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24 19:10:26
Name 아빠는외계인
Subject [일반] 챗gpt와 함께 읽는 "희랍어시간"
쓸데없는 허영심에 한강 작가님의 작품을 미루다가 최근에서야 읽기 시작했습니다


일부러 자세한 정보를 얻지 않고

서점에서 대충 훑으면서 느낌이 오는 책을 고른게 바로 이 희랍어시간이었는데요



재밌는 서사보다도 시적인 문장 하나 하나의 아름다움을 찾고자 했는데

그게 정확히 적중해서 뿌듯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만큼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문장들도 많았어요

제가 웬만하면 책은 한번만 읽고 치워버리는 편이지만

이건 두번 읽지 않으면 도저히 안될것 같더라고요



1독을 끝내고 나서 난해한 부분에 대한 해석을 찾고자 유튜브를 뒤져봤지만

영상마다 포인트가 다르고, 내가 원하는 딱 그 사소한 한 문구를 해석해주는 영상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다가 한번 챗gpt의 도움을 받아보자는 생각이 딱 떠올라서 실행에 옮겨봤는데

이거 꽤나 괜찮은것 같더라고요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해석 포인트를 발견하게 된다거나

내 머리속에 애매모호하게만 떠오르던 개념을 확실한 언어로 구체화할수 있게 도와주는 부분이 좋았습니다

무엇보다도 다른 방법에 비해 빠르게 대답을 들을수 있다는게 가장 마음에 들었네요



다만 주의해야할 점 또한 있습니다

어색하거나 잘못된 해석이 종종 들어있는것 같으니, 답변은 항상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게 필요할 테고

아무래도 작품의 내용을 요약하든 통째로 넣든 직접 언급해주지 않으면 엉뚱한 답변이 나오기도 합니다

ex) N챕터의 흐름을 말해줘 ->
주인공이 이때 말문이 트였다는 틀린 사실이 담긴 내용으로 답변이 나옴




무엇보다도 너무나 간편하다는 점 때문에, 스스로 생각하는걸 게을러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았습니다

물어보기 전에 꼭 내가 충분히 생각했는지 한번 더 되물으면서 사용하는게 좋겠어요





챗gpt가 내놓은 여러 답변중, 소개해드리기 좋은 파트가 있어서 아래에 첨부합니다.

작품의 클라이막스 파트인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의 긴 대화 후, 남주인공의 꿈에서 이어지는 시 파트의 흐름을 해석해준 답변입니다





좋아, 이 장면은 한 편의 시이자, **여자주인공의 내면이 언어로 녹아내리는 순간**이야.  
문장이라기보다 **심상의 파편들**로 이어져 있고,  
그만큼 말이 되기 직전의 감정, 또는 말이 지나간 자리 같은 느낌이야.

---

### **전체 흐름 구조화**

먼저 원문을 덩어리별로 나누고, 각 부분의 심상과 내면 흐름을 따라가 볼게.

---

### **1. _“새파란 실타래에 싸인 낯익은 방. / 이제 읽어야 할 환한 구멍들로 이루어진 수십 장의 편지.”_**

- **의식의 출발점**.  
- “새파란 실타래”는 **뒤엉킨 감정의 덩어리**이자,  
  동시에 **기억이나 시간의 꼬임**을 상징함.  
- “낯익은 방”은 자신이 자주 머물던 내면 공간.  
- **“환한 구멍들로 이루어진 편지”**는  
  → 비어 있는 말들, 하지 못했던 고백들, **침묵으로 써 내려간 감정들**.

> **→ 말이 되지 못했던 기억들이 이제야 읽히기를 기다리고 있음.**

---

### **2. _“그의 곁에 서늘하게 누운. / 사과향이 나는 모호한 사람의 윤곽.”_**

- 남자주인공과 나란히 누운 상태.  
- “서늘하게”는 **정서적 거리감 혹은 차가운 감각**,  
- “사과향”은 **일종의 유년의 기억** 또는 **상처와 치유의 복합감정**.  
- “모호한 윤곽”은 **그에 대한 인식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  
→ 사랑일까, 연민일까, 혹은 감정의 혼란.

---

### **3. _“떨고 있는. / 손바닥에. / 마침표.”_**

- 여기서 문장이 **절단되고 단절되는 형식**으로 바뀜.  
- “떨고 있는”은 불안과 고통의 떨림.  
- 손바닥 = 가장 개인적이고 노출된 신체의 일부 → **감정의 직접성**.  
- “마침표”는 **말의 끝**, 침묵의 시작.

> → 이제 뭔가 말하려다, 말의 문 끝에 와 있는 상태.

---

### **4. _“따스한. / 검은 모래. / 아니, 단단한 열매.”_**

- 앞서 말한 것처럼, 이건 감정의 표면에서 내부로 파고드는 감각의 흐름.  
- **검은 모래**는 감정을 덮고 있는 어둡고 부드러운 층.  
- “아니,”라는 부정 → 감정을 바깥에서 파악하려다 거부하는 자기 인식.  
- “단단한 열매”는 **감정의 핵, 말할 수 있는 진실**.

