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27 00:10:19
Name Timeless
Subject [일반] AI야~ Timeless풍으로 pgr에 글 하나만 써줘! (수정됨)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입니다, Timeless입니다.

        

다들 잘 지내고 계신지요? 저도 한동안 정신없이 지내느라 pgr21 눈팅 회원으로 전락(?)한 지 꽤 됐네요. 가끔씩 회원분들 글 보면서 '아, 다들 살아계시는구나' 안심하면서 지냈습니다.

        

저는 요즘 병원 진료도 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특히 AI 관련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발전 속도는 정말 'GPT가 GPT를 만드는 수준'이랄까요. 농담처럼 말했지만, 현실이 되는 중이라 살짝 소름 돋는 느낌입니다.

        

사실 얼마 전 딸 Timekid와의 일화가 있었는데요.

            

Timekid: 아빠, GPT가 뭐야?

Timeless: 음... 컴퓨터가 스스로 글을 쓰고 말을 하는 거야.

Timekid: 그럼 아빠랑 똑같네?

Timeless: ??? (딸이 날 GPT로 생각하는 건가...)


생각해보니 어느새 인간 의사와 AI의 구분이 점점 희미해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게 실감이 나더라고요. 의료분야에서는 아직 완벽하지 않지만, 적어도 환자들에게 설명을 아주 친절하게 반복해주는 역할만큼은 AI가 저보다 더 잘하는 것 같습니다 (반성해야겠어요).

        

pgr21 회원분들은 요즘 AI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점, 걱정되는 점 모두 나눠주시면 저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P.S. AI가 제 유머까지 따라잡지 못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 진짜 할 게 없어요ㅠㅠ)


------------------------------------------------------------------------------------------------------------------        
        

진실 혹은 AI?

        

다시 한 번 인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리는 Timeless입니다. 

윗 글은 chatGPT 프로젝트로 생성한 'Timeless풍 글쓰기 AI'에게 아래 프롬프트로 작성한 글 무수정본입니다. 

"오랜만에 쓰는 것이니까 회원들 안부를 묻고 내 근황을 간략히 이야기 한 후 요즘 AI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는 글이야. 인사이트풀한 글과 적절한 유머감각을 섞어서 작성해줘."

사용 모델은 글쓰기를 잘한다고 알려진 chatGPT 4.5입니다. 아직 제 유머는 못 따라오는 것 같지만 제가 썼다고 해도 크게 어색하지 않은 수준 같습니다. 

        

먼저 Genspark 슈퍼에이전트에게 Timeless 글쓰기를 파악해서 기초 프롬프트 만들라고 시켰고(그림 1), 거기에다 여러 개 실제 제 글을 추가로 제공해서 'Timeless풍 글쓰기 AI'를 생성했습니다.

            Genspark 슈퍼에이전트 Timeless 글쓰기 파악 과정
            그림 1: Genspark 슈퍼에이전트의 Timeless 글쓰기 스타일 분석 및 프롬프트 생성 과정
        

그리고 무맥락으로 '텍실타 유머글 하나 써줘'도 시켜보고(그림 2), 더 개선해서 이 글의 본문 작성을 시켜봤습니다. 

AI 생성 텍실타 유머글
            그림 2: 'Timeless풍 글쓰기 AI'에게 요청한 유머글 생성 예시

        

여기에 제 목소리를 학습시킨 AI 보이스로 읽게 할 수도 있고, 영상도 생성해서 만들 수도 더 풍부하게 만들 수도 있겠죠. 

저는 요즘 디지털 헬스케어+AI 업계에서 일하는 중입니다. 한국의 '열나요', 미국의 'FeverCoach AI'를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에 관련 책도 하나 출간했습니다(챗GPT로 만나는 우리집 AI 주치의, 한빛미디어). 

        

AI가 정말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서 매일이 심심하지 않네요. 

구글이 이번에 전방위적으로 서비스를 내놓았고, Claude가 개발 최고 성능인 4시리즈를 냈습니다. 

지브리 이후 짜게 식어버린 chatGPT는 어떻게 나올지, 머스크의 Grok은 또 어떤 걸 선보일지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우리 횐님들도 AI 시대에 잘 활용하고 계시나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7 0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항상 건강하시면 좋겠고 텍실타 같이 좋은 글 많이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좋은 서비스 만들어주시면 사람들한테 도움이 많이 되겠네요.
저도 IT바닥에 오래 있었는데 젠스파크AI는 덕분에 알아갑니다.
AI 시장의 격렬한 변화가 참 대단하네요.

저는 주로 코딩용으로 AI를 쓰는데 전반적으로 맡기기보다는 코드 조각을 빠르게
단위별로 생성시키고 전체 흐름과 테스트는 제가 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습니다.
AI가 생성하는 코드 흐름과 제가 생각하는 방향이 다르면 나중에 다른 개발자에게
설명하기가 좀 번거롭더라구요.
전반적으로 입맞에 안 맞는 것은 AI가 아직 저를 몰라서 그렇겠죠.
저를 학습시켜야 하나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Timeless
25/05/27 09:22
수정 아이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개인의원 운영하다가 진료는 다른 훌륭한 선생님들도 많이 계시니까, 다른 분야에서 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은 생각으로 이쪽 일을 하고 있습니다.

