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25 11:19:54
Name 덧물
File #1 KakaoTalk_20250425_110448133_01.jpg (77.7 KB), Download : 2565
File #2 KakaoTalk_20250425_110448133_02.jpg (72.7 KB), Download : 2563
Subject [일반] 아래 간짜장 글을 보고 써보는 글입니다.




부산에 있는 대학교 다니던 시절 가장 맛있게 먹었던 메뉴는 단연코 "탕수덮밥"이었습니다.
(대학 졸업이 4반세기 전이라 지금은 없을 것 같습니다.)

집 주변의 중국집이 많이 있는데,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던 메뉴가 있습니다.
바로 "탕수육 밥"이라 불리는 메뉴입니다.

탕수육에 공깃밥을 시키면 비슷한 분위기가 나오겠지만, 이렇게 메뉴가 따로 존재합니다.

물론 가격은 전혀 저렴하지 않아 주문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무려 1만 원 중반대)

보통 중국집에 오면 짜장 or 짬뽕 or 볶음밥을 먹지, 가격이 저렴하지 않은 메뉴를 시키는 사람이 없을 텐데
따로 메뉴를 만들어서 하는 게 좀 신기합니다.

부산 다른 곳의 중국집에서도 거의 못 보고 남구의 특정 동네에 두 군데에서 팔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무래도 탕수육 소스가 있다 보니 사장님께서도 조금 단 맛이 난다고 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맛있게 먹었습니다.

이 메뉴가 다른 곳에서 보신 분 있으실까요?

그리고, 자신이 가는 중국집의 특색있는 메뉴(다른 곳에서 구경하기 힘든)가 있는 곳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린언니
25/04/25 11:41
수정 아이콘
전분소스에 오징어와 버섯 각종야채를 볶아서 밥에 올린 중화특밥 이라는 메뉴 생각나네요
일본에 추카동이라고 비슷한 메뉴가 있더라구요 전혀 안매운 버전으로
크림샴푸
25/04/25 11:48
수정 아이콘
한국풍 중식 오므라이스는 소위 케찹밥 인데 이에 대해서 호불호가 많이 갈리더군요

간장계란밥 보다 케찹 계란밥을 선호하는 분들도 계실정도로 매니악한 음식이긴 하나 (생각보다 매우 맛있습니다)

아무래도 한국은 무침과 비빔 류에는 신맛을 선호하나 국물류나 찌개 탕 조림 등에 신맛이 나는 걸 비선호하다보니

동남아풍 음식을 처음에는 낮설어 하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익숙해지면 참 맛있는 맛인데요
무무보리둥둥아빠
25/04/25 11:58
수정 아이콘
제 대딩시절 학교 앞 중국집 오매(오징어매운)짜장이 참 맛있었는데 땅값이 너무 올라서인지 중국집 자체가 사라져서 참 아쉬웠었습니다.
크림샴푸
25/04/25 12:07
수정 아이콘
아마도 일품X 인듯한데 화교출실에 순박하신 사장님 내외가 간판 상호등록을 해놓지 않아
소송으로 억울하게 돈도 물어주고 간판도 바꾸고... 젠트리피케이션 은 뭐 해당상권에서는 너무 당연한 일이라
건물주가 지속적으로 쫒아내기 위해 월세를 주구장창 올렸고 (1층을 전부 통으로 넓혀서 월세 더 쎄게 받으려고 )
결국 더 작은 곳으로 옮겼으나 남편분께서 갑작스런 병으로 세상을 떠나시고.... 이 이야기가 벌써 15년 정도 된 느낌이네요
정말 친절하시고 학생들한테도 잘해주셨는데..
빠른 세상의 변화를 못따라가 도태된 부분도 있구요.
무무보리둥둥아빠
25/04/25 13:00
수정 아이콘
그런 뒷이야기가 있는줄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허어 너무 안타깝네요;;;; 진짜 학생들한테 너무 친절하게 대해주셨는데요;
제이크
25/04/25 12:27
수정 아이콘
뭐 목포의 중깐 대구의 중화비빔밥 파주 간짬뽕... 지역마다 특색 있는 메뉴들이 많긴 하죠.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간짜장의 도시는 역시 부산... 이었던 것 같습니다.
대부분 맘에 들었던 집들은 웍 잡으신 분들이 다 60대 이상이셨어서, 생각난 김에 5월 중 부산 한 바퀴 다시 돌고 와야겠네요...
Regentag
25/04/25 12:29
수정 아이콘
몇년전 예천으로 출장 다닐때 먹어봤던 매운면라는 요리가 있었죠. 출장 갈때마다 한번은 꼭 먹었었어요.
매운 전분 소스의 볶음면인데 예천의 중국집에서만 한다고 하더라구요.
이부키
25/04/25 12:32
수정 아이콘
이수역의 개화 라는 중국집에 가면 라조육덮밥이 있습니다.

