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25 08:52:26
Name Cand
File #1 Screenshot_20250325_082937_Samsung_Internet.jpg (598.5 KB), Download : 949
File #2 Screenshot_20250325_082926_Samsung_Internet.jpg (344.4 KB), Download : 950
Subject [일반] 문화상품권(컬쳐캐시X)도 사용정지 수순인가보군요 (수정됨)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0005019
루리웹

https://biz.chosun.com/stock/finance/2025/03/24/4TI5H6XP7NCLBCCHCWOZW2LNEE/
조선일보


그 많이들 쓰시는 컬쳐캐시 문상이 아니라 지로로 발행되는 문화상품권 이야기라고 합니다. 해당 링크 댓글이나 뉴스 기사 보면 애초에 상태가 안좋긴 했나봐요. 여하튼 미리 알고계셔서 피해 보는 분이 없으시라고 한번 가져와봤습니다.

여기저기 힘든 시점이다보니 돈으로 돈을 막는 업들부터 쉬이 휘청이는것 같습니다...컬쳐캐시로 만화책이랑 스팀 잔뜩 지르는데 이쪽은 아직 걱정할 정도는 아니라곤 합니다만 그래도 부담은 되는군요.

건설쪽도 쭉 안좋다고 하고 지방에 잔뜩 나온 공실을 LH에서 매입 한다는 등 어떻게 내리막에서 브레이크 밟아보려고 하는것 같은데 그게 또 다 세금에 국정은 전년 말 시점 이후 쭉 혼란이고...


앞으로도 반등할 거리가 보이진 않긴 합니다만, 다들 힘내서 또 살아가야죠 하하.


