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21 01:57:49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31.1 KB), Download : 1568
Subject [일반] 세계의 10대 강 (수정됨)


세계적으로 유명한 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일반적으로 강의 규모는 비가 왔을 때 하천으로 흘러드는 물의 양인 유출량, 바다로 흘러드는 지점에서 평균 초당 흐르는 물의 양을 뜻하는 하구유량, 하천의 길이인 연장, 유역면적 등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다만, 각 기준들이 반드시 상호비례하는 것은 아니므로 특성에 따라서 규모의 조합이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에서 가장 긴 나일 강은 유량이 가장 많은 아마존 강보다 약 270km나 더 길지만, 하천의 길이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아마존 강이 세계에서 가장 큽니다. 아마존, 콩고, 갠지스, 양자 및 오리노코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는 물의 양은 세계 유량의 1/5이고, 아마존 강은 5대강 중 60%를 차지합니다.

출처 : 대한민국 전자정부 누리집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15465

나일강은 길이 원툴이고 아마존강이 1-1-2 위로 압도적인 종합 1위네요.
그외에 유출량, 하구유량, 길이에서 모두 탑10에 들어간 강으로는

콩고강 2-2-8
양쯔강 4-6-3
파라나강 6-5-9
미시시피강 8-9-4

이 있네요.

2개 항목에서 탑10에 들어간 강은

오리노코강 5-4-0
예니세이강 7-10-0

입니다.

ps.
이번에도 유게에 올리려고 하다가 퍼온 내용 빼고도 50자가 넘어서 자게에 올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국수말은나라
25/03/21 06:40
수정 아이콘
양자강은 직접 가서 보면 강보단 바다에 더 가깝습니다 마지막 지류야 상해이긴 한데 강을 사이에 두고 수많은 발전소 조선소들을 보고 있으면 이게 강인지 바다인지 도통 헷갈립니다
그리고 그 유명한 적벽대전도 이 강의 지류인거 보면 도대체 얼마나 큰건지

하고 봤는데 아마존 강 유량의 1/10이네요?
cruithne
25/03/21 08:52
수정 아이콘
이 강의 하구 쪽은 단순히 물길이 낮은 곳으로 흘러서 강이 형성되었다기보다는 과거 다른 대륙이던 땅덩이 두 개가 서로 맞붙는 바람에 바다가 강이 되어버린 케이스다. 지금도 너비는 거의 웬만한 해협급인 데다 바닷물이 수십 km 지점까지 밀려들어 오는 어마어마한 기수역을 지니고 있다.

나무위키 찾아봤는데 이건 반칙 아닙니까 크크크크크
無欲則剛
25/03/21 08:58
수정 아이콘
맞나요? 다른 대륙이 붙어서 장강하구가 생겼다고요?
cruithne
25/03/21 09:11
수정 아이콘
아 아마존 얘깁니다
라방백
25/03/21 09:38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 기억으로는 아마존 강 본류에는 다리가 1개도 없습니다. 지류에 있는 다리 길이가 3.5km 였나..
앙겔루스 노부스
25/03/21 19:39
수정 아이콘
의외로 적벽대전이 벌어진 오늘날 무한지역의 양자강 강폭은 1키로메다를 조금 넘는 정도입니다. 사실, 한국 사람들은 서울의 한강에 익숙해서, 그게 얼마나 큰건지 체감 못하는 거에 가깝긴 하지만서두요
다람쥐룰루
25/03/21 07:46
수정 아이콘
유명한 강들은 다 알지 않나 했는데...
처음듣는 강도 좀 있네요
25/03/21 08:25
수정 아이콘
한강 그것은 최약체 강이지
데몬헌터
25/03/21 08:26
수정 아이콘
황하,갠지스: 아직 멀었다 애송이
25/03/21 09:53
수정 아이콘
그래도 도심에 있는 강으로 한정하면 나름 깡패레벨 아니었나요 흐흐
25/03/21 11:10
수정 아이콘
그것도 장강 허드슨강 같은 게 있어서...
Betelgeuse
25/03/21 10:12
수정 아이콘
하지만 노벨상을 받은 강..!
닉언급금지
25/03/21 10:14
수정 아이콘
센 강이 있어서...

