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6/25 12:20:44
Name EnergyFlow
File #1 131867298.1.edit.jpg (1.47 MB), Download : 577
File #2 123123123123123123.png (1.16 MB), Download : 566
Link #1 https://original.donga.com/2025/sinkhole1
Subject [일반] 동아일보에서 조사한 서울시 싱크홀 안전지도






https://original.donga.com/2025/sinkhole1

동아일보 취재팀이 한국지하안전협회와 함께 서울시내를 각 행정동별로

△지반 △지하수 △지하철 △지반침하 이력 △노후 건물 분포 정보를 기준으로 분석한 뒤

지질분포(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울시 지질도), 충적층·토사층 두께(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지반정보통합DB)

지하수위(서울시 지하수 측정연보), 지하수위저하(서울시 지하수 보조관측망 변동분석), 토양침투성능(국립농업과학원 토양분포도)

지하철 노선분포·정거장 밀집도(서울시지하철노선도), 지반침하이력 밀집도 및 규모(지하안전정보시스템)

30년 이상 노후건물 분포도(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전도를 1∼5등급으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링크에 들어가보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량사용자
25/06/25 12:24
수정 아이콘
잘가라 여의도.
빼사스
25/06/25 12:25
수정 아이콘
근데 안전은 죄다 지대가 높은 곳인 것 같은 느낌이...
쵸젠뇽밍
25/06/25 13:36
수정 아이콘
지대가 높은 곳은 못해도 수천만년동안 버틴 곳이라.
지하철등의 이유로 인위적으로 뚫은 곳 위 정도가 아니면 안전하죠.
포도씨
25/06/25 14:37
수정 아이콘
느낌이 아니라 산인데요? 크크
25/06/25 12:31
수정 아이콘
서울 부촌들은 죄다 당첨이네요
몽키매직
25/06/25 13:21
수정 아이콘
한남동 반포1동 도곡/대치 일부 정도만 빠졌네요...
전기쥐
25/06/25 12:32
수정 아이콘
원래 강남이 지대가 낮고 뒤늦게 개발된거라..
탑클라우드
25/06/25 12:33
수정 아이콘
과거 지반 침하 등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지 않고 고층 건물들을 마구 올린 지역들은,
상하수도 지도는 정확히 확보하고 있는건지 너무 걱정됩니다.
솔로몬의악몽
25/06/25 13:21
수정 아이콘
건설업에 계시던 분하고 얘기를 해봤는데, 지하철 공사 시 건설사에서 손실을 많이 보는 이유가 서울시에서 가지고 있는 지도하고 실제 땅을 파보면 나오는 것들하고 엄청 많이 다르다고 하네요. 그래서 9호선 건설할 때 어디 한 곳을 제외하고는 수십% 대의 손실을 봤다고...;;; 즉 100억짜리 공사면 30억을 손해봤다는거죠. 모르긴 몰라도 상하수도 지도가 정확히 되어 있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5/06/25 12:35
수정 아이콘
강남은 양재서초도곡이 승자인가요 덜덜
LuckyVicky
25/06/25 12:36
수정 아이콘
아뇨 압구정대치반포요!???!?!?!!!!
우리아들뭐하니
25/06/25 12:36
수정 아이콘
왜 지하철보다 지상철 트램을 하는지 알것같기도..
25/06/25 12:36
수정 아이콘
유일한 1등급에 싱크홀 생기는 순간 서울도 끝날 듯 크크크크
25/06/25 12:40
수정 아이콘
1등급은 싱크홀보다 산사태 같은걸 걱정해야 하는 동네...
25/06/25 12:41
수정 아이콘
저기에 싱크홀이 생기면 서울이 문제가 아닐...
덴드로븀
25/06/25 12:44
수정 아이콘
1등급에 싱크홀이 생길만한 경우를 아라보자

1. 화산폭발
2. 핵실험
3. 대지진
타카이
25/06/25 12:48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싱크홀이 생기려면 물이 들어오고 나가고가 필요해서...힘든 곳입니다
Far Niente
25/06/26 10:44
수정 아이콘
관악산에 싱크홀이라.. 이거 귀하군요
25/06/25 12:43
수정 아이콘
서울이 생각보다 지진에 많이 취약할 것 같긴하네요.. 별다른 자연재해없이도 도로가 뚫리는 중인데.
로피탈
25/06/25 12:50
수정 아이콘
비교적 안전한 곳들은 거의 다 고지대네요
Mini Maggit
25/06/25 13:01
수정 아이콘
오 미래를 고개를 들어 어쩌고 근거가 있었네
신천지는누구꺼
25/06/25 13:1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서울은 평생들고 가야할 자산

