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05 13:33:45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일반] [자작소설] 역대급 재앙이 터졌던 바로 그날 (수정됨)
1929년 10월 24일, 뉴욕의 월가는 평소와 다름없이 분주했다.

월스트리트 근처의 고층 빌딩들 사이로 슈트를 입은 사람들이 빠르게 오가며 신문 기사들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그러나 공기 중에는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뉴스에서는 "글로벌 경제 불안정"과 "주요 경제 지표 악화"에 대한 이야기가 연일 화제였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번에도 지나가겠지"라며 낙관론을 고수했다. 그 중에서도 존 뉴먼은 30대 중반의 주식 투자자였다.

그는 3년 전 주식투자 붐을 타고 소액으로 시작한 투자를 억 단위 자산으로 불려놓은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었다. 그의 개인주택은 뉴욕 한복판에 있었고, 주식 포트폴리오는 통신, 자동차, 라디오 기업들로 화려하게 채워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의 눈썹은 점점 더 자주 꿈틀거렸다. 시장이 이상했다. 주가가 오를 때는 이유 없이 오르고, 떨어질 때는 더 이유 없이 떨어졌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최근의 개별주 거래량들이 하나같이 평소의 몇 배 수준으로 올라 있었다.

"존, 이번엔 진짜 다를지도 몰라."
친구이자 동료 투자자인 데이브가 카페에서 커피를 홀짝이며 말했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 증시는 이미 붕괴된 상태고, 우리 미국 경제상황도 불안하다는 소식이 자꾸 신문기사에 오르내리던데… 너도 좀 빼놓는 게 어때?"
존은 코웃음을 쳤다.
"폭락설은 매년 나온다니까. 그냥 노이즈야. 내가 지금까지 존버로 이긴 적이 몇 번인데."

그러나 그날 밤, 존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날 신문을 통해 뜻밖의 충격적인 소식을 뒤늦게야 접했기 때문이다. 다우지수가 그날 하루에만 무려 11%나 급락했다는 비보였다.
그러나 그는 얼마 안있어 애써 마음을 다잡았다. 그리고 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며 위안을 삼았다. "몇일만 있으면 내린만큼 다 반등하겠지."

하지만 그 다음주 화요일 아침, 뉴욕증권거래소가 개장하자마자 진짜 패닉이 시작되었다. 다우지수는 그날 개장한지 몇 시간만에 무려 10%가 넘게 폭락. 존의 주식 계좌는 이제는 엄청난 마이너스로 뒤덮혔다. 통신, 자동차 대장주가 20% 하락, 라디오 대장주였던 RCA는 30%가 넘게 곤두박질쳤다. 그는 뒤늦게야 충격에 빠져서 뉴욕증권거래소로 달려간 뒤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거래소 중개인에게 자신이 보유한 모든 주식을 전부 매도하라는 주문을 넣었지만, 이미 거래량이 폭주해 주문이 전혀 체결되지 않았다. 증권거래소에는 이미 존과 같은 처지의 투자자들이 무려 수 천명이나 있었기 때문이다. 충격과 분노에 빠진 군중들 너머로 데이브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렸다.

"존, 난 이미 다 팔았어! 너도 빨리 나와!"
"뭐? 언제?"
"저번 주 목요일 시장 대폭락 소식 보고 그 다음날 바로 다 던졌지. 이건 끝났어!"

오후가 되자 다우지수는 12%가 넘는 하락으로 마감했다. 다우지수가 생긴 이래 역대 최대 폭락이었다. 그 다음날 신문에서는 "최악의 공황"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리며 전문가들이 나와 떠들어댔다.

존은 멍하니 신문을 쭉 읽었다.

그의 자산은 반 토막이 났고, 레버리지로 빌린 돈 때문에 마이너스 통장까지 위협받고 있었다.

