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23 21:58:41
Name Anti-MAGE
Subject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수정됨)
요새 망해가는 극장가에 딘비 같은 존재가 된 영화 '야당' 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그냥 단순하게 이 영화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말해볼꼐요.


장점

1. 너무나도 빠른 전개 , 그리고 빠른 편집

이 영화의 주인공인 이강수 (강하늘)가 어떻게 야당이 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야당질을 하는지를 정말 숨 쉴 틈도 없이 빠르게 전개가 됩니다. 여기에서 만나는 검사인 구관희(유해진)가 어떻게해서 야망있는 검사가 되었는지에 대한 서사조차 빠른 편집으로 휙휙 지나가 버립니다.
그 뒤에 등장하는 마수대 팀장 오상재(박해준)와 여배우 엄수진(채원빈) , 유력한 차기 대선후보의 아들 조훈(류경수) 이 캐릭터들에 대한 서사도 마찬가지 입니다. 보통 이러면 영화의 구멍이 숭숭 뚫려서 자칫 망하는 지름길이 될수 있지만.. 이 영화는 그 구멍조차도 빠른 전개와 편집술로 매꿔버립니다. 마치 어정쩡한 속도로 지나가는 차는 작은 구덩이에 덜컹할 수 있지만.. 엄청 빠른 속도로 지나가면 그 덜컹거림이 덜하 듯이요.
때문에 지루함 없이 술술 봐집니다. 한국영화중에서 이렇게 빠른 전개와 편집을 보여준 영화가 있었나 싶을정도로 이 영화는 그냥 진짜 빠릅니다.


2. 구멍이 없는 배우들의 연기력

강하늘,유해진,박해준 주요 3인방 이외에 채원빈,류경수  그리고 조연으로 등장하는 유성주,김금순,임성균 모두들 구멍없이 다 자기몫을 해냅니다. 특히 이 영화의 중심을 탄탄하게 잡아주는 유해진의 연기력은 역시나 명불허전 입니다.
그리고 놀라웠던 건 한국영화 중에 이렇게 대사가 잘들리는 영화는 손에 꼽을정도 입니다. 기본적으로 딕션이 다들 좋은 배우들이기도 하지만 감독님이 이 부분을 많이 신경 쓴 티가 납니다.


3. 채원빈

그냥 이쁩니다. 여배우 시절 여린 모습부터, 약쟁이로 변모한후 퇴폐미까지.. 그리고 진짜 뻔한 클리셰라고 욕먹는 그 장면에서 조차도 너무 이뻣습니다. (그냥 제 사심입니다.크크크)



4.너무나도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현재 시국에 이보다 적절한 영화가 있을까요? 감독이 의도 했을 것 같지는 않은데.. ( 이 영화는 2023년에 촬영을 마쳤습니다.....)  현재 개봉한 시기와 이 시국이 너무나도 절묘하게 맞아떨어집니다. 어쩌면 이 점이 현재 야당이 흥행가도를 달릴 수 있는 원동력일수도 있겠네요...


5.재활 씬

개인적으로 이강수가 마약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재활하는 씬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마약이 소재인 영화에서 보기 힘든 씬이었습니다. 마약하면 진짜 큰일나겠구나 하고 느낀 씬이기도 하구요. 재활에 성공한 이강수가 그  후유증으로 말 더듬는 디테일까지 아주 좋았습니다.




단점


1. 캐릭터의 깊이가 없다.

빠른 편집으로 영화의 몰입도가 속도감을 주는 효과를 얻었으나, 캐릭터의 깊이가 없어지는 부작용이 생겼습니다.
그렇기에 이 영화에 가장 큰틀 에 내용인 구관희가 왜 그런 짓을 했을까?? 라는 의문점이 생깁니다.
그 행동에 대한 당위성이 떨어져요. 그 외에도 창락(임성균)이 왜 이강수를 저렇게까지 도와주는건지.. 엄수진이 왜 오상재와 이강수에게 협력을 하는지도요. 캐릭터들이 왜 저렇게 행동하고 움직이는지에 대한 당위성이 떨어진다고 느꼇습니다. 어떤 사건 이 후 슬퍼할 장면에서 슬프지가 않습니다.(이 마저도 빠른 편집으로 지나가버립니다.)


