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1/19 16:26:24
Name 양찬군주
File #1 천추가계도(수정).PNG (0 Byte), Download : 576
Subject [일반] 헌애왕후(천추태후)를 포함한 고려 초기 왕실의 가계도(家系圖)


어제 천추태후 재방송을 보면서 노트에 태조 왕건의 직계들을 적어내려가다가

문득, 시간이 남기에 이미지로 만들어 봤습니다.

PNG 파일이 올라가는 것 같네요.

아무래도, 고려 초기 왕권 강화와 황실의 위엄을 높이기 위해 근친, 종친간의 혼인이 다반사였고

때문에 1~11대 고려 황제들의 가계도는 태조 왕건 29명의 왕후들 자제에서 그리 멀리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확실히 천추태후, 황보수 즉 헌애왕후와 황보설인 헌정왕후가 고려 초기 왕실의 중심적 인물임을 알 수 있네요.


위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

1. 경종과 헌애왕후(천추태후)는 혼인 관계이자 사촌 관계(외사촌, 종형제 동시 성립)

2. 왕치(성종)과 황보수(헌애왕후,천추태후)와 황보설(헌정왕후)는 모두 친남매이지만 여자의 경우 모계를 따라
   할머니이자 왕건의 왕후 황보씨(신정왕후)의 성을 따라 황보 성을 사용.

3. 천추태후에게 왕건은 친할아버지, 경종에게 왕건은 친할아버지이자, 외할아버지가 동시 성립.

4. 경종은  사촌 관계인 성종에게 왕위를 선위, 그 후 경종과 천추태후간의 아들이며 성종의 조카가 되는 목종이 후대 황제가 됨


PostScript : 그림 사이즈 조절을 해봤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1/19 16:59
수정 아이콘
그림 크기는, 가로 640 픽셀 정도로 하시면 적절할 듯 합니다. ^^;;
화이트푸
09/01/19 17:07
수정 아이콘
국사에 대해서 전혀 무시하다 보니 이거 봐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이런글로 인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게 해준다는 의미에서 참으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녹차한잔의여
09/01/19 17:21
수정 아이콘
저도 천추태후 보면서 이놈의 황실이 어떤건지 알아보려고
계보를 다 찾아봣었는데^^;
저같은 분이 또 계시네요..
헌정왕후(신애 분)은 사촌(경종)과 결혼했다가 죽자
삼촌(왕욱/경주원군)과 결혼하고 참 복잡하죠^^;;
스타나라
09/01/19 17:21
수정 아이콘
헌정왕후가 그제 방송에서 다른 남자가 좋다고 질질짜던 그 왕후인가요? 헌애왕후가 천추태후이고..

결국에는 왕욱과 결혼 하는가보군요.