센 강 가보면 걍 동내 개천....
국수말은나라
25/03/21 15:33
수정 아이콘
받고 템즈강 추가
Ashen One
25/03/24 10:27
수정 아이콘
센 강이 별로 세진 않군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3/21 19:40
수정 아이콘
유역면적대비로 보면 만만치 않을거 같긴 합니다 저 강들은 유역면적이 어마어마하니
데몬헌터
25/03/21 08:26
수정 아이콘
오리노코,파라나,레나,아무르,옵 일티쉬,마데이라,예니세이는 모르겠네요. 강 덕후들도 티그리스랑 유프라테스를 더 떠올리지 싶은
최종병기캐리어
25/03/21 09:15
수정 아이콘
아무르 강 : 연해주의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선의 경계가 되는 강
예니세이 강 : 러시아의 바이칼호에서 북극쪽으로 가는 러시아에서 가장 긴 강

이 두개는 알겠는데 나머지 남미쪽 강은 잘 모르겠네요
유료도로당
25/03/21 08:54
수정 아이콘
아마존강은 그렇게 긴데 본류에 다리가 없다는게 충격이네요 크크
츠라빈스카야
25/03/21 10:14
수정 아이콘
열대우림이라 폭우 크게 한 번 오면 너무 크게 불어나서 그거 대비하기엔 예산이 많이 들고, 반대로 인구밀도는 낮아서 혜택 보는 사람은 적고...
그렇게 폭우 오면 강이 이사가는(...) 경우도 많다더군요.
無欲則剛
25/03/21 09: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양쯔강은 장강의 하류 난징에서부터 하구까지 구간을 부르는 이름인데 그냥 장강 그 자체의 이름으로 쓰이네요.
다른 강들도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T.F)Byung4
25/03/21 09:52
수정 아이콘
확실히 열대 우림에 위치해서 유량이 많은가 보네요.
탑클라우드
25/03/21 11:10
수정 아이콘
6년째 사이공 강변에 살고 있는데, 한강은 정말 규모도 크고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강이라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특히 한강공원은 진짜... 문득 한강 공원과 탄천 따라 자전거 타던 때가 그립네요.
Lena Park
25/03/21 11:13
수정 아이콘
황하강, 황허강은 많이 들어봤는데 황화는 첨이라 뭔 강인가 했네요
설사왕
25/03/21 11:41
수정 아이콘
좀 이상해서 찾아보니까 예니세이강이 오비강보다 더 길다고 나오는데..
25/03/21 13:53
수정 아이콘
길이로도 아마존이 나일을 따잇했다고 알고 있었는데, 아직 논쟁 중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90 [일반] Google의 AI Overviews 기능으로 컨텐츠 공급자의 트래픽 감소 [35] 타츠야8125 25/06/12 8125 1
104289 [일반] 맹물을 마시는데 전혀 갈증이 해소되지 않을때 [27] 김아무개9472 25/06/12 9472 4
104288 [일반] [영화공간] <인천상륙작전>에서 <바스터즈>의 향기를 느끼다 [6] Eternity5101 25/06/11 5101 8
104287 [일반] 오늘 나눈 대화 [10] 공기청정기5068 25/06/11 5068 4
104286 [일반] 논리와 시간 [39] 번개맞은씨앗8861 25/06/11 8861 0
104285 [일반] 러시아가 북한에 샤헤드-136 드론 생산 능력 제공 [37] 된장까스7865 25/06/11 7865 3
104284 [일반] 탕수육은 어딜가도 맛있다. [36] 인민 프로듀서6601 25/06/11 6601 10
104282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362 25/06/10 4362 1
104281 [일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웹 개발 지식 / 웹의 역사 [17] Fig.17348 25/06/10 7348 21
104280 [일반] 재미있는 역사 [19] 류지나5977 25/06/10 5977 10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6662 25/06/10 6662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7565 25/06/10 7565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6433 25/06/09 6433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2443 25/06/09 12443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6080 25/06/09 6080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10161 25/06/09 10161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6548 25/06/09 6548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951 25/06/09 4951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9468 25/06/08 19468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5109 25/06/07 5109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795 25/06/07 9795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9435 25/06/07 9435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10561 25/06/06 1056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