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19 18:51:28
Name 라이징패스트볼
Subject [일반] 넷플릭스 <소년의 시간> 후기(노스포)
4회차 분량인지도 모르고 이거나 한번 천천히 볼까 하다가 한번에 다 보고 후기 남깁니다.

이 드라마는 영국의 한 13살 소년이 동급생 소녀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드라마의 각 회차를 원테이크로 찍었다는 거죠. 보기 전에는 그게 애초에 말이 되긴 하나 싶었는데, 말이 되더군요. 기술적인 연출도 너무 깔끔하고, 배우들 연기도 대단합니다. 특히 주인공(?) 역할의 배우는 진짜......... 이게 계속 인물 포커싱을 바꿔주면서 시선을 움직여주니까 중간중간 배우들이 숨돌릴 시간들 주기는 하는데, 뒤쪽 회차로 갈수록 전환은 줄어들고, 감정선의 변화는 격해지면서 난이도가 올라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배우들도 그렇고 촬영팀도 그렇고 끝난 다음에 성취감이 어마어마 했을것 같습니다.

원테이크라는게 단순히 연출적으로 특이하고 좋았다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전개에도 의미있게 사용되었던 것 같습니다. 즉, 이 드라마는 체포부터 재판까지의 대략 1년 반에서 2년의 기간 중에 딱 네시간만을 선별해서 디테일하게 보여주는데 집중합니다. 시간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측면 또한 흥미롭습니다. <소년의 시간>은 그 한정된 네시간을 범죄수사물이라는 장르 안에서는 일반적으로는 핵심적으로 다뤄지지 않는 장면 내지는 상황을 보여주는데 할애합니다. 가령 용의자를 체포한 뒤에 수속절차를 밟는 과정이라거나, 용의자를 심리분석하는 과정, 혹은 용의자의 가족들이 겪는 상황 등이요.

그렇기에 <소년의 시간>은 사건 자체보다는 사건과 관련된 맥락을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제이미'라는 소년이 '케이티'라는 소녀를 실재로 살해했는가, 그것이 어떻게 입증/반증되는가가 드라마의 핵심이 아니라, 청소년 범죄가 발생한 배경과 그러한 사건들이 갖는 의미와 영향에 집중하는거죠. 여기서 사이버 불링이나 세대간 소통단절, 젠더 갈등, 사적 제제와 같은 여러 불편한 이슈들이 언급되구요. 다만 드라마가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 어떠한 메시지나 주장을 제시하기보다는, 그러한 논란과 문제들이 현실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혹은 나타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선을 긋습니다. 그렇기에 전체 이야기에서 해결되거나 해소되는 것은 없습니다. 그저 각각의 인물들이 주어진 현실을 각자의 방식으로 받아들이는 것뿐이죠.

