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05 13:33:45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일반] [자작소설] 역대급 재앙이 터졌던 바로 그날 (수정됨)
1929년 10월 24일, 뉴욕의 월가는 평소와 다름없이 분주했다.

월스트리트 근처의 고층 빌딩들 사이로 슈트를 입은 사람들이 빠르게 오가며 신문 기사들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그러나 공기 중에는 묘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뉴스에서는 "글로벌 경제 불안정"과 "주요 경제 지표 악화"에 대한 이야기가 연일 화제였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번에도 지나가겠지"라며 낙관론을 고수했다. 그 중에서도 존 뉴먼은 30대 중반의 주식 투자자였다.

그는 3년 전 주식투자 붐을 타고 소액으로 시작한 투자를 억 단위 자산으로 불려놓은 성공 신화의 주인공이었다. 그의 개인주택은 뉴욕 한복판에 있었고, 주식 포트폴리오는 통신, 자동차, 라디오 기업들로 화려하게 채워져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의 눈썹은 점점 더 자주 꿈틀거렸다. 시장이 이상했다. 주가가 오를 때는 이유 없이 오르고, 떨어질 때는 더 이유 없이 떨어졌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최근의 개별주 거래량들이 하나같이 평소의 몇 배 수준으로 올라 있었다.

"존, 이번엔 진짜 다를지도 몰라."
친구이자 동료 투자자인 데이브가 카페에서 커피를 홀짝이며 말했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국가들 증시는 이미 붕괴된 상태고, 우리 미국 경제상황도 불안하다는 소식이 자꾸 신문기사에 오르내리던데… 너도 좀 빼놓는 게 어때?"
존은 코웃음을 쳤다.
"폭락설은 매년 나온다니까. 그냥 노이즈야. 내가 지금까지 존버로 이긴 적이 몇 번인데."

그러나 그날 밤, 존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그날 신문을 통해 뜻밖의 충격적인 소식을 뒤늦게야 접했기 때문이다. 다우지수가 그날 하루에만 무려 11%나 급락했다는 비보였다.
그러나 그는 얼마 안있어 애써 마음을 다잡았다. 그리고 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며 위안을 삼았다. "몇일만 있으면 내린만큼 다 반등하겠지."

하지만 그 다음주 화요일 아침, 뉴욕증권거래소가 개장하자마자 진짜 패닉이 시작되었다. 다우지수는 그날 개장한지 몇 시간만에 무려 10%가 넘게 폭락. 존의 주식 계좌는 이제는 엄청난 마이너스로 뒤덮혔다. 통신, 자동차 대장주가 20% 하락, 라디오 대장주였던 RCA는 30%가 넘게 곤두박질쳤다. 그는 뒤늦게야 충격에 빠져서 뉴욕증권거래소로 달려간 뒤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거래소 중개인에게 자신이 보유한 모든 주식을 전부 매도하라는 주문을 넣었지만, 이미 거래량이 폭주해 주문이 전혀 체결되지 않았다. 증권거래소에는 이미 존과 같은 처지의 투자자들이 무려 수 천명이나 있었기 때문이다. 충격과 분노에 빠진 군중들 너머로 데이브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렸다.

"존, 난 이미 다 팔았어! 너도 빨리 나와!"
"뭐? 언제?"
"저번 주 목요일 시장 대폭락 소식 보고 그 다음날 바로 다 던졌지. 이건 끝났어!"

오후가 되자 다우지수는 12%가 넘는 하락으로 마감했다. 다우지수가 생긴 이래 역대 최대 폭락이었다. 그 다음날 신문에서는 "최악의 공황"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리며 전문가들이 나와 떠들어댔다.

존은 멍하니 신문을 쭉 읽었다.

그의 자산은 반 토막이 났고, 레버리지로 빌린 돈 때문에 마이너스 통장까지 위협받고 있었다.

며칠 뒤, 이전까지만 해도 손님들로 분주했던 뉴욕의 카페들은 텅 비어 있었다. 거리에는 "급매"라는 플래카드가 걸린 개인주택들이 늘어났다. 신문에는 이전까지 잘나갔던 회사들이 직원들은 물론 사장들까지 전부 노숙자가 되었다는 소식이 올라와 있었다. 존은 신문을 보며 중얼거렸다.

"아니 도대체 세상이 어떻게 된 거야..."

진짜 재앙은 모두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바로 그 타이밍에 터지는 것이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머심슨
25/04/06 20:45
수정 아이콘
무섭잖아요 ㅠ
안군시대
25/04/06 23:18
수정 아이콘
1929년이면 경제대공황이 터진 시점인듯 한데, 현재 상황과 맞물려 굉장히 공포스럽게 보이지만, 실상은 이 글에 나온 내용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18] 국힙원탑뉴진스11620 25/04/24 11620 3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22] Anti-MAGE9928 25/04/23 9928 4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8] meson7018 25/04/23 7018 13
10410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2)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1 [9] 계층방정7513 25/04/23 7513 10
104108 [일반]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100] DpnI18279 25/04/23 18279 7
104107 [일반] 무선 블루투스 송/수신기 사용기 [7] 스물다섯대째뺨8170 25/04/23 8170 3
104106 [일반] 제대로 하는 간짜장은 귀하다. [104] 인민 프로듀서16074 25/04/22 16074 26
104105 [일반] 오늘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56] 승승장구12039 25/04/22 12039 41
104104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4] 포졸작곡가4270 25/04/22 4270 11
104102 [일반] 최근 1년동안 했던 게임들, 소소하게 평가를 해봅니다(2) [26] 공놀이가뭐라고9506 25/04/21 9506 7
104100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72] 제논12547 25/04/21 12547 14
10409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8 [11] Poe7356 25/04/21 7356 30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43] Kaestro13340 25/04/20 13340 7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52] 실제상황입니다17534 25/04/20 17534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6] 如是我聞8741 25/04/20 8741 22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20] 김홍기12554 25/04/19 12554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85] 고무닦이15613 25/04/19 15613 49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204] Davi4ever14970 25/04/19 14970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8] aDayInTheLife5389 25/04/19 5389 2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4364 25/04/19 4364 8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7] Kaestro7282 25/04/19 7282 31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9] 잉어킹8478 25/04/18 8478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17] 깐부12114 25/04/18 1211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