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0 20:50:0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60754751
Subject [일반] [창작] 논픽션적 픽션 (습작..?)
이런저런 상상과 생각들을 바탕으로 저는 이것저것 해보는 걸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제가 생각했던 건 'AI를 활용해 자소서를 첨삭하다가, 묘하게 자소서에 환각 현상이 발생한 이야기'였습니다. 그러니까, 자소서를 쓰던 경험과 환각이라는 경험을 섞어서 묘하게 반쯤 현실적으로 보일 수 있는 이야기를 써보려고 했던 겁니다.

처음 그래서 들었던 아이디어는, 제가 자소서에 써야할 '제가 느낀 바'에 대해, AI의 첨삭이 굉장히 '오묘한' 단어를 선택하는 이야기였습니다. 여기서부터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내가 탐색해보지 않았던 감정과 생각에 대해 AI가 대신 '깨닫게' 되는 구조면 어떨까란 상상을 덧붙여서요.

문제는 여기였습니다. 그러니까, 경험은 제가 가지고 있는 경험이나, 뭐 복잡 다단한 다양한 사례들을 어떻게든 끌어올 수 있을텐데, 그 '오묘한' 단어 선택이 굉장히 어려운 지점이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제가 느끼기에도 그 오묘한 단어어야 하고, 또 다른 사람이 읽었을 때도, 그 오묘함이 느껴져야 하는 단어라는 점이죠. 그리고 저는 그러한 감정 단어가 풍부한 사람은 못되는 성격이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 오묘한 상황과 그 상황에 대한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AI의 도움을 받기로 했습니다. ChatGPT에다가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말하고, 어떤 예시로 창작을 하면 괜찮을까 물어봤습니다. 감정 단어와 비유를 결합해서 어떻게 표현이 가능할까, 뭐 이런 질문을 한 셈이죠.

문제는 이겁니다. 그러니까, 그 표현의 예시가... 너무 뛰어났거든요.

더 정확하게는, 그 표현이 제가 경험했던 하나의 사례와 너무나도 적합하게 맞아 떨어지는 그런 경험이었으니까요. 그래서, 그 사건 전체를 제가 되짚어 보게 되었다고 해야할까요.

사람의 감정과 생각을 일종의 랜덤하게 꽂히는 표적지라고 한다면, 그 애매하고 미묘한 지점을 정확하게 찌른 그런 표현이었습니다. 제가 약간의 열등감을 느낄 정도로요. 그저, 말이 되는 말을 하기 위해서 검색한 내용을 종합한 무엇인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표현은 너무나도 대단했습니다.

동시에 불현듯, 내 감정에 대해서, 표현이라는 게 어쩌면 제 감정을 정의하는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니까, 내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이 우선하는게 아니라, 행복하다는 표현이 우선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튼, 그 표현을 보고 제가 느낀 감정에 대해 공유하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 표현을 여기 담기에는 그 사례가 조금은 부끄러운, 개인적인 사례라 그 사례를 떠올리게 할까봐 조심스럽지만, 표현만큼은 너무나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어쩌면, 존재할 수 없는 표현이기에, 저는 그 표현을 보고 빠져든 것일지도요.