사실 유게에 던지고 가려고 했으나 아무리 봐도 유우머스럽지 못해서 자게에 글 올립니다.
아는게 많진 않다보니 영양가있는 본문이 되지 못해 죄송하네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퍼두퍼
25/03/25 08:59
수정 아이콘
문화상품권이면 컬쳐랜드 아닌가 했는데, 2021년에 분리된 회사군요
No.99 AaronJudge
25/03/25 09:16
수정 아이콘
엥..???
저 어렸을때만 해도 뭔가 상품을 줄 때는 종이 문화상품권이 최고였는데…..이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가는군요…
손금불산입
25/03/25 09:19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예전엔 직접적인 금액권으로 선물을 주고 싶을 때 문화상품권 많이 애용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근래에는 문화사움권의 존재조차 인지를 못한채 살아오고 있었네요.
덴드로븀
25/03/25 09:19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65090?sid=101
[‘선불업 미등록 논란’ 문화상품권…줄줄이 판매 중단] 2025.03.24.
금융 당국은 지난 20일 ㈜문화상품권이 선불업 등록 없이 영업을 계속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며 수사 당국에 확인을 요청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9월부터 개정 전금법이 시행됨에 따라 [온라인 문화상품권이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한다고 봤다.
[선불업에 등록하지 않은 업체의 경우 파산·영업정지·가맹점 축소 등이 발생하더라도 환불이 어려울 수 있다.]
덴드로븀
25/03/25 09:20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8720?sid=101
[머지포인트 데자뷔?…선불업 등록 안한 '문화상품권' 주의보] 2025.03.20.
'온라인 상품권은 해당없다' 버텨
판매한 상품권 1000억 넘는데
충전금 관리 규제도 안 받아
부채비율도 20000% 육박
25/03/25 09:32
수정 아이콘
컬쳐랜드는 살아남아주면 좋겠네요.
25/03/25 09:37
수정 아이콘
컬쳐랜드는 자주쓰는데 문화상품권은 진짜 쓴 기억이 없네요 크크
종이 상품권은 신세계만 쓴 듯
25/03/25 09:41
수정 아이콘
학생들이 게임 현질할때 쌓아놓고
동전으로 긁던 입력하던 그건가요?
담배피는씨
25/03/25 10:08
수정 아이콘
허걱 회사에게 생일이라고 매년 받은데 몇개 있는데 어디로 가야 떨수 있을까요??
25/03/25 10:09
수정 아이콘
저도 어제 부랴부랴 지마켓으로 처분했습니다
25/03/25 10:11
수정 아이콘
내 스캐 꿀 충전처가..
기적의양
25/03/25 10:20
수정 아이콘
회사에서 생일에 주던거 스벅상품권으로 바뀌었는데 이건 얼마나 가려나열
로하스
25/03/25 11:21
수정 아이콘
스벅 상품권은 스벅 망하기 전에야 문제될게 있을까요.
쵸젠뇽밍
25/03/25 11:18
수정 아이콘
선불금 관리와 관련된 거라서 다른 것들은 문제가 없는데, 이 이슈 때문에 판매량이 떨어져서 문제가 생길지는 모르겠네요.
온라인 문화상품권은 그간 사실상 채권을 팔아왔던 거네요. 대출 이자도 없이.
다람쥐룰루
25/03/25 11:59
수정 아이콘
카카오톡으로 쉽게 돈을 주고받을수 있는데 굳이 문화상품권을 봉투에 넣어서 줄 필요가 없긴 합니다.
손꾸랔
25/03/25 14:29
수정 아이콘
문화상품권이 고유명사인줄은 몰랐네요
미드웨이
25/03/25 19:14
수정 아이콘
컬쳐말고 문상이 있었구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52 [일반] 중국 자동차 산업 의외의 복병, 하이브리드 [87] 깃털달린뱀16653 25/04/10 16653 11
104051 [일반] 다시 춤을 추기 시작한 미국 증시 근황 [76] 무도사15729 25/04/10 15729 0
104050 [일반] 엄청난 변동성에 녹아내리는 레버리지 etf [17] 맥스훼인11482 25/04/10 11482 0
104049 [일반] a great to time to buy 완전 주가조작 아닌가요? [38] 알파고11968 25/04/10 11968 5
104048 [일반] 챗지피티와 손자병법 시뮬레이션하기 [2] 가위바위보6886 25/04/10 6886 2
104047 [일반] 미래의 아이들은 디스토피아에 살게될것인가 [49] 방구차야8034 25/04/09 8034 1
104046 [일반] 국채금리와 자본유출 (ChatGPT와의 대화) [22] 번개맞은씨앗5069 25/04/09 5069 0
104045 [일반] (잡담) 자존심 센 첫째 딸 이야기(+후기) [21] 하나6584 25/04/09 6584 23
104044 [일반] 국제 공조 스테이블코인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55] 사부작6875 25/04/09 6875 1
104043 [일반]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42] 뒹구르르7958 25/04/09 7958 5
104042 [일반] 삼국지 이후의 이야기, 위진남북조 시대: (上) 진(晉)의 성립과 멸망 [13] Neuromancer6740 25/04/08 6740 18
104041 [일반] [부고] '모래반지빵야빵야'님이 오늘 선종하셨습니다. [399] LowTemplar17793 25/04/08 17793 95
104040 [일반] 질문을 하자. 정확하게. [20] 찌단7353 25/04/08 7353 6
10403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연재 휴식 + 앞으로 뭐 쓸까요? [7] 계층방정4213 25/04/08 4213 7
104038 [일반] 방금자 밴스 발언 요약 [66] Lz11410 25/04/08 11410 8
104037 [일반] 실시간 레전드 찍고있는 나스닥 근황.jpg [65] 김유라16226 25/04/07 16226 2
104036 [일반] 글로벌 무역체제 재구성: '미란 보고서'와 트럼프 경제·무역정책 [30] 스폰지뚱10545 25/04/07 10545 12
104035 [일반] 종소세 환급금 무료화 [11] 삭제됨9783 25/04/07 9783 2
104034 [일반] GPT야 그림 그려줘. 조금 더.. [9] 삭제됨9441 25/04/07 9441 6
104032 [일반] 해외공장과 관세정책의 의미 [35] 번개맞은씨앗10045 25/04/07 10045 6
104031 [일반] Chat GPT Monday는 재미있음 [11] 구라리오7049 25/04/07 7049 1
104030 [일반] 쿠르츠게작트 "한국은 망했다" 를 보고 [131] 고무닦이22036 25/04/06 22036 11
104029 [일반] [단편] 세상 가장 편한 인생을 산 사람 이야기 [6] Thenn6267 25/04/06 626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