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01 11:09:33
Name Quantumwk
Subject [일반] 이제 '강의'도 필요 없어지는 걸까요? (수정됨)
LLM 분야에서 계속 삽질만 하던 구글이 요새 엄청난 결과물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어제 또 재밌는게 나왔습니다.

Google에서 2023년 12월경에 출시 했던 NotebookLM에서 엊그제 한국어 팟캐스트 기능을 출시 했습니다. NotebookLM은 사용자가 올린 강의자료, 글, 유튜브 링크 같은 걸 올려놓고, 유저가 질문을 던지면 유저가 업로드한 자료만을 기준으로 답변 및 요약을 해주는 RAG 기반 서비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ChatGPT 같은 것에 비해 '환각'에서 훨씬 자유로운 장점이 있죠. 유저가 업로드한 자료에 '환각'이 있지 않은 다음에야....

팟캐스트 기능은 유저가 올린 자료를 바탕으로 2명의 가상 음성 AI가 (남자1, 여자1) 팟캐스트를 만들어주는 기능인데 사실 영어로는 이미 팟캐스트가 지원됐었고 해외 사용자나 영어듣기에 능숙한 유저들 사이에서는 이미 화제가 됐었지만, 한국어로 팟캐스트지원이 되는건 한국유저들한테 의미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한국어 말투가 꽤나 자연스러운 편이고 요약도 잘해주는 편입니다. 아웃풋 토큰의 한계인지 아직은 6~8분 길이의 팟캐스트 밖에 못만들어 주긴 하지만 기본적인 내용들은 어느정도 요약을 잘 해주고 귀에도 쏙쏙 들어 오는 편입니다.


예시로 공유해드릴 팟캐스트는 두개인데 첫번째는 많이들 관심 가지실만한 5월 나스닥 주식시장 전망에 대해서 여러 ai한테 딥리서치 같은것을 이용해서 리서치 시키고 그걸 모아서 업로드 한 후 팟캐스트로 만든겁니다. 좀 뻔하고 두리뭉실한 얘기만 하기는 하는데 내용보다도 그 자연스러움에 주목하시면 좋습니다.



두번째는 약간 덜 범용적인 내용으로 테스트 해봤는데 파인만 물리학강의 2권(물리학도들한테는 전설의 강의인데 칼텍에서 전문 무료로 공개 해버림)에서 전자기학의 핵심 방정식인 맥스웰 방정식에 관한 Chapter인 18,20,21을 업로드 해놓고 만든 팟캐스트입니다.




나스닥 전망은 전문가들의 시황 예측 유튜브 요약도 가능하지만 혹시 저작권에 걸릴까봐 AI가 생성한 것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5/05/01 11:15
수정 아이콘
오 이 방식은 환각을 매우 많이 줄일 수 있겠군요..
Quantumwk
25/05/01 11:18
수정 아이콘
NotebookLM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RAG라는 기술인데 요새 특정 분야에 특화된 AI들은 다 이 방식 쓰더군요. 이 방식은 소스가 잘못되지 않는한 환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전기쥐
25/05/01 11:19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이 방대한 자료들을 재빨리 요약하고 내가 원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만 추리고 싶을 뿐인데, 챗지피티 같은 데에 물어보면 환각의 위험이 있어서 두려웠거든요. 그런데 이런 방식이면 그런 경우에 대해 믿고 맡길 수 있겠네요.
Quantumwk
25/05/01 11:23
수정 아이콘
이미 자료가 있다면 무조건 notebookLM 같은 거 쓰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제미니도 좋긴 한데 notebookLM이 말씀하신 목적에 더 특화되어 있음. chatGPT는 기본적으로 자료 첨부 제한이 어느정도 있고 요약하라고 하면 내용 빼먹는 경우도 많아서 해당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O3같은 추론모델 쓰거나 딥리서치 사용할때 첨부자료 주고 보고서 같은거 쓰라고 하면 환각도 줄고 대체적으로 퀄리티가 더 좋아지긴 합니다.
전기쥐
25/05/01 11:24
수정 아이콘
말씀해주신 걸 들으니, 용도에 맞게 적절한 LLM을 찾아 이용하는 능력이 이제 필요한 시대가 아닐까 싶네요.
나는아직배가
25/05/02 15: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잼민이나 채찍피티도 커스텀으로 파고 거기서 외부 리서치 하지 말고 올린 자료만 가지고 분석할 것 하고 조건 달아 놓으면 환각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 같습니다. 잼민이는 자료 올리는 갯수도 충분히 넉넉하죠. 단점은 그런 범용 서비스들은 잔뜩 올린 걸 다음날 와 보면 기억을 못 하고 있다는 것...
Quantumwk
25/05/02 15:51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그래서 저도 좀 중요한 거 물어볼때는 자료 던져주고 시킵니다.

