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8 23:09:4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69875116
Subject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원래 다른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공학에 대한 역사서를 읽고 있었는데, 도저히 진도가 잘 안나가서 책을 사서 쌓아놓기만 하고 정리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있던 책 중에 가장 친숙한 작가의 책을 다시 들고 읽었습니다. 분량도 짧았구요.

<1973년의 핀볼>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입니다. 그리고, 스스로 얘기하듯, 주방 탁자에서 쓴 마지막 소설이기도 합니다. (이후 하루키는 전업작가가 됩니다.) 하루키의 소설은, 언제나 '상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의 현재 나이와 시점은 다르지만, 과거의 무엇인가를 '상실'했고, 그 상실로 인해 어딘가로 빠져드는 이야기에 가깝습니다.

<1973년의 핀볼>이 조금 다른 점이라면, 하루키의 대다수의 이야기는 상실과 다른 세계를 연결지어 이야기를 진행하는데 비해, 이번 작품은 꽤 '현실적'이라는 거겠죠. <노르웨이의 숲>과 유사하게, 기담이나 판타지적 요소를 줄이고 훨씬 현실에 천착한 이야기에 가깝습니다.

소설 내에서 '나'와 '쥐'의 서술자가 헷갈리게 쓰여있습니다만, 이야기 자체는 (부담없는 분량과 더불어) 막 되게 어렵나 싶은 생각이 들긴 합니다. 어떤 물건이나, 때때로는 어떤 장면, 경험 같은 게 어떤 시기를 떠오르게 하기도 하고, 또 그런 순간을 되돌아보게 하는 측면에서, '핀볼'이라는 건 입구인 셈이겠죠.

개인적으로 눈에 띄는건, 하루키의 초기작에서 드러나는, '단절'에 대한 이야기에 가까운 것 같아요. 하루키의 초기작들은, 긍정적인 결말이더라도, 관계를 끊는, 고립과 단절로 시작하는 것 같거든요. (반대로 후기작으로 갈수록 포용 같은 느낌이 더 많이 들기 시작하구요.) 저는, 솔직히 말하자면, 약간은 그 단절과 불연속에 대한 지점이 조금 더... 취향에 맞습니다. 개인적인 감상과 감정에 조금 더 맞는 느낌이긴 하거든요.

덧. 하루키 책인데 오랜만에 성적인 요소는 약간 숨어있을 뿐 대놓고는 별로 안보이긴 하네요. 아쉽다.(?)
덧2. 뭔가를 해야겠다.는 강박감 때문인지 이번 주말에는 유독 이것저것 많이 하게 되네요. 꼭 좋은 것 같진 않습니다만... 뭐 결과가 나오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치블루
25/05/19 07:11
수정 아이콘
90년대에 노르웨이의 숲에 빠져서 그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찾아 읽었더랬어요.

핀볼 기계를 찾아내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저는 다 좋아합니다.
20대 때부터 지금까지도 늘 여러 생각을 하게 해주죠.
다른 작품과의 연결고리이자, 그 자체로도 기분 좋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aDayInTheLife
25/05/19 15:27
수정 아이콘
하루키를 추천하냐는 좀 애매하더라도, 저도 하루키의 (거의) 모든 책을 좋아합니다. 그 분위기는 하루키만 낼 수 있는 거 같아요.
25/05/20 08:52
수정 아이콘
저도 작년 말부터 갑자기 꽂혀서 하루키 장편소설들을 발표한 순서대로 읽고 있는데, 양 사나이와 쥐가 나오는 초기작의 느낌이 좋더라구요. 이후 하루키 소설의 모티프가 되는 모든 요소들이 함축되어 있는 것 같달까요. 그나저나 공학에 대한 역사서가 궁금하네요흐흐
aDayInTheLife
25/05/20 08:57
수정 아이콘
아 흐흐 디지털화에 대한 서적입니다. 디지털 이미지부터 시작하는데 여기서 넘어가질 못하네요. 크크크
25/05/20 10:37
수정 아이콘
이 책읽을까하다가 만엔원년의 풋볼알게되고 오히려 그책만 읽고 핀볼 이 책은 아직 안읽었네요
aDayInTheLife
25/05/20 11:43
수정 아이콘
흐흐 그거도 재밌나요? 추천해주시죠!
+ 25/05/21 10:20
수정 아이콘
1973의 핀볼이 만엔원년의 풋볼에 대한 오마쥬인것만 알고있습니다. 책은 뭐 익히 알고 있는 그시기 일본 소설입니다. 피폐하고 문장력 아름답고 중간에 읽기 힘들다가 마지막에 폭발하는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0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8)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完) [2] 계층방정333 25/05/21 333 2
104206 [일반] 그 날, 2편 회피와 기피 [1] 똥진국1863 25/05/20 1863 3
104205 [일반] SPC삼립 크보빵 생산공장 사망사고 [58] Croove6647 25/05/20 6647 5
104204 [일반] 친구의 병문안을 다녀왔습니다. [10] Enigma3715 25/05/20 3715 9
104203 [일반] [노스포]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후기 - 오타쿠는 오마쥬랑 수미상관에 약하다구 [24] 헤세드3359 25/05/20 3359 2
104202 [일반] 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73] 계층방정9360 25/05/20 9360 23
104201 [일반] 어떤 일본 축구선수의 만화와도 같은 생애 [35] 無欲則剛7235 25/05/20 7235 23
104200 [일반] SKT 해킹사태 2차 조사결과 IMEI 유출 가능성 발견 [79] 윈터11190 25/05/19 11190 7
104199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7] aDayInTheLife4855 25/05/18 4855 5
104198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3] 계층방정4053 25/05/18 4053 3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0] 如是我聞13492 25/05/18 13492 7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0353 25/05/17 10353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4] 여기7437 25/05/17 7437 13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6468 25/05/16 6468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1827 25/05/15 11827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6082 25/05/16 6082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8] 독서상품권12125 25/05/15 12125 1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8627 25/05/15 8627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7564 25/05/15 7564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24] 독서상품권10200 25/05/15 10200 6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63] Kaestro6637 25/05/15 6637 12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2] 모찌피치모찌피치4009 25/05/14 4009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7] 오징어개임6075 25/05/14 6075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