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12 20:30:42
Name nearby
Subject [일반]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의 예비 조사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한달 전인 6월 12일 발생하여 260명의 목숨을 앗아간 에어인디아 171편 추락사고(https://pgr21.com/freedom/104292)의 예비조사보고서가 인도항공사고조사국(AAIB)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216008 뉴스 기사
https://aaib.gov.in/What's%20New%20Assets/Preliminary%20Report%20VT-ANB.pdf 보고서 원본

보고서에 의하면 이륙한지 불과 3초 뒤 누군가에 의해 양쪽 엔진의 연료제어 스위치가 꺼졌고, 10초 후 다시 연료제어 스위치가 순차적으로 켜졌으나 이미 추락하고 있던 비행기의 고도를 회복할순 없었고, 결국 추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료제어 스위치가 꺼지자 조종석의 누군가가 "왜 연료를 차단했는가"라고 물었고,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 답변한 것도 음성녹음장치에 기록되었습니다.

보고서에 나온 정황을 근거로 조종사중 누군가가 고의추락을 시도한게 아닌가 하는 설이 유력하게 돌고 있습니다. 비행 중 연료공급이 끊겨 엔진이 꺼지면 당연히 추락하는만큼, 연료제어 스위치는 실수로 조작되지 않도록 안전장치가 되어 있고, 양쪽 스위치가 동시에 조작된게 아니라 1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조작된 사실도 조종사가 실수로 스위치를 조작한게 아니라는 데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제정신인 조종사라면 엔진추력이 많이 필요한 이륙 순간에 엔진 연료공급을 차단하는게 미친 짓이라는걸 모를 수가 없기도 하고. 보고서를 토대로 일단 현재로서는 기체 결함으로 추락했을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12 20:35
수정 아이콘
영화에서는 인간 파일럿의 필요성을 역설했던거 같은데, 현실은 그 반대인 사례들이 계속 나오네요..
일면식
25/07/12 22:28
수정 아이콘
가설이 사실이라면 처음 보는 형태의 고의추락이군요
25/07/13 00:08
수정 아이콘
와 이게 진짜면 자살트롤 막을려고 조종석에 기장 부기장 혼자있게 못하는것도 뚫는거네요.
도뿔이
25/07/13 18:30
수정 아이콘
확률을 줄일수 있다는 것지 숙련된 조종사가 고의적으로 추락을 시도하면 막는게 힘들다는게 중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동방항공 5735편 사고도 고의추락으로 의심받고 있는데 여기엔 기장, 부기장 외에도 27세의 젊은 조종사가 훈련의 일환으로 같이 탑승했었습니다. 즉 다른 케이스처럼 조종실에 혼자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낮죠.
25/07/13 18:47
수정 아이콘
사람이 작정하고 미친짓을 하면 막을 방법이 없는거군요...
25/07/13 21:31
수정 아이콘
잃을게 없는 사람이 무섭다라는 사실과 일맥상통하죠.
테러범 몇명을 막으려고, 전세계 공항 보안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했지만, 0으로 만들수는 없는게 인간세상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46 [정치] 3500억달러에서 수익90%가져가면 그냥 3500억 조공과 같지 않나요? [232] 알파고14479 25/07/31 14479 0
104645 [정치] 정치 보복인가, 정당한 수사인가 [49] 딕시6206 25/07/31 6206 0
104644 [정치] 7월31일 (한국저녁10시) 마지막 관세협상 [68] 방구차야8632 25/07/31 8632 0
104643 [일반] [노스포] 좀비딸 후기 [14] 타츠야2661 25/07/31 2661 0
104642 [일반] 사고는 이제 사치품이 되고 있다 - 뉴욕타임스 기고문 [32] 인간흑인대머리남캐6265 25/07/30 6265 15
104641 [일반]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극장 산업이 망하고 있는 중요한 이유 [62] Qfghh5498 25/07/30 5498 0
104640 [일반] "기상학자가 사과까지 하는 8월 더위라니, 정말 역대급인가 봅니다." [68] 윤석열9475 25/07/30 9475 0
104638 [정치] 노란봉투법 상임위 통과 [112] 정대만11093 25/07/30 11093 0
104636 [일반] 日태평양 지역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29] Croove7386 25/07/30 7386 1
104635 [일반] 물푸레나무와 느릅나무의 시대 [3] 식별3674 25/07/30 3674 6
104634 [일반] 왜 테슬라는 TSMC가 아니라 삼성 파운드리를 선택했나 [41] 어강됴리10810 25/07/29 10810 2
104631 [일반] 투수 vs 포수 [20] 無欲則剛7437 25/07/29 7437 19
104630 [정치] 당정 "법인세·대주주 기준 원상복구" [121] DpnI13942 25/07/29 13942 0
104627 [일반] 테슬라가 삼성 파운드리에 베팅하나 봅니다 [78] 어강됴리15512 25/07/28 15512 5
104626 [일반] SKT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45] 제논9918 25/07/28 9918 0
104625 [정치] 김건희특검, '공천 개입 의혹'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사무실·자택 압수수색 [245] 앙겔루스 노부스20397 25/07/28 20397 0
104624 [일반] 귀여운 녀석 [9] 소이밀크러버4332 25/07/28 4332 18
104623 [일반] 인공지능과 의료의 미래: 우리는 또 한번 갈등을 마주할 것인가? [70] 여왕의심복6279 25/07/28 6279 29
104622 [일반] 세계화에 대하여 — 저렴한 인재의 시대는 끝이 났다 [8] 번개맞은씨앗3372 25/07/28 3372 1
104621 [일반] 중세시대 사람들이 먹던 기괴한 요리들을 알아보자 [12] 식별3923 25/07/28 3923 7
104620 [일반] 전지적 독자 시점을 보고왔습니다 (스포 조심) [14] Amiel3702 25/07/28 3702 0
104619 [일반] 부산지하철요금 적자안보려면 얼마가되어야할까? [154] 오사십오8072 25/07/27 8072 0
104617 [정치] 어제 대만에서는 야당에 대한 합법적인 쿠데타가 장렬히 실패하였습니다. [32] 매번같은8982 25/07/27 898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