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3 16:49
어떤 강렬한 에너지로 인해 악인 혹은 영웅이 만들어진다는 내용은 흥미롭고, 일견 수긍도 됩니다.
다만 강렬한 에너지가 꼭 어떤 집단과 집단 사이에 끼인 중간자에게만 찾아올까 싶기는 합니다. 아주 사소한.. 뭐 하나의 인간관계, 하나의 사건 등이 어떤 사람한테는 악인 혹은 영웅이 되는 에너지로 작용할 수도..
25/07/03 17:44
자수성가한 사람이 오히려 하층민들을 무시하거나 노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치부해 버리는 등의 현상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군요.
그리고 동서양을 막론하고 영웅담에는 꼭 특별한 출생과정, 고난과 역경이 들어가는 이유도 설명이 될 수 있겠고요.
25/07/03 18:36
네, 말씀하신 것은 흔히 있는 일이라 생각해요. 흔하니 평범의 범주에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저 무시하는 걸 넘어서, 적극적으로 사람들을 해친다면, 악인이라 할 수 있겠죠.
그리스 신화에서는 신과 인간에게서, 영웅이 탄생하니, 출생부터 곧바로 중간자라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이런 구조라면, 영웅은 중간자로서, 인간들로부터 질투를 받고, 신들로부터 무시를 받아야 할텐데, 질투의 여신 헤라로부터 고난을 당하는 걸로 바뀌어 있는게 특이한 점 같고요.
25/07/03 18:28
좋은 가설인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하게 생각한 생각입니다 해당 가설을 로 검증할만한 수단은 뭐가있을까요 입증이 되면 더 좋을것 같아요
25/07/03 18:58
주장이 정확하고 엄밀한게 아니니, 확증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생각해요. 개연성을 높이는 방법은 있겠고, 사례를 들어볼 수 있겠죠.
중간자로서 사례라 하면, '서자'가 있을 거라 생각해요. 픽션이지만, 홍길동도 중간자죠. 그리고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위인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서자인 걸로 알아요. '아버지 피에로 다 빈치는 법률가들을 배출한 지주 가문 출신으로 직업은 공증인이었고 어머니 카타리나는 가난한 집안의 딸이었다. 이들 사이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당시 부친의 나이 23살로 결혼 전이었으나 모친은 사회적 신분이 낮았고 지참금을 낼 수 없을 정도로 가난한 집안 출신이었기에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 위키백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서자로서 악인이라면, 연산군이 있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