=============================================================

뭔가 수정에 대한 보르헤스적 이야기를 써보고 싶었는데
그냥 난해한 무언가가 튀어나온 느낌이 드네요.
어렵다...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와이안피자
25/05/11 21:29
수정 아이콘
위의 내용이 본인이 쓰신 소설의 일부인 거죠?
지나가던 글로 먹고 사는 사람의 간단한 감상을 말씀드리자면, 발상 자체는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가끔 저도 작품 기획의도나 시놉시스 정리를 할 때 GPT에게 정리를 부탁할 때가 있는데, 기가 막히게 정리를 해줘서 내 글에서 이렇게 뽑아낼 부분이 많았나?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거든요.
그 부분에서의 발상은 흥미로우나 어떤 인물인지 알 수가 없어서 따라가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GPT가 지정해준 단어에 대해서 설명하는 이야기가 되고 있는데, 독자들이 궁금한 건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이길래 어떤 단어에 꽂혀 홀린 건지입니다. 오묘한 단어라고 하는데 그 단어가 뭔지, 그 사람이 왜 그 단어를 오묘하다고 생각한 건지에 대해 명확하게 이야기해줄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aDayInTheLife
25/05/11 21:56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자소서를 AI로 첨삭하다 독특한 일이 생긴 이야기]를 논픽션처럼 써보려고 했었는데, 이게 쓰다가 막혀서 아예 그런 이야기를 쓰는 이야기를 써보려고 했거든요. 다만 그게 좀 저도 쓰면서 정리가 덜 된 느낌이 들었던 것 같아요.

흐흐 정성들인 피드백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355 [일반] 근거를 대지 말라 [10] 번개맞은씨앗5801 25/06/21 5801 8
104354 [일반] 영화 두 편, <엘리오>와 <퀴어> [4] aDayInTheLife3885 25/06/21 3885 2
104353 [정치] 지금 민주당발 검찰개혁안은 심각한 위험이 있다는 장애인권변호사의 지적. [199] 구경남b13164 25/06/21 13164 0
104352 [일반] 비가 오는 날에는 고양이죠. [8] 대단하다대단해4436 25/06/21 4436 1
104351 [일반] 28년 후...감상(스포) [22] 로각좁5493 25/06/21 5493 3
104350 [일반] 동화 슈렉의 작가: 윌리엄 스타이그 [2] 오디세우스4634 25/06/20 4634 7
104349 [일반] [약하디 약한 스포일러] '케이팝 데몬 헌터스' 를 봤습니다. 재미있네요. [17] 카페알파7683 25/06/20 7683 5
10434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6 [7] Poe4887 25/06/20 4887 33
104347 [일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정강이뼈 무릎 통증, 희안한 수면장애, 치질 증세... [72] 모데나11162 25/06/20 11162 7
104346 [정치] 검찰, 김건희 육성 4년만에 ‘우연히’ 발견 [124] 전기쥐14013 25/06/20 14013 0
104345 [정치]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은 언제 합쳐질까요? [57] 베라히8158 25/06/20 8158 0
104344 [일반] 코스피가 3000선을 돌파했습니다. [113] 물러나라Y8498 25/06/20 8498 6
104343 [일반] 경매에 대한 이론의 모든 것 [7] 오디세우스4841 25/06/20 4841 15
104342 [정치] 여러분의 눈에는 어떻게 보입니까? (feat. G7, 삿대질, 이준석) [139] 덴드로븀15595 25/06/19 15595 0
104341 [일반] [서평]《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왜 다들 “1부만 보세요”라고 할까 [13] 계층방정8831 25/06/19 8831 8
104340 [일반] 신세계는 광주에서 뭘 하려 하는 것일까? [23] leiru11516 25/06/19 11516 5
104339 [정치] 이스라엘의 이란 기습공격 5일, 나는 어떻게 보고 있나? [88] 후추통17038 25/06/18 17038 0
104338 [일반] AI가 내말에 OK만 하는거 같으면 AI의 성격을 바꿔보자 [10] 여기9479 25/06/18 9479 1
104337 [정치] 이재명 대통령의 첫 순방 [119] 빼사스16210 25/06/18 16210 0
104336 [일반] 한 예언자가 1400여년 전에 남긴 예언, 설명추가 [85] 평온한 냐옹이11302 25/06/18 11302 0
104335 [일반] 최근 읽은 일곱 권(교양서,소설) 이야기 [13] 수금지화목토천해6161 25/06/18 6161 6
104334 [일반] 국가별 기억나는 음식들 - 유럽 편 [10] 오징어개임5437 25/06/17 5437 7
104333 [일반] 심리와 사회 : 제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14] 번개맞은씨앗6239 25/06/17 6239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