드라마의 구조상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아쉬움은 있었습니다. 내용상의 아쉬움이라기보다는 분량상의 아쉬움이요. 말했듯이 전체 사건 중에 극히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딱 네시간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중간중간의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 비어 있는 부분이 간접적으로 설명은 되는데, 그냥 한두회차 정도 더 늘려서 보여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은 들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라하
25/03/19 20:59
수정 아이콘
저도 한번에 다 보았는데요. 리뷰를 정말 잘 쓰신거 같아요. 원테이크 촬영의 이면을 생각하면 처음에 정말 숨막히게 보았고 뒤에 갈수록 원테이크 때문에 생기는 어쩔수없는 단점이 또 드러나는거 같아요. 별개로 DP나 배우 스텝모두 엄청난 성취감이 있을거 같고, 대단한 커리어를 하나 추가했다고 생각해요.. 한시간의 원테이크 촬영을 해내는 십대 어린 소년이라니 와우
라이징패스트볼
25/03/19 21:1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제이미 역의 오언 쿠퍼는 앞으로도 좋은 작품들에서 많이 봤으면 좋겠습니다.
25/03/19 21:48
수정 아이콘
TMI 이지만 이 드라마는 에피소드 3을 제일 먼저 촬영했습니다. 주인공 Owen Cooper가 처음으로 촬영 세트장에 들어가는 경험을 했다고 하네요.
25/03/19 22:59
수정 아이콘
1917처럼 롱테이크 여러개를 이어붙인줄 알았는데 그냥 원테이크였군요 덜덜
25/03/20 01:50
수정 아이콘
기술적인 부분만 보면 고생했네..라고 말 할 수 있겠지만 재미는 별로였습니다. 새로울 만한 이유도 특별한 반전도 없는 무슨 말을 하고 싶은 드라마인지? 갸우뚱 했습니다.
세인트
25/03/20 02:07
수정 아이콘
아이 키우는 부모 입장이라 그런가 마지막 에피 여운이 강하게 남네요 ㅜㅜ
뉴민희진스
25/03/20 15:38
수정 아이콘
저도 4화 마지막이 너무 힘들던데 남자 아이 둘 키우는 입장에서 애를 어떻게 키우는게 정답인걸까? 안그래도 고민이 많았는데 더 많은 고민을 하게됩니다.
세인트
25/03/20 21:43
수정 아이콘
그쵸. 실화가 아닌데도 마지막 대사들이랑 가족의 연기가 너무 좋아서 진짜 먹먹하게 보게 되더라구요. 부모가 잘못한게 뭘까 말한데로 똑같이 키워서 극중 첫째딸같은 멋진 자식도 키운건데 싶기도 하고 ㅜㅜ
25/03/27 23:21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게 보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85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51] a-ha7405 25/04/18 7405 1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61] 맥스훼인8651 25/04/18 8651 1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81] liten7601 25/04/18 7601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7] 及時雨4170 25/04/17 4170 12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1] 빵pro점쟁이8753 25/04/17 8753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2] EnergyFlow11232 25/04/17 11232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9974 25/04/16 9974 3
104078 [일반] 출생아가 두 배로 늘어나는 방법? - 적극적 이민 정책을 촉구하며 [284] 사부작15582 25/04/16 15582 12
104077 [일반]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중화비 70% 국비 지원 [96] 깃털달린뱀12568 25/04/16 12568 20
104076 [일반] 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 17일 발표 [167] 교대가즈아15575 25/04/16 15575 2
104075 [일반] 대화의 방식 : SRPG와 RTS [42] 글곰10711 25/04/15 10711 22
10407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7 [11] Poe8395 25/04/15 8395 41
104073 [일반] 서울대 교수회가 제시한 "대한민국 교육개혁 제안" [86] EnergyFlow14749 25/04/15 14749 4
104072 [일반]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358] 궤변20616 25/04/15 20616 25
104071 [일반] 런린이가쓰는 10km 대회 준비&후기 [14] Jane7861 25/04/15 7861 6
104070 [일반] Nothing Happens. [4] aDayInTheLife6374 25/04/14 6374 6
104068 [일반] [역사] IBM이 시작해 도시바가 완성한 저장장치 / 저장장치의 역사 [19] Fig.16054 25/04/14 6054 7
104067 [일반]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어느정도 일까요? [76] 또리토스9316 25/04/14 9316 0
104065 [일반] 최근 보는 웹소설들 [37] 비선광9636 25/04/14 9636 3
104064 [일반] 오늘자 시총 10조 코인 먹튀 발생... [56] 롤격발매기원16209 25/04/14 16209 4
104063 [일반] 기억나는 가게 손님들 이야기. [14] 인생의참된맛8295 25/04/13 8295 6
104062 [일반] [웹툰]로판인가? 삼국지인가? '악녀는 두번 산다' 추천 [18] 카랑카8784 25/04/13 8784 1
104061 [일반] 스스로 뒤통수 후리게 하면서도 끊을 수 없는 겨자의 낭만 [4] Poe7797 25/04/13 7797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