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6 00:50:38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67104833
Subject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만약, 액션 영화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인도네시아의 영화를 조금은 알고 계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 시리즈와, 그 감독에 대해서도 알고 계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0년대 초, 인도네시아서 만들어진 영국 감독의 영화 두 편이 액션 영화계에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거든요. 네, <레이드> 시리즈와 가렛 에반스 감독입니다. 넷플릭스 영화, <해벅>은 그 가렛 에반스 감독의 신작입니다.

저는 솔직히 말해서, 어떤 영화인지 잘 모르고, 그저 감독의 이름을 보고 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조금, 애매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러니까, 영화의 장점과 단점이 같은 장면에서 느껴진다고 해야할까요?
영화의 강점은 '아끼지 않음'입니다. 그러니까, 적어도 액션 씬을 넣으면 탄창 비워질 때까지 풀 오토로 때려갈기는 느낌이 물씬 풍깁니다. 과격한 셰이키 캠과 빠른 컷 편집, 감각적인 화면 구성이라는 기술과 동시에 한번 일할 때 확 몰아치는 느낌이 있어요. (넷플릭스니 18세가 아닌) 19세 딱지를 달고 있는 만큼, 폭력 묘사도 화끈하게 달리구요.

다만, 동시에 드는 느낌이 그 몰아침의 완급조절이 필요하긴 하다. 혹은, '과잉'이라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뭐 주요 인물들의 무한탄창도 그렇지만, 일정 시점에서는 영화가 지나치게 힘을 주고 과하게 담아내려고 했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장단점이 교차하는 지점은 셋업에도 있습니다. 어떤 함정 내지 딜레마에 빠진 주인공과 그 주인공이 최후의 결전에 돌입한다는 액션 영화에서는 왕도적인 기초공사가 초반부는 조금 지루하고, 후반부는 조금 급합니다. 1시간 40분 내지 30분 사이의 시간인데, 이야기를 균등하게 풀어나가기보단 조금 오락가락하는, 페이스 조절을 어려워하는 경향이 좀 느껴지더라구요.

결국에는 그렇습니다. 적어도 기대하는 바에 따라서 그 정도를 보여주는 영화긴 하지만, 또 아쉬운 CGI의 품질이나 (약간 2010년대 초 게임 느낌이 들더라구요) 이야기의 완급조절, 액션씬의 과도함 등이 좀 눈에 걸리긴 합니다. 결국은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느껴지다보니, 영화를 좋다/나쁘다라고 단적으로 말하긴 좀 애매한 작품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더라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16 10:39
수정 아이콘
레이드 시리즈 등 동남아 쪽 액션영화를 처음에 봤을때는 진짜 입이 쩍 벌어졌는데 갈수록 액션이 합을 너무 대놓고 맞춰서 그런지 태권도 품세나 약속 대련 퍼포먼스 보는 느낌이 들더군요.
aDayInTheLife
25/05/16 10:45
수정 아이콘
뭐 개인적으로 액션과 안무는 한끝차이라고 생각하긴 합니다. 크크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 현 트렌드, 리얼리즘과 좀 거리가 있는 느낌이긴 하죠.
i제주감귤i
25/05/16 16:49
수정 아이콘
초반 자동차 추격씬은 진짜 대단하긴 했습니다. 기술적 부자연스러움을 의도한듯 멋진 분위기로 연출해서 놀라웠어요
aDayInTheLife
25/05/16 17:47
수정 아이콘
그건 참 감각적이긴 하더라구요.
25/05/16 22:05
수정 아이콘
레이드 시리즈를 재밌게 봐서 저도 감독을 믿고 기대를 했던 작품인데 그만큼 실망이 컸습니다. 내용은 안 좋은 쪽으로 뻔하고 설정이나 캐릭터들도 나름 있어 보이려고 어떻게든 이리저리 꼬고 살을 덧붙였는데 오히려 안 하느니만 못한 수준, 그냥 형편없었습니다. 그럼 결국 핵심인 액션이라도 좋았냐 인데...한 명 죽이는데 탄창 하나를 쏟아붓고 날붙이로 난도질 하는 오버킬이 해벅 액션의 특징이지만 그런 피 터지는 과격함으로도 가릴 수 없는 뻣뻣함과 어색함이 너무 눈에 들어옵니다. 무엇보다 악역인 삼합희의 히트맨들이 외모나 하는 짓이나 그냥 동네 양아치랑 마약 중독자 정도고 체격도 작아서 뭔가 열심히 날뛰고 죽고 하는데 너무 폼이 안 나 나중 가면 웃음마저 나오더군요. 그나마 볼 만한 건 톰 하디 정도였네요. 감정 연기나 액션 연기나 홀로 독보적이더군요. 영화 수준 생각하면 아까울 정도로.
aDayInTheLife
25/05/16 22:29
수정 아이콘
연기나 배우들은 너무 좋더라구요.
그 포텐셜이 다 끌어내졌냐는 의문이지만..
주먹쥐고휘둘러
25/05/18 00:57
수정 아이콘
아직까지는 사람 갈아넣어가며 영화 찍는 문화가 남아있고 그게 어떤 미덕(?)으로 남아있는 지역과 그게 안되는 지역에서 그렇게 갈아넣을 수 없는 배우들로 찍는 영화의 퀄리티가 같을 수는 없을테고 그게 레이드와 해벅의 차이를 만든게 아닌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89 [일반] 맹물을 마시는데 전혀 갈증이 해소되지 않을때 [27] 김아무개8991 25/06/12 8991 4
104288 [일반] [영화공간] <인천상륙작전>에서 <바스터즈>의 향기를 느끼다 [6] Eternity4533 25/06/11 4533 8
104287 [일반] 오늘 나눈 대화 [10] 공기청정기4573 25/06/11 4573 4
104286 [일반] 논리와 시간 [39] 번개맞은씨앗8400 25/06/11 8400 0
104285 [일반] 러시아가 북한에 샤헤드-136 드론 생산 능력 제공 [37] 된장까스7378 25/06/11 7378 3
104284 [일반] 탕수육은 어딜가도 맛있다. [36] 인민 프로듀서6084 25/06/11 6084 10
104282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약스포) [2] aDayInTheLife3916 25/06/10 3916 1
104281 [일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웹 개발 지식 / 웹의 역사 [17] Fig.16630 25/06/10 6630 21
104280 [일반] 재미있는 역사 [19] 류지나5463 25/06/10 5463 10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6138 25/06/10 6138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6999 25/06/10 6999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5888 25/06/09 5888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1837 25/06/09 11837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5576 25/06/09 5576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9525 25/06/09 9525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6054 25/06/09 6054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477 25/06/09 4477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8908 25/06/08 18908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4655 25/06/07 4655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268 25/06/07 9268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8753 25/06/07 8753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10088 25/06/06 10088 1
104263 [일반] 내가 죽어도 살아있을 기업: 버핏은 죽어도 코카콜라는 남는다 [24] Eternity9498 25/06/06 9498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