00:44
그런것들이 바로 변화의 원동력이죠. 결국 인간은 완전 수동적으론 살아갈 수 없으니까요.
저는 이런 주제에 대해 논하는거 좋아하고 인간의 사고는 결국 이러한 생각부터 모든게 시작된다고 생각합니다. '덜 폭력적인'것에 대해선 잘 모르겠습니다. 폭력의 총량은 따지고 보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죠. 대상이 바뀌고, 그것을 아주 잘 통제하고 제어하는 것일 뿐. 예를 들어 닭에게는 2천년 전이 지금보다 더 살기 좋은 시대였을겁니다. 닭에게 인권 비스무리한게 있더라면 말이죠.
25/07/24 01:37
좋은것만 볼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염세적으로 변하게 되는 세상입니다. 그만큼 정보가 많아지고, 물론 말씀하신것처럼 부정적인것의 비율이 높은것도 사실이지만 긍정적인것보다 부정적인게 훨씬 기억에 강렬하게 남으니까요.
25/07/24 09:07
제 기준 악은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이기심] 이라고 생각하는데 예전에도 그랬겠지만 살면 살수록 이런 마인드를 지니고 '그래서 어쩌라고' 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쉬쉬하지 않고 마치 당연하다듯 드러내는 세상이 되는 것 같습니다.
씁쓸하네요.
25/07/24 09:23
그래서 불교와 부처님의 상징이 연꽃이죠.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크고 깨끗한 꽃을 피우는.
짤방으로도 유명했는데 선한 환경에서 자라난 선인보다 고난과 역경에도 불구하고 정의와 선을 행하는 인물이 존경받는 이유는 우리 모두가 같은 고민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 봅니다.
25/07/24 09:31
본문에 올라온 "악행" 중 상당수는 행하는 자가 그걸 정의라 믿기 때문에 행하는거죠. 선과 악의 기준은 내가 어디에 있냐에 따라 달라지는거라.
25/07/24 09:36
저도 어린 시절엔 잘 몰랐던, 국내 역사 관련해서 이런저런 비극들을 처음 접했을땐 여러모로 마음이 심란했었지요. 그리고 살다보면, 저 자신에 대해서도 자신이 없어지더군요.
25/07/24 11:14
저는 가끔씩 힘들고 끔찍했던 르포 책을 읽는데, (예를 들어 최근에는 르완다 대학살) 인류애를 바닥까지 떨어뜨리면서도 반대로 그런 생각도 합니다. 그래 다들 이 정도까지도 할 수 있는데도 이렇게 안하고 사는게 어디냐... 엄청 많은 사람들이 서로 안 죽이고 하루 하루 잘 살아가네, 장하다 장해. 그런 마음으로 하루 하루를 감사히 보내고 있습니다.
25/07/24 18:55
악과선이 둘다 흔하다쳐도 악은 고점이 어마어마한거같은데 선은 그에비하면 고점자체는 낮아보이는것도 크다고봅니다. 악의 고점은 국가단위 인류말살 딸깍 수준이지만 선의 고점은 그정도가 되려면 평생에걸친 선행을 해도 쉽지않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