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4 00:57:46
Name 깃털달린뱀
File #1 2025011011225391.jpg (82.9 KB), Download : 498
File #2 papago_1751549503821.jpg (72.2 KB), Download : 497
Subject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저는 자동차 알못이지만 자동차 산업은 좋아합니다. 재밌거든요. 특히 요즘 관심 가는 분야는 중국 자동차 시장입니다. 요즘 부진하다지만 여전히 세계 자동차 판매의 1/3을 차지하는 큰 시장이고, 전기차를 앞세워 수백개의 회사가 난립하는 춘추전국시대이기 때문에 역동성이 장난아닙니다. 그래서 관련해서 찾아본 내용 몇 가지 얘기를 나눠보려합니다. 저도 잘 아는 건 아니니 가볍게 봐주시면 됩니다.

아시다시피 현기차는 중국에서 잘 나가다가 한한령 이후로 폭삭 주저앉고 회생을 못하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국에선 이제와서 현기차를 살 이유가 없다는 게 큰 것 같습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아시다시피 전기차 위주로 변했고, 자국내 업체의 수준 또한 많이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대응하지 못한 해외 브랜드들이 다 고초를 겪고 있죠. 한때 중국 자동차 시장을 호령하던 폭스바겐조차 빌빌거리고 있으니까요.

현기차는 이런 상황에서 좀 끼인 상태입니다. 원래부터 가성비 포지션이었으니까요. 이제는 가격에선 중국산 차에 밀리고, 브랜드에선 다른 해외 브랜드에 밀립니다. 전기차 라인업이 부실한 것도 문제지요.

물론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 기아에선 작년에 중국을 겨냥한 EV5를 출시했고 현대도 올해 일렉시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가격은 둘 다 2600~2700만원 정도.

문제는 이조차도 경쟁력이 확실한지 의문이란 겁니다. 예를 들면 도요타의 bZ3X는 대략 2100만원부터 시작하고 폭스바겐의 ID.4도 2500만원부터 시작합니다. 물론 도요타는 합작사인 GAC의 아이온 V의 택갈이 모델이라 가격을 낮춘 거고, ID.4도 합작, 현지생산 등을 통해 가격을 낮춘 케이스입니다. 닛산 N7도 둥펑의 택갈이 모델인데 2200만원부터 시작합니다.

외산 브랜드만봐도 이런데 중국 현지 브랜드 전기차는 더 싸겠죠. 특히 지금처럼 출혈경쟁 하는 상황에선.

실제로 해외 브랜드 말고 BYD도 비슷한 차급에서 위안 플러스(수출명 아토3)가 1700~1800만원 정도 하고 월 평균 2만대가 팔립니다.

그래서인지 EV5의 판매량은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자료 찾아보면 대략 월 천 대 정도 팔리는듯합니다. 앞서 언급한 bZ3X나 ID.4가 월 4천대 쯤 팔리는 걸 보면 적은 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폭스바겐이나 토요타보다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는 현대기아가 그보다 비싼 가격에 잘 팔 수 있을지 우려스럽습니다.

일렉시오가 런칭한다 하더라도 과연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해선 저는 좀 회의적입니다. 물론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만...


결국 현기차도 중국에서 부활하기 위해선 가격을 낮춰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도요타가 잘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택갈이죠. 택갈이까진 아니더라도 다른 브랜드들도 중국 내수를 위해 중국 내 협력을 강화한다는 걸 고려하면 어찌됐든 지금보다 더 많은 주도권을 넘겨줘야만 할듯 싶습니다.

다만 이도 쉽지는 않습니다. 도요타와 합작한 광저우자동차 그룹(GAC)은 중국 내에서도 꽤 큰 기업이고, 산하 전기차 브랜드인 아이온도 꽤 잘 팔리는 브랜드입니다. 그래서 택갈이로 잘 써먹을 수 있었을 거고요.

그런데 현대와 협업하는 베이징자동차(BAIC)는 GAC에 여러모로 미치지 못합니다. 특히 전기차 쪽은요. 전기차 전용 브랜드가 있긴 하지만 점유율이 꽤 낮습니다. 그런 면에서 택갈이 하기도 불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아는 뭐 말할 것도 없고요. 둥펑은 손 털고 나갔고 위에다란 현지 업체와 합작 중인데 전 아직도 위에다가 뭐하는 곳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 난관을 현기차가 어떻게 뚫고 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무쪼록 잘 됐으면 좋겠기도 합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을 버리기엔 너무 큰 시장이라...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류 지적이나 반박은 환영합니다. 오히려 잘 아시는 분들과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더 배우기 위해서 쓴 글이니까요.