팔지않습니다.. 흔들리지 않습니다..
25/06/25 13:16
수정 아이콘
응 그래서 안 살거야?
이런말 나올듯하네요.
수퍼두퍼
25/06/25 13:16
수정 아이콘
서울대 쪽이 제일 안전하군요
라방백
25/06/25 13:18
수정 아이콘
그래도 노란색이었구나..
Mea Clupa
25/06/25 13:26
수정 아이콘
서울이 천재지변이랑 전쟁에 취약합니다??
dolce biblioteca
25/06/25 13:30
수정 아이콘
상계동은 대체 왜 저 주변에서 혼자 위험이죠...
타마노코시
25/06/25 13:38
수정 아이콘
많은 아파트.. 중랑천변..
쵸젠뇽밍
25/06/25 13:39
수정 아이콘
중랑천보다 지대가 낮다고 하네요. 흙 때려 부어 그 위에 아파트 지은 형태라 합니다.
조랑말
25/06/25 13:39
수정 아이콘
중랑천 따라서 가는 방향이면 중계역~마들역~상계역 구간으로 보이는데 이 쪽 지대가 대체로 낮긴하죠.
중랑천, 당현천 수위와 거의 밀접하다보니 그만큼 지반이 약하지 않나 싶습니다.
25/06/25 14:04
수정 아이콘
아파트가 원인이면 저도 이해가는게 저기가 진짜 무식할정도로 아파트가 많습니다
중랑천 끼고 있고 창동에서 혼자 4등급인 창4동도 동 자체가 아파트라고 해도 될 정도임
미드웨이
25/06/26 00:28
수정 아이콘
싱크홀이 생기는 지역은 보통 하천이나 습지였던 지역을 메운경우가 많죠
시린비
25/06/25 13:37
수정 아이콘
알려져봤자 땅값 떨어질거같지도 않은데...
회색사과
25/06/25 13:41
수정 아이콘
어차피 다 위험지대면 부촌이 지반 공사를 잘 해놨을 거라며 오를 지도...
메르데카일일팔
25/06/25 13:43
수정 아이콘
기를 쓰고 공개를 반대하긴 했죠...
타츠야
25/06/25 15:51
수정 아이콘
떨어지는데 영향은 없어도 오르는데는 영향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기를 쓰고 반대한 것이고.
25/06/25 13:40
수정 아이콘
안전지대란 없다 이거네
짜부리
25/06/25 13:43
수정 아이콘
누가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역시 관악이야
아케르나르
25/06/25 13:56
수정 아이콘
저같은 적록색약은 헷갈릴만한 지도네요. 1등급은 아예 하늘색이나 파란색으로 해놨으면 좋았을텐데.
살려야한다
25/06/25 14:06
수정 아이콘
대충 집 비싼 곳 지도
기다리다
25/06/25 14:15
수정 아이콘
반포자이 대승리!!
HA클러스터
25/06/25 14:16
수정 아이콘
이제 슬슬 수해 해저드 맵도 공개를 해줘야...
허락해주세요
25/06/25 14:34
수정 아이콘
애초에 조건 자체가 평지+천변+지하철 많음+노후건물 많음 이면 부촌일 가능성이 높은 곳들이네요.
김삼관
25/06/25 14:37
수정 아이콘
대학동 서림동 안전안전
25/06/25 14:38
수정 아이콘
고고한 관악의 위엄
아리아
25/06/25 14:41
수정 아이콘
공덕은 왜 높을까요...
무지니닷
25/06/25 15:42
수정 아이콘
저도 만리재고개가 있어서 왜그럴까 생각했는데
지하철 역이 4개노선이 지나서 그런듯합니다. 조만간 5개 지나가니 지반이 충분히 약할 것 같네요
덴드로븀
25/06/25 15:43
수정 아이콘
https://blog.naver.com/thirdbad/220596225568

이런식으로 예전에 하천이 있었던것 같네요.