며칠 뒤, 이전까지만 해도 손님들로 분주했던 뉴욕의 카페들은 텅 비어 있었다. 거리에는 "급매"라는 플래카드가 걸린 개인주택들이 늘어났다. 신문에는 이전까지 잘나갔던 회사들이 직원들은 물론 사장들까지 전부 노숙자가 되었다는 소식이 올라와 있었다. 존은 신문을 보며 중얼거렸다.

"아니 도대체 세상이 어떻게 된 거야..."

진짜 재앙은 모두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바로 그 타이밍에 터지는 것이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머심슨
25/04/06 20:45
수정 아이콘
무섭잖아요 ㅠ
안군시대
25/04/06 23:18
수정 아이콘
1929년이면 경제대공황이 터진 시점인듯 한데, 현재 상황과 맞물려 굉장히 공포스럽게 보이지만, 실상은 이 글에 나온 내용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40 [일반] 세계적으로 가장 덜 행복한 세대 [27] 평온한 냐옹이10185 25/05/30 10185 6
104239 [일반] '청설' 뭐 이런 이쁜 영화가 다 있죠 [13] seotaiji9011 25/05/30 9011 5
104238 [일반] 한우 첫 출하를 마치며+ 한우 출하 정보 구분법 [49] SAS Tony Parker 6379 25/05/30 6379 13
104236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0 [50] Poe6783 25/05/30 6783 52
104235 [일반] 또 하나의 웹소설 런칭을 앞둔 소고 [82] 십자포화7360 25/05/29 7360 31
104233 [일반] 반향실 효과와 현대인의 소자아 다크드래곤5549 25/05/29 5549 5
104232 [일반] [스포주의(?)][보컬로이드][상록수][UNI + UNI SV] 10년 뒤의 나에게 [1] 카페알파4828 25/05/29 4828 1
104231 [일반] 현장에서 쫓겨났습니다...당분간 집에 처박혀 있으래요... [51] 공기청정기17356 25/05/28 17356 20
104230 [일반] <페니키안 스킴> - 웨스 앤더슨 판 '스크루지' 이야기. (노스포) [3] aDayInTheLife5454 25/05/28 5454 1
104229 [일반] 창의와 나르시시즘 [1] 번개맞은씨앗5350 25/05/28 5350 0
104227 [일반] 옥스퍼드대 연구팀 "위고비 복용 중지한 사람 대부분 1년 이내 원래 체중으로 복귀" [110] EnergyFlow13959 25/05/28 13959 2
104226 [일반] 오늘자 지름 보고 - 피마새 바둑미니어처 세트 [6] 닉언급금지6338 25/05/28 6338 2
104225 [일반] 기연 [2] 초모완6598 25/05/27 6598 12
10422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9)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1) [7] 계층방정5855 25/05/27 5855 4
104223 [일반] AI야~ Timeless풍으로 pgr에 글 하나만 써줘! [11] Timeless8918 25/05/27 8918 9
104222 [일반] 희귀병에 걸렸을까요 [36] 삭제됨10676 25/05/26 10676 38
104221 [일반] ChatGPT 열풍과 강방천의 관점: 엔비디아 이후의 시대 [13] Eternity7531 25/05/26 7531 5
104220 [일반] BYD의 4월 독일 전기차 판매량 분석 [33] 타츠야8082 25/05/26 8082 2
104219 [일반] 경제침체와 연금붕괴는 모두 저출산 때문인가? [15] meson6093 25/05/26 6093 9
104218 [일반] WWF의 추억. 레슬매니아6를 다시 보고 [8] 빵pro점쟁이3252 25/05/26 3252 0
104217 [일반] 나라가 망하는 것보단, 이민을 대규모로 받는게 맞지 않을까요? [187] 마르키아르10097 25/05/26 10097 5
104216 [일반] 삼대가 모여사는 대가족이 받아들이는 국민연금 개혁안 [180] 호텔아프리카12609 25/05/26 12609 26
104215 [일반] 식당 자영업 문제 해결 방송(TV,유튜브)에 나오는 것에 대한 생각 [39] 깐부11708 25/05/25 1170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