단점은 그런 범용 서비스들은 잔뜩 올린 걸 다음날 와 보면 기억을 못 하고 있다는 것... -> 근데 이것때문에 본문에 notebookLM을 활용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노트 정리 해놓듯이 내가 올려놓은 소스들이 그대로 있고 언제든지 본문처럼 팟캐스트를 만들던 그 소스에 대한 질문을 던지던 하면 되거든요. base 모델이 2.0으로 알려져 있어서 제미니 2.5프로로 하는 거보다는 못하지만 어차피 소스 베이스로 하는 거라 모델이 좀 멍청한게 크게 티가 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수식의 경우 latex 렌더링이 안되는게 매우 불편하긴 합니다. 유저들이 플러그인 만들긴 했던데 좀 귀찮죠.
나는아직배가
25/06/18 22:31
수정 아이콘
답변이 늦었는데, 결과물의 충실도에서 차이가 좀 나는 거 같아서 저는 기억상실 문제를 감수하고 notebookLM을 안 쓰고 있습니다. 잼미니 2.5 pro는 현존 최강 모델 같습니다...
글쓴이
25/05/01 11:48
수정 아이콘
구글은 다양한 소스의 어느정도 검증된 양질의 자료를 더 얻을 수 있겠네요. 대단합니다.
Quantumwk
25/05/01 11:52
수정 아이콘
그래서 결국 승자는 구글이 될거라는 소리도 많아요. oai 수츠케버 나가고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도 많구요

근데 oai가 사용자 선점을 워낙 빨리해서 oai는 결국 살아남기는 할거 같습니다.
25/05/01 12:44
수정 아이콘
오 이제 저걸 어떻게 써야할까에 대한 강의가 나오겠군요 크크크
Quantumwk
25/05/01 13:00
수정 아이콘
그냥 누가 5분짜리 유튜브에서 사용법 알려주는거 보면 될겁니다
25/05/01 13:34
수정 아이콘
누군가는 5분짜리 유튜브로도 충분한 정보를 뽑아내겠지만
권위있는 사람의 설명에 따라서 하나씩하는 거에 가치를 두는 사람도 꽤 많더라고요
Quantumwk
25/05/01 13:41
수정 아이콘
'권위있는 사람의 설명에 따라서 하나씩하는 거에 가치를 두는 사람' -> 이것때문에 사실 '유명한 사람'이라면 여전히 그 강의를 들으려는 수요는 있을 거라 보긴 합니다. 'AI'따위가 해주는 강의나 팟캐스트 듣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도 많이 있겠죠.
다크템플러
25/05/01 16:51
수정 아이콘
유료결제자고 연구관련해서 돌려보면서 느낀점은, 본문에도 쓰셨듯 뻔한 이야기를 알맹이없이 하는경우가많다는점이었습니다. 특히 비교적 자료가 찾기 쉬웠을 통설에만 입각해서 논의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래서 그 통설을 반박하는게 주 목적인 강의나 연구의 가치는 꽤 높은것같습니다. 아직까지는요.
물론 단순 지식주입 강의로서 효과는 크겠지만, mook 널려있는데도 안보는사람 대부분인걸 생각하면.. 진짜 쓸사람만 쓰지않을까싶어요
Quantumwk
25/05/01 16: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이 글에서 사용한 notebookLM은 이미 정리가 다 된 교과서나 논문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올려놓고 질답할때 쓰는 거긴 합니다. '연구'에 쓰는 건 아니고 학습용으로 쓰는 거에요.