코딩에서는 자동차나 3D 프린팅에 많이 비유하는 것 같더라구요. 작은 부품은 빠르게 꽤 잘 만드니까, 그런 작업들을 위주로 시키고 사람 개발자는 전체를 총괄하면서 AI가 잘 못하는 부분은 직접 하기도 하고. 지금 잘 안 맞는 부분도 시간이 흐르면 점점 나아질꺼라 생각합니다. 특히 구글이 이번에 발표한 '알파이볼브' 같은 에이전트가 길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십자포화
25/05/27 07:22
수정 아이콘
제미나이를 주로 웹소설 쓰는데 자료 서칭 용으로 활용합니다.
집필 보조용으로 활용해보려고 테스트 해봤는데 아직 감정의 높낮이 조절이나 작가의 밈 활용 등 크리에이티브 및 트렌디한 분야는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하더군요. 최근은 자료도 제가 직접 찾는 데 익숙해져서 점점 더 안 쓰는 경향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필요할 때 유용한 조수로 활용하기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Timeless
25/05/27 09:26
수정 아이콘
AI가 일상글이나 정보글은 잘 쓰지만, 소설과 같은 창작분야는 아직 사람 취향에 모자란 것 같습니다.

그래서 AI 글쓰기에 대한 평가가 꽤 갈립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자료 조사, 정보 수집에 있어서는 이견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몇 가지 서비스의 딥리서치 기능해서 정보를 모으면 내가 전혀 모르는 분야도 손쉽게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현직 전문가의 생생함은 부족하지만 그건 어차피 사람이 조사할 때도 마찬가지라 인터뷰로 해결하면 될 것이구요.

이제 1인 개발자 시대가 오는 것처럼 1인 작가 시대도 곧 오겠죠. 문과(?) 영역이라 그런지 속도가 좀 덜 날 수도 있겠습니다만.
25/05/27 11:07
수정 아이콘
https://developers.googleblog.com/ko/introducing-txgemma-open-models-improving-therapeutics-development/

이쪽 로컬모델도 혹시 좀 돌려보셨나 궁금합니다. AI의 시대 넘모 무서운것...
Timeless
25/05/27 21:20
수정 아이콘
현재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는데, 이것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됐든 저희 서비스 구현하는 데 어려움은 없어 보입니다.
포도씨
25/05/27 18:47
수정 아이콘
GPT야 이 글 세 줄로 요약해줘!
이러면 잘 적응하는건가요? 크크
개인적으로 제가 생각했던 인공지능시대와 지금의 모습이 많이 달라서인지 기대에 많이 못미치네요.
ChatGPT가 처음 나왔을 때만 하더라도 도대체 어떻게 구현된건지도 이해 못하는 새로운 과학기술들이 쏟아져 나올 것 같았는데 지브리풍 애니프사나 만들고 있다니...
Timeless
25/05/27 21:21
수정 아이콘
지금은 아직 기술 성숙기가 아니라 그러실 수도 있습니다. 관련 산업계에 있으면 엄청난 변화를 느낄 수도 있고, 아니면 로봇청소기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25/05/27 22:39
수정 아이콘
다른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AI 서비스를 절대 연간 구독해선 안돼!"
Timeless
25/05/27 22:43
수정 아이콘
여러 서비스를 연간 구독하시면 옮겨타지 않아도 됩니다!
25/05/28 01:38
수정 아이콘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341 [일반] [서평]《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왜 다들 “1부만 보세요”라고 할까 [13] 계층방정7938 25/06/19 7938 8
104340 [일반] 신세계는 광주에서 뭘 하려 하는 것일까? [23] leiru10847 25/06/19 10847 5
104339 [정치] 이스라엘의 이란 기습공격 5일, 나는 어떻게 보고 있나? [88] 후추통16325 25/06/18 16325 0
104338 [일반] AI가 내말에 OK만 하는거 같으면 AI의 성격을 바꿔보자 [10] 여기8811 25/06/18 8811 1
104337 [정치] 이재명 대통령의 첫 순방 [119] 빼사스15428 25/06/18 15428 0
104336 [일반] 한 예언자가 1400여년 전에 남긴 예언, 설명추가 [85] 평온한 냐옹이10728 25/06/18 10728 0
104335 [일반] 최근 읽은 일곱 권(교양서,소설) 이야기 [13] 수금지화목토천해5505 25/06/18 5505 6
104334 [일반] 국가별 기억나는 음식들 - 유럽 편 [10] 오징어개임4804 25/06/17 4804 7
104333 [일반] 심리와 사회 : 제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14] 번개맞은씨앗5438 25/06/17 5438 11
104332 [일반] 교회는 어떻게 돌아가는가:목사 고시+ 안수 [36] SAS Tony Parker 5821 25/06/17 5821 1
104330 [정치] 부동산 정책은 과연? [318] DpnI19875 25/06/16 19875 0
104329 [일반] 국가별 기억나는 음식들 - 아메리카 / 아프리카 [15] 오징어개임5433 25/06/16 5433 5
104328 [일반] 중고 패밀리카 구매 후기(with 케이카) [28] 유인촌7255 25/06/16 7255 21
104326 [일반] 국가별 기억나는 음식들 - 아시아편 [25] 오징어개임5391 25/06/16 5391 4
104325 [정치] [속보] 김건희, 서울아산병원 입원(지병악화) [83] 제논12816 25/06/16 12816 0
104323 [정치] 오늘 윤석열이 기자에게 한 말 [59] a-ha12789 25/06/16 12789 0
104322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5 [10] Poe3644 25/06/16 3644 33
104321 [일반] 요즘 AI가 내 말에 '오구오구' 해주는 이유 [44] 좁쌀7335 25/06/16 7335 3
104320 [정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본계획의 안이 나왔나 보네요 [184] 윤석열11076 25/06/16 11076 0
104319 [정치] [속보] 법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보석 허가 [119] 물러나라Y10608 25/06/16 10608 0
104318 [일반] 이성과 도덕 [30] 번개맞은씨앗5774 25/06/15 5774 0
104317 [일반] 페인터즈 공연을 보고 왔습니다. 時雨3436 25/06/15 3436 0
104316 [정치] 나는 얼마나 대단한 교통강자인가? [123] 럭키비키잖앙10471 25/06/15 104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