2. 어디서 본 장면들의 향연

한국에서 성공한 범죄영화들의 공식을 그대로 읋는달까? 여기저기 많이 때어와서 붙인 느낌이 많이 듭니다.
그렇기에 내용 전개가 어느정도는 예측이 갑니다. 영화 자체는 나름 반전을 주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 마저도 분명 저기에서는 저렇게 될것 같다라고 생각하면 여지없이 그렇게 되더군요. 뭐 워낙의 많은 영화들이 나왔기에 새로움을 주기는 힘들지는 몰라도.. 야당이라는 좋고 신선한 소재를 가지고 기존 범죄영화의 방식을 그대로 답습 한다는건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3.초중반에 비해 다소 힘이 빠지는 후반부

이건 저의 개인적인 생각일수도 있지만.. 초중반 신나게 달리다가 후반에는 그 속도감이 줄어드는 느낌이었습니다.
초중반 강강강으로 달려온 탓에 후반에 지친 느낌이랄까요.. 이는 마치 예전에 '맨 오브 스틸' 을 극장에서 본 느낌이었습니다.
후반에 좀 지쳐요.




그냥 전반적으로는 꽤 괜찮은 오락영화가 나왔다 라는 느낌이었습니다.

개인평점은 5점 만전에 3.5 드리겠습니다.

영화자체는 3점인데.. 채원빈 때문에 0.5점 플러스 드릴께요.


난 영화를 보고 난 후에 그 영화에 대해 곱 씹는걸 좋아한다 -비추-

그냥 뇌 뺴고 시간 잘가는 오락영화 보고 싶다 -강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환경미화
25/04/23 22:28
수정 아이콘
방금 보고왔습니다.
유해진도 좋았는데요. 왠지류승범이 했으면 어땟을까 라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사생결단에서그 모습이...)

검사는 대통령을 만들수도 죽일수도있다.

영화를 관통해서 현실로 튀어나올 대사였다고 봅니다.
국수말은나라
+ 25/04/24 13:55
수정 아이콘
저도 유해진의 능글함도 좋지만 부당거래나 베를린에서의 그 류승범이면 딱 어울리는 배역였을텐데 싶네요 조승우도 잘 어울렀을듯
환경미화
+ 25/04/24 15:38
수정 아이콘
아아 부당거래가 맞네요. 사생결단 마약사범 류승범이 떠올랐는데...
검사역활은 부당거래 류승범이 맞네요.
별이지는언덕
25/04/23 23:09
수정 아이콘
다른부분은 대충 그렇겠다 싶고 넘어갔는데 박해준 후임 팀장이 유해진한테 붙어먹는 장면은 뭔가 더 언급이 필요하지 않나 싶더군요.
자기가 심문한다고 엄포 놓고 나갔는데 풀려나서 강하늘 죽이러왔다 죽었는데 그 씬 이후로 아예 언급도 등장도 없는게 맞나 싶었습니다.
경찰에도 쁘락치가 있음을 전혀 암시하지 않고 별안간 배신만 나오고 아예 그 이후론 경찰 자체가 사라진 느낌
25/04/24 00:5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걸 뭉개는게 좀.. 떡밥 회수가 덜되니까 찝찝..
Chasingthegoals
25/04/24 00:15
수정 아이콘
이 영화 감독이 삼습만원 국선 변호사인데 드디어 감독으로서 빛을 볼 것 같습니다.
바카스
25/04/24 00:43
수정 아이콘
요즘 국내 영화 볼만한가요?
25/04/24 00:58
수정 아이콘
방금 보고 나왔습니다

"어디서 많이 본 장면의 연속인데 그럭저럭 재밌다"