뜬금없어보이면 옛날에 하천이었거나 지하철 공사가 엄청 많거나...
밀크티라떼
25/06/25 15:10
수정 아이콘
다 벌거니까 딱히 땅값에 영향이 있을 것 같지도 않네요;;
가위바위보
25/06/25 15:24
수정 아이콘
자기부상 밑 상온 초전도체, 반중력 기술 상용화 이후 모든 주택들을 부유하도록 만들면 되서 괜찮습니다!!!
iamabook
25/06/25 15:31
수정 아이콘
독야청청 대학동..
25/06/25 16:45
수정 아이콘
고시촌 튼튼한거 보소
25/06/25 20:58
수정 아이콘
301동으로 이사가야겠네요
young026
25/06/29 13:34
수정 아이콘
너무 높아요...
25/06/25 21:01
수정 아이콘
2->3->4 로 옮겨다녔네요. 점점 위험해지네.
Far Niente
25/06/26 10:44
수정 아이콘
자산이 우상향했다는 증거입니다!
25/06/26 20:44
수정 아이콘
그럴리가요... 쌍문3->역삼2->창4 에요. 왜 예전에 살던곳으로 돌아왔을까요...
키작은나무
25/06/26 02:36
수정 아이콘
비싼곳일수록 교통이나 기타 공사가 많았고, 한강변을 메꿔 만든 곳이고.. 그런거같네요. 
25/06/26 11:27
수정 아이콘
엇 싱크홀 위험이 클수록 집값이 높다? 고로 싱크홀을 많이 만들면 우리동네도 집값이 올라가겠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553 [일반] 심심해서 해 본 Golden 가사 번역. [8] ArcanumToss5183 25/07/19 5183 5
104552 [일반] 중세 봉건제는 없다? [4] 식별3178 25/07/19 3178 10
104551 [일반] [펌] 미국인들의 가계소득 대비 미국 주택가격 [33] 독서상품권6608 25/07/19 6608 1
104550 [일반] 중세 유럽은 없다? [6] 식별4651 25/07/19 4651 12
104549 [일반] 프랑스 왕세자는 사실 독일 제후였다: 도팽과 도피네 [7] 계층방정3890 25/07/18 3890 10
104548 [일반] 말하기 어려운 것들 [22] 삭제됨6129 25/07/18 6129 32
104546 [정치] 세월호·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에 사과한 이재명 대통령 [92] Davi4ever12997 25/07/18 12997 0
104545 [일반] [초강 스포일러] 제게는 최악의 슈퍼맨 영화입니다 [36] 풍경8336 25/07/17 8336 13
104544 [정치] 2025년 제헌절 - 제헌헌법낭독, 합창 등 [3] Janzisuka4194 25/07/17 4194 0
104543 [정치] 전한길, 이미 한 달前 국힘 입당…비주류 '혁신에 역행' 반발 [64] Davi4ever11685 25/07/17 11685 0
104542 [일반] 인류 문명은 제 2의 산소가 될 수 있을까? [15] 일반상대성이론5807 25/07/17 5807 13
104541 [정치] 트럼프 대통령이 잘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111] 깐부10077 25/07/17 10077 0
104540 [정치] AI시대, 문화 예술 그리고 K-Culture에 관한 짧은 글 [2] Categorization2933 25/07/17 2933 0
104539 [정치]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30] Davi4ever7200 25/07/17 7200 0
104538 [정치] 李대통령, 여가부에 "청년 남성 차별 연구해 대책 만들라" [137] 달푸른15157 25/07/16 15157 0
104537 [정치] 정치 과몰입 비판글에 대한 해명 [94] Neuromancer8460 25/07/16 8460 0
104536 [정치] 이준석, ‘언어 성폭력’ 발언에 “이번에 데였다···어떻게 더 순화하나” [129] 자칭법조인사당군12730 25/07/16 12730 0
104535 [일반] 1년간 프리랜서 개발자 외주 주고 앱 개편 개판나버린 CGV 상태. 기획을 누가 했길래 [58] SAS Tony Parker 9751 25/07/16 9751 3
104534 [정치]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문제제기자를 피해자라고 칭해야 하는가, 피해호소자라고 칭해야하는가 (제3의 호칭도 상관 없음)’ [87] petrus9318 25/07/16 9318 0
104533 [일반] 가족제도에 대한 공상 [14] 번개맞은씨앗4886 25/07/16 4886 1
104532 [정치] 이재명의 인사 철학은 기계적 중립일까요? [178] ArcanumToss11655 25/07/15 11655 0
104531 [일반] 알래스카 가스관에 대한 공상 [33] 번개맞은씨앗6828 25/07/15 6828 1
104530 [정치] 서울시 모스탄 초청 후 취소 [56] lightstone12197 25/07/15 121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