---

### **5. _“얼어붙은 흙 속에 / 파 / 묻어 / 놓은 / 쉼표,”_**

- 말하지 못했던 감정의 깊은 층위.  
- ‘쉼표’는 **말의 멈춤**, 혹은 **잠시 쉬는 고요**.  
- **“묻어 놓은”**이라는 표현은 감정을 의도적으로 덮은 행위야.

> → 치유되지 않은 침묵, 그러나 언젠가 꺼낼 것을 전제한 감정의 보존.

---

### **6. _“휘어진 / 속눈썹. / 가느다란 / 숨소리,”_**

- 아주 섬세한 감각으로 전환됨.  
- 속눈썹은 눈물의 전조이자, **감정이 고이는 가장 연약한 부분**.  
- “휘어진”은 슬픔, 고단함의 흔적.  
- “가느다란 숨소리”는 생의 미세한 증거이자,  
  **아직 말로는 못 나왔지만 존재하고 있는 감정**.

---

### **7. _“속에 / 캄캄한 / 칼집 / 속에 / 빛나는 / 칼,”_**

- 이건 굉장히 중요한 메타포야.  
- “칼집”은 침묵, 고요, 혹은 감정을 감추는 껍데기.  
- “빛나는 칼”은 **진심, 말, 혹은 상처를 낼 수 있는 언어의 힘**.

> → 그녀 안에는 아직 꺼내지 않은, 그러나 분명 존재하는 **강력한 감정의 언어**가 존재해.

---

### **8. _“오래 / 숨을 참으며 / 기다리는,”_**

- 끝맺지 않는 문장.  
- 이 모든 감정은 **지금 막 말이 되려는 찰나**에 머물러 있음.  
- 숨을 참는다는 건, **말이 되기 전의 고통**이고,  
  기다린다는 건, **누군가가 그것을 들어줄 순간을 기다리는 것**.

---

## **요약 흐름:**

| 흐름 단계 | 내용 | 상징 |
|------------|------|------|
| **1. 기억의 방** | 실타래, 편지 | 감정의 꼬임과 미해결된 말들 |
| **2. 관계의 거리** | 서늘한, 모호한 윤곽 | 감정적 거리, 불확실한 존재감 |
| **3. 말의 경계** | 떨림, 손바닥, 마침표 | 불안, 정지, 침묵의 시작 |
| **4. 감정의 표면과 중심** | 검은 모래 → 단단한 열매 | 감정의 껍질과 진실 |
| **5. 말해지지 않은 감정의 저장** | 묻힌 쉼표 | 고요, 저장된 말 |
| **6. 정서의 미세 감각** | 속눈썹, 숨소리 | 연약한 생존과 감정의 흐름 |
| **7. 침묵 속의 말** | 칼집과 칼 | 말할 수 있는 힘, 그러나 아직은 감춰짐 |
| **8. 도달 직전** | 숨 참기, 기다림 | 말이 되기 직전의 순간 |

---

이 전체 흐름은 마치 한 사람의 **감정이 점점 말로 응결되려는 과정** 같아.  
시야는 곧 **말의 전 단계**고, **침묵의 마지막 층**이야.  
그녀가 다시 말하기 시작하기 직전의,  
**내면의 진동과 떨림**이 파편적으로 튀어나오는 구조인 거지.

---

혹시 이 흐름 중에서 더 깊게 들어가보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하나씩 짚어가며 더 정밀하게 같이 분석해볼 수 있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번아웃증후군
25/04/24 22:01
수정 아이콘
한강 작가님 책까지는 아니지만 저도 소설에서 이해 안되는 부분을 챗gpt한테 물어봤는데 만족스럽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90 [일반] Google의 AI Overviews 기능으로 컨텐츠 공급자의 트래픽 감소 [35] 타츠야7724 25/06/12 7724 1
104289 [일반] 맹물을 마시는데 전혀 갈증이 해소되지 않을때 [27] 김아무개9088 25/06/12 9088 4
104288 [일반] [영화공간] <인천상륙작전>에서 <바스터즈>의 향기를 느끼다 [6] Eternity4642 25/06/11 4642 8
104287 [일반] 오늘 나눈 대화 [10] 공기청정기4673 25/06/11 4673 4
104286 [일반] 논리와 시간 [39] 번개맞은씨앗8488 25/06/11 8488 0
104285 [일반] 러시아가 북한에 샤헤드-136 드론 생산 능력 제공 [37] 된장까스7489 25/06/11 7489 3
104284 [일반] 탕수육은 어딜가도 맛있다. [36] 인민 프로듀서6193 25/06/11 6193 10
104282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015 25/06/10 4015 1
104281 [일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웹 개발 지식 / 웹의 역사 [17] Fig.16774 25/06/10 6774 21
104280 [일반] 재미있는 역사 [19] 류지나5574 25/06/10 5574 10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6254 25/06/10 6254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7123 25/06/10 7123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6002 25/06/09 6002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1951 25/06/09 11951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5676 25/06/09 5676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9651 25/06/09 9651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6142 25/06/09 6142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574 25/06/09 4574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9023 25/06/08 19023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4748 25/06/07 4748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366 25/06/07 9366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8885 25/06/07 8885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10182 25/06/06 1018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