이거이거;;; 처음부터 쭈욱 보는게 아니라 뭐가뭔지도 잘 모르겠네요^^;
09/01/19 17:39
수정 아이콘
고려 가계도는 솔직히 토나옴 -_- 다 연결되어있어 젠장....
09/01/19 17:42
수정 아이콘
이미 왕후가 되었던 사람이 다시 결혼할 수는 없지요. 남편인 경종이 죽은 후 사가로 내려가 있다가 왕욱과 간통하여 아이를 낳았는데 그 아이가 천추태후의 아들인 목종 사후에 현종이 된다고 합니다. 고려시대는 유교적 잣대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죠. 왕권강화를 위해 근친혼이 성행했는데 국사시간에 배울 때는 족내혼이라는 단어로 배우기만 하고 지나가서 무슨 뜻인지 잘 몰랐더니 이런 듯이 숨겨져 있더군요. 결국 고려말에 이르면 왕들이 남자구실을 못하는 신세가 많아지고요.
밑힌자
09/01/19 23:32
수정 아이콘
이거 보고 있는데 갑자기 아는 사람 전화가 와서 왜 여성 친자매가 왕씨를 쓰지 않고 황보씨를 쓰는지 물어보더군요;; 덕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크크...
꼬마산적
09/01/20 00:53
수정 아이콘
hoho9na님// 또한 고려 초기가 귀족 연합체 성격이 강햇고
그덕에 광종대에 호족과 황족이 많이 죽었죠
게다가 경종 초기에 또한번 피바람이 불어 황족이 몇 안남았었읍니다
그래서 종례혼 즉 근친혼이 필요에의해 성행한것도 있고요.
양찬군주
09/01/20 00:59
수정 아이콘
요즘 막장드라마다 반막장드라마다 말이 많은데, 스스로 도표를 완성해가면서 문득 이런 생각도 들더군요. 정말 저 위에 나열되어 있는 인물만으로도 현재 시점에서 드라마 80회분량은 충분히 채울 수 있겠구나...
그러나, 저 인물들이 과연 우리가 브라운관이나 모니터를 통해 보는 1차원적 삶을 살았을지에 대해서는 글쎄요. 요즘 선한 사람은 때려죽여도 선하고, 악한 사람은 죽은 후에도 악하기만한 전근대적 케릭터를 너무 자주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인정옥 작가나 노희경 작가, 그 외 뚜렷한 작가정신을 가지고 있는 많은 분들이 뱉어내던 살아있는 대사들이 너무나 애타게 기다려집니다.
서늘한바다
09/01/20 01:30
수정 아이콘
밑힌자님// 원래 원칙대로라면 어머니성인 유씨성을 써야 하지만 원체 어렸을 때 어머니가 돌아가셨고 할머니가 키웠서 친할머니의 성을 따랐어요.
밑힌자
09/01/20 01:48
수정 아이콘
서늘한바다님// 오옷 답변 갑사합니다
나해피
09/01/20 02:5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림 매우 보고 싶은데 저는 왜 그림이 안 보이죠.. 누가 좀 알려주세요.
09/01/20 08:33
수정 아이콘
천추태후 친할머니도 황후였군요. 태조왕건에 나왔던 3번째 황후... 전미선씨였나?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양찬군주
09/01/20 14:24
수정 아이콘
나해피님// 지금도 안보이시는지 궁금하네요. 제목 위에있는 첨부파일을 클릭하시거나 우클릭 열기 하시면 이미지를 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해피
09/01/21 00:22
수정 아이콘
양찬군주님// 지금은 보입니다. 힘들게 만드신 것 같은데 저는 이런 역사 이야기 좋아하는데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이 그림 제가 다운 받아서 가지고 있어도 되는 거겠죠? (안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양찬군주
09/01/21 06:44
수정 아이콘
나해피님// 물론이죠 ^^ 마음껏 퍼가셔도 괜찮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021 [일반] 그 때 그 날 - 과거 (5) 궁 밖으로 [6] 눈시BB5349 11/09/29 5349 1
31935 [일반] 근친혼이 허용되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118] kkong11815 11/09/25 11815 0
29833 [일반] 인간과 동물의 구분 기준 [177] 유유히9055 11/06/20 9055 1
28709 [일반]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으로 본 한국의 대중문화(음악)분석 -아이돌을 중심으로 [6] 정우비셀스 규리하9744 11/04/27 9744 3
28445 [일반] 전자발찌의 효용성에 관한 고찰 [50] 수선화4753 11/04/15 4753 0
27340 [일반] 나만 몰랐던 이야기 뮤비... 방문자 인적사항의 비밀이 안풀립니다. [13] 산타9125 11/02/18 9125 1
26899 [일반] [잡담] 0% [3] 언뜻 유재석4032 11/01/24 4032 1
25726 [일반] 심야 데이트 후기4 - 철딱서니 없는 것 - [8] fd테란5390 10/10/13 5390 0
25610 [일반] 일본 10월 신작 애니메이션 간단하고 개인적인 리뷰 [22] 방과후티타임5960 10/10/08 5960 0
19505 [일반] [서양화 읽기] 그림이 당신에게 묻다 -2- [11] 불같은 강속구8180 10/02/12 8180 5
16391 [일반] 내 생에 최고의 영화 Best 5 [97] 엠피삼9052 09/10/02 9052 1
15674 [일반] 우리나라,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을까요? [18] SkPJi4102 09/09/02 4102 0
15661 [일반] 내 친구가 게이 [205] 유유히11868 09/09/02 11868 1
12102 [일반] [세상읽기]2009_0421 [29] [NC]...TesTER4603 09/04/21 4603 0
11062 [일반] 컴백 스페셜 - 한국 호랑이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 - [49] 9191 09/02/21 9191 9
10439 [일반] 헌애왕후(천추태후)를 포함한 고려 초기 왕실의 가계도(家系圖) [16] 양찬군주15043 09/01/19 15043 0
5609 [일반] 이명박 대통령의 그간 두달간의 행보~ [40] 글세다5913 08/05/02 5913 1
2948 [일반] [가벼운 책읽기] 남경태, 개념어 사전 [10] kikira4369 07/10/11 4369 0
2530 [일반] 생물학도로서 바라본 진화.... (그리고 창조론?) (수정) [50] whermit4597 07/09/01 45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