chatGPT나 제미니를 연구 관련해서 쓸때 뻔한 얘기를 알맹이 없이 하는 경우가 많은 건 동의합니다. 프롬프트 잘 넣으면 가끔 괜찮은 답변 나오긴 하는데 준전문가 수준이면 다 알만한 뻔한 답변 이상은 잘 안나오기는 해요. 그래서 오히려 본인의 전문분야가 아닌 어설프게 아는 분야를 대상으로 쓰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런 논지로 여기에 글 쓴적도 있지만...
25/05/02 09:0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여기다 써서 올린 축구 칼럼 노트북 LM 맡겨보니 그럴싸한 축구팟캐스트 한편 만들어지는거보고 놀랐네요.
Quantumwk
25/05/02 09:16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사람이 쓴 논문이나 칼럼 올려놓고 팟캐스트 만들어서 들려주니까 놀라는걸 넘어서 소름끼쳐하고 불쾌해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디.
25/05/03 01:02
수정 아이콘
그리피스 양자역학 올려놓고 단원별로 만들어서 쏠쏠하게 복습중입니다.
Quantumwk
25/05/03 07: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notebookLM이 이런 목적에 최적화되어 있죠. 그 책이 pdf로 나왔나 보군요.
사부작
25/05/05 13:50
수정 아이콘
여기에 '개인화'를 더하면 정말 기존 강의보다 우월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17 [일반] 나라가 망하는 것보단, 이민을 대규모로 받는게 맞지 않을까요? [187] 마르키아르9380 25/05/26 9380 5
104216 [일반] 삼대가 모여사는 대가족이 받아들이는 국민연금 개혁안 [180] 호텔아프리카11946 25/05/26 11946 26
104215 [일반] 식당 자영업 문제 해결 방송(TV,유튜브)에 나오는 것에 대한 생각 [39] 깐부11192 25/05/25 11192 2
104214 [일반] <전,란> - 한국판 그래픽 노블을 기대해..도 될까요? (노스포) [2] aDayInTheLife7778 25/05/24 7778 1
104213 [일반] (스압,10mb)[515454]이세계 페스티벌 논란된 KOPIS 관객수 정정 [58] Neptune10121 25/05/24 10121 5
104212 [일반] 2025년 여름 코로나19 유행 주의하세요 [35] 여왕의심복13753 25/05/24 13753 78
104211 [일반] 롯데리아 크랩 얼라이브 버거(블랙페퍼) 평가 [35] 닉언급금지14355 25/05/23 14355 3
104210 [일반] I hate ALL!! [27] onDemand12335 25/05/23 12335 8
104209 [일반] MBC, 故오요안나 관련 기상캐스터 3명과 재계약 결정... 1명은 계약해지 [121] 홍검19883 25/05/22 19883 8
104208 [일반] [강스포] 미션임파서블 : 파이널 레코닝 후기 - 인물 중심으로 [32] AMBattleship11084 25/05/21 11084 1
104207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8)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完) [4] 계층방정10897 25/05/21 10897 7
104206 [일반] 그 날, 2편 회피와 기피 [10] 똥진국8825 25/05/20 8825 13
104205 [일반] SPC삼립 크보빵 생산공장 사망사고 [92] Croove16533 25/05/20 16533 8
104204 [일반] 친구의 병문안을 다녀왔습니다. [16] Enigma9609 25/05/20 9609 11
104203 [일반] [노스포]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후기 - 오타쿠는 오마쥬랑 수미상관에 약하다구 [26] 헤세드6626 25/05/20 6626 4
104202 [일반] 중국인 흉기난동 사건: 말해도, 말하지 않아도 혐오는 커진다 [76] 계층방정12949 25/05/20 12949 23
104201 [일반] 어떤 일본 축구선수의 만화와도 같은 생애 [42] 無欲則剛10378 25/05/20 10378 27
104200 [일반] SKT 해킹사태 2차 조사결과 IMEI 유출 가능성 발견 [81] 윈터13397 25/05/19 13397 7
104199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9] aDayInTheLife6861 25/05/18 6861 5
104198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7)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6) [3] 계층방정5744 25/05/18 5744 4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3] 如是我聞15818 25/05/18 15818 8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2559 25/05/17 12559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5] 여기9086 25/05/17 9086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