정도로만 평가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강하늘 좋아해서 보러갔는데 .. 전 기대보단 실망스럽네요 ㅠㅠ
별이지는언덕
25/04/24 01:20
수정 아이콘
저도 강하늘이 좋아서 승부빼곤 최근 한국영화는 강하늘 출연작들만 보고 있는데 어쩌다보니
영화말고 다시 드라마 찍어주면 안될까 싶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차라리 인사이더가 훨씬 재밌었던 느낌
닉을대체왜바꿈
25/04/24 01:35
수정 아이콘
이 글 본문에 스포성 내용이 있고 심지어 댓글에도 스포내용이 버젓한거 같은데 거기 대한 언급이 없는게 신기하네요
Anti-MAGE
25/04/24 02:57
수정 아이콘
뒤늦게 보고 수정했습니다.
25/04/24 09:50
수정 아이콘
보다보면 베테랑, 내부자들, 더킹, 부당거래 등등 오만 한국영화가 다 떠오르죠 크크. 근데 그렇다고 재미없는건 아니고, 맛있게 잘 비벼놓은 비빔밥 같은 느낌이였습니다.
짜부리
25/04/24 09:52
수정 아이콘
저도 오랜만에 영화관에서 봤는데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만, 마지막 문제 해결장면은 내부자들이랑 너무 흡사하더라구요...
그리고 박해준 배우는 딕션이 좋은 배우는 아닙니다. 지금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오히려 안좋은편에 속하죠.
25/04/24 09:59
수정 아이콘
영화 빠짐없이 보는 편인데.. 전 비추에 가깝네요.
개인적인 평 : 그럭저럭 나쁘지는 않은데 그닥...
25/04/24 10:32
수정 아이콘
전 실망했습니다.
장,단점들에 대해서 공감하는데, 후반에 힘이 빠져도 너무 빠져요. 초반 스피디한 전개만 보고 아 잘봤다~ 하기에는 좀... 그래요.
25/04/24 11:08
수정 아이콘
글쓴이분 평가에 대부분 동의합니다
클리세덩어리에 서사에 구멍도 숭숭 나있지만 정말 빠른 스피드로 그걸 다 뛰어넘으려 하죠
좋다라고 하기엔 단점이 크고 명확한데 장점이 확실해서 나쁘지는 않았습니다
사이버포뮬러
25/04/24 13:12
수정 아이콘
어머니가 유해진배우를 좋아하셔서 내일 예매해드렸습니다. 후기를 보니 저희 어머니 취향일 것 같네요 크크
25/04/24 13:17
수정 아이콘
저도 보고왔습니다.
오랜만에 극장가서 보는거라 기대했는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습니다.
후반부에 힘이 좀 빠지긴 했지만,
말씀하신 대로 배우들 발음이 너무 좋은건지 귀에 쏙쏙 대사가 들어와서 너무 좋았어요.
보통은 무슨말하는지 못알아듣고 추측해서 보는데, 대사 하나하나 다 귀에 들어오더라구요.
+ 25/04/24 14:42
수정 아이콘
엄청난 클리세에 논리성을 보강하려는 조치조차도 없었지만, 오히려 그래서 재밌게 봤습니다. 어우 환타지네 하고요.
굳이 뭐 설득력 넣는다고 이상한 헛소리했으면 그것도 웃겼을듯... 그와 별개로 아쉬운건 채원빈씨가 화면에 내내 나오지 않았던 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2] 국힙원탑뉴진스527 25/04/24 527 0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19] Anti-MAGE4762 25/04/23 4762 4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3] meson2605 25/04/23 2605 11
10410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2)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1 [8] 계층방정3674 25/04/23 3674 8
104108 [일반]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96] DpnI14067 25/04/23 14067 7
104107 [일반] 무선 블루투스 송/수신기 사용기 [6] 스물다섯대째뺨5561 25/04/23 5561 3
104106 [일반] 제대로 하는 간짜장은 귀하다. [92] 인민 프로듀서10182 25/04/22 10182 24
104105 [일반] 오늘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53] 승승장구8744 25/04/22 8744 39
104104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4] 포졸작곡가2236 25/04/22 2236 10
104102 [일반] 최근 1년동안 했던 게임들, 소소하게 평가를 해봅니다(2) [26] 공놀이가뭐라고6920 25/04/21 6920 6
104100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72] 제논9940 25/04/21 9940 14
10409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8 [11] Poe4810 25/04/21 4810 28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42] Kaestro10701 25/04/20 10701 7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52] 실제상황입니다15081 25/04/20 15081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6] 如是我聞6514 25/04/20 6514 22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20] 김홍기10214 25/04/19 10214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83] 고무닦이12976 25/04/19 12976 46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199] Davi4ever12481 25/04/19 12481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8] aDayInTheLife3584 25/04/19 3584 2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2385 25/04/19 2385 8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6] Kaestro4893 25/04/19 4893 31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9] 잉어킹6581 25/04/18 6581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08] 깐부9624 25/04/18 962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