참고문헌
https://autonews.gasgoo.com/mobile-sales/article/75774.html
https://m.163.com/dy/article/JL0K708I0541B741.html?spss=adap_pc
https://cnevpost.com/2025/01/10/automakers-share-china-nev-market-2024/
https://autonews.gasgoo.com/mobile-sales/cxxl/2024/12/2291
https://electrek.co/2025/06/13/toyotas-15k-electric-suv-best-selling-foreign-ev-china/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5/07/04 01:21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7730?sid=101
["1%만 먹어도 韓판매량 근접" 현대차, 무너진 中시장 재공략] 2025.04.30.
현기차 중국 실적
~2016년 : 114만대 판매, 시장 점유율 4~5% 수준
2017년 : 78.5만대 판매, 사드 사태 후 한한령으로 판매량 급감
2024년 : 20.5만대 판매, 중국 시장 점유율 0.65%

<현대+기아 전세계 판매량>
2015년 : 약 800만대
2023년 : 약 730만대
2024년 : 약 723만대

<현대차 실적>
2015년 : 매출 92조 / 영업이익 6.3조
2022년 : 매출 142조 / 영업이익 9.8조
2023년 : 매출 162조 / 영업이익 15.1조
2024년 : 매출 175조 / 영업이익 14.2조

현기차가 현시점에서 진심을 다해 중국에서 부활할 이유는 없긴 합니다.
그냥 중국에서 완전 철수할만큼 회사가 힘든것도 아니니 으쌰으쌰 해보겠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긴 하죠.

대기업 걱정은 뭐다?...
깃털달린뱀
25/07/04 01:23
수정 아이콘
구체적인 수치 감사합니다. 찾아 올리려다 귀찮아서 말았는데 크크크
현대차가 중국 빼고도 잘 나가는 건 맞지만 그래도 중국에서도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포기하긴 너무 아까운 시장이니까요.
쓸데없는 걱정은 아닙니다. 제가 주주거든요 크크크크. 아 중국도 먹고 판매량 매출 떡상하라고!!!
25/07/04 03:45
수정 아이콘
사드 그 때 설치 안 했으면 중국사람들은 좋아했을텐데 어차피 미국 국민들이야 싼 거 잘 쓰니까 또 러시아도 보니까 스물스물 다시 기어들어가서 장사하는 애들은 하고 있더군요. 러시아나 중국, 인도 이런 애들은 국뽕에 민감하고 서양은 안 그러니까 그냥 그런 나라들 적당히 비위 잘 맞춰서 돈 벌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아쉽네요
에이치블루
+ 25/07/04 07:02
수정 아이콘
택갈이는 좋은 전략일까요?

과거에도 어차피 현기차는 중국 현지 모델이 따로 있었죠.

현대 로고를 남의 차에 달아주는건 브랜드 이미지 문제나 품질 문제를 생각해야 해서,
전통적으로 인하우스를 선호하는 한국/일본에서는 익숙한 전략은 아니고요.

솔직히 도요타의 택갈이 전략이 도요타에게 실익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도요타는 브랜드 달아주고 어느 정도 이익이 발생할까요...
그런 부분을 수치로 봐야 택갈이가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 25/07/04 07: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만 해도 외제차가 독일차랑 테슬라 정도 제외하고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 우리보다 더한 제조업 강국인 중국도 비슷하게 될 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5] 깃털달린뱀2030 25/07/04 2030 3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9] 방구차야3072 25/07/04 3072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92] Davi4ever6341 25/07/03 6341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8] 번개맞은씨앗2491 25/07/03 2491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3] No.99 AaronJudge3090 25/07/03 3090 9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96] 휘군6584 25/07/03 6584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2] 철판닭갈비7469 25/07/03 7469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5] 물러나라Y9059 25/07/03 9059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69] lightstone11143 25/07/02 11143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3] aDayInTheLife3216 25/07/02 3216 6
104437 [일반] [꼬꼬무]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 2025년 업데이트 [2] Croove5154 25/07/02 5154 7
104436 [일반] [도서] '세가 게임기 투쟁사' 소개글 & 게이머 라이프 [25] 15년째도피중3407 25/07/02 3407 5
10443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3 이건 좀... 이라고 생각했던 장면들 [74] 마술의 결백증명6819 25/07/02 6819 21
104434 [일반] 노스포)25년 상반기 영화관 관람 결산 [19] 왕립해군2624 25/07/02 2624 2
104432 [일반] 정말로 따실 줄은 몰랐지. [21] 맛밤6625 25/07/02 6625 25
104431 [정치]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당 개혁 최적임자” [92] 철판닭갈비8429 25/07/02 8429 0
104430 [일반] 집주인 바뀌면 전세금 돌려줄때 대출한도 '고작 1억원' [183] 로즈마리8976 25/07/02 8976 9
104429 [일반] 고양이와의 생활 [16] 공기청정기4201 25/07/01 4201 6
104428 [일반] 폰 노이만이 쏘아올린 공 / 메모리(RAM)의 역사 [10] Fig.14407 25/07/01 4407 22
104427 [일반] 홈오피스 계약을 이용해 미국에서 불법으로 일하다가 적발된 북한 [21] 타츠야6465 25/07/01 6465 2
104426 [일반] 딸아이와 함께하는 게임 잡담 [21] 글곰3990 25/07/01 3990 13
104425 [일반] 독서목록 500 [16] 번개맞은씨앗3944 25/07/01 3944 3
104424 [정치] [속보]심우정 검찰총장 사의…오후 3시 입장 표명 [182] 물러나라Y15095 25/07/01 150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