다른데서 덮밥으로는 잘 안보이는 메뉴인데 꽤 맛있더라구요. 이집은 특히 라조기덮밥이 아주 맛있습니다.
친친나트
25/04/25 16:29
수정 아이콘
탕수육덮밥 학식에 나오곤 했어서 굉장히 근본없는 메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식당에서 파는 음식이었군요?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25/04/25 17:57
수정 아이콘
부산 남구는 아니지만

탕수덮밥이라고 메뉴화된 중식당이 가끔 있습니다

저도 부산에서 먹어봐서 부산 밖에도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중식당이 지역 불문 전반적으로 메뉴를 줄이고 있어서(우동이나 난자완스 이런거 없어진 중국집 많죠. 계란국도 안 주고)

타 지역에 있던게 없어졌는지 원래 없는지 모르겠어요.
25/04/25 18:16
수정 아이콘
중국집 우동이 별미죠
외국어의 달인
25/04/25 18:51
수정 아이콘
학식이었는데 맛있었던 기억이
지니팅커벨여행
25/04/25 20:28
수정 아이콘
어렸을 때 탕수육 배달 전문점이 생겨서 자주 시켜 먹었는데 정말 맛있어서 소스에 밥 비벼 먹고 그랬던 기억이 있습니다.
근데 어느 날 탕수육 먹고 크게 체를 하는 바람에 몇 년 동안 탕수육은 거들떠 보지도 않았죠.
그러다가 어른 되고 나서야 조금씩 먹었고 지금은 잘먹는데 예전 처럼 밥을 비벼 먹지는 않네요.
Bellhorn
25/04/26 14:23
수정 아이콘
이천 만리성.. 알짬뽕 중식비빔밥이요! 이천갈일 있음 꼭 가세요!
이명준
25/04/26 15:23
수정 아이콘
탕수덮밥, 오래 전에 건대 학생회관 식당에서 가끔 나왔던 메뉴네요
영원히하얀계곡
25/04/26 19:24
수정 아이콘
탕수덮밥 처음봅니다!
어렸을적 아버지가 탕수육 국물에 밥비벼먹는걸 보고 좀 챙피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버지.. 죄송합니다ㅜ
25/04/27 21:26
수정 아이콘
닭발짜장면 ...
짜장면위에 매운 닭발을 올려주는데
상당히 괜찮습니다
25/04/29 08:10
수정 아이콘
군대에서 휴가나와서 먹은 볶음짬뽕.. 전역하고 다시먹으니 맛없더라구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5/04/30 13:37
수정 아이콘
우어 탕수덮밥은 진짜 칼로리/당 폭탄이겠는데요? 근데 맛은 있겠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40 [일반] 세계적으로 가장 덜 행복한 세대 [27] 평온한 냐옹이9720 25/05/30 9720 6
104239 [일반] '청설' 뭐 이런 이쁜 영화가 다 있죠 [13] seotaiji8625 25/05/30 8625 5
104238 [일반] 한우 첫 출하를 마치며+ 한우 출하 정보 구분법 [49] SAS Tony Parker 5968 25/05/30 5968 13
104236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0 [50] Poe6402 25/05/30 6402 52
104235 [일반] 또 하나의 웹소설 런칭을 앞둔 소고 [82] 십자포화6917 25/05/29 6917 31
104233 [일반] 반향실 효과와 현대인의 소자아 다크드래곤5132 25/05/29 5132 5
104232 [일반] [스포주의(?)][보컬로이드][상록수][UNI + UNI SV] 10년 뒤의 나에게 [1] 카페알파4389 25/05/29 4389 1
104231 [일반] 현장에서 쫓겨났습니다...당분간 집에 처박혀 있으래요... [51] 공기청정기16959 25/05/28 16959 20
104230 [일반] <페니키안 스킴> - 웨스 앤더슨 판 '스크루지' 이야기. (노스포) [3] aDayInTheLife5063 25/05/28 5063 1
104229 [일반] 창의와 나르시시즘 [1] 번개맞은씨앗4993 25/05/28 4993 0
104227 [일반] 옥스퍼드대 연구팀 "위고비 복용 중지한 사람 대부분 1년 이내 원래 체중으로 복귀" [110] EnergyFlow13528 25/05/28 13528 2
104226 [일반] 오늘자 지름 보고 - 피마새 바둑미니어처 세트 [6] 닉언급금지5963 25/05/28 5963 2
104225 [일반] 기연 [2] 초모완6240 25/05/27 6240 12
10422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9)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1) [7] 계층방정5452 25/05/27 5452 4
104223 [일반] AI야~ Timeless풍으로 pgr에 글 하나만 써줘! [11] Timeless8506 25/05/27 8506 9
104222 [일반] 희귀병에 걸렸을까요 [36] 삭제됨10297 25/05/26 10297 38
104221 [일반] ChatGPT 열풍과 강방천의 관점: 엔비디아 이후의 시대 [13] Eternity7114 25/05/26 7114 5
104220 [일반] BYD의 4월 독일 전기차 판매량 분석 [33] 타츠야7675 25/05/26 7675 2
104219 [일반] 경제침체와 연금붕괴는 모두 저출산 때문인가? [15] meson5662 25/05/26 5662 9
104218 [일반] WWF의 추억. 레슬매니아6를 다시 보고 [8] 빵pro점쟁이2804 25/05/26 2804 0
104217 [일반] 나라가 망하는 것보단, 이민을 대규모로 받는게 맞지 않을까요? [187] 마르키아르9531 25/05/26 9531 5
104216 [일반] 삼대가 모여사는 대가족이 받아들이는 국민연금 개혁안 [180] 호텔아프리카12083 25/05/26 12083 26
104215 [일반] 식당 자영업 문제 해결 방송(TV,유튜브)에 나오는 것에 대한 생각 [39] 깐부11304 25/05/25 1130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