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14 22:05:28
Name 어강됴리
Link #1 https://www.yna.co.kr/view/AKR20250313120500003
Subject [일반] [방산] 한화오션이 성공적으로 인도한 미 해군 MRO사업
한화오션, 국내 최초 미 해군 함정 MRO 사업 완료


미국의 동맹국에게 MRO시장을 개방하겠다고 한 뒤 처음계약 했던 윌리 쉬라호가 선체 유지보수, 점검,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거쳐 3월 13일 미 해군에 인도되었습니다.



미국 함정을 맏길수 있는 동맹국은 사실상 한국, 일본뿐이며 미국의 7함대가 주둔해있는 일본이 적격인것 같지만
일본의 조선업계는 사실상 자연사 상태이며 신규인력 유입도, 투자도 점차 쪼그라들어 일본 자위대 수요를 맞추기에도 버겁다고 들었습니다. 
 그때문인지 총액 60조원대 사업이라는 캐나다 신규 잠수함 사업 입찰도 포기했죠 



도널드 트럼프(오른쪽에서 둘째)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998년 6월 경남 거제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 옥포조선소를 찾았을 때의 모습. 당시 부동산 사업가로 ‘대우트럼프월드’ 투자 협의를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찾은 그는 당시 대우그룹의 조선소, 전북 군산 대우자동차 등 여러 사업장을 방문했다.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오른쪽 셋째), 두 번째 아내인 배우 출신 말라 메이플스(왼쪽 첫째)도 함께 한국 조선소를 찾았다. 100m 높이 골리앗 크레인을 보고 ‘한번 올라가 보고 싶다’고 먼저 요청한 트럼프는 크레인 정상에서 “원더풀, 어메이징” 감탄사를 연발했다고 한다. /조선일보 DB
98년도 대우조선해양 (현 한화오션)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와 장남 트럼프 주니어의 모습 


미 해군 함정 MRO 사업 라이센스를 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취득했는데 (삼성중공업은 참여하지 않는다고 선언했습니다.)
이 MRO사업이라는게 외부에 알려지는것보다 그렇게 돈이 되는 사업은 아니라고 합니다. 

수리인력에 대한 보안과 격리가 이뤄지는 통에 인력배치를 비효율적이고 불편하게 진행해야 하기에 달갑지만은 않습니다.
이미 5년치 일감 다 받아놓은 현대중공업은 시큰둥..

소거법에 의해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미군 MRO사업은 한화오션이 많은 부분을 차지할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고 핵잠수함이나 항공모함같은 전략자산의 수리를 맡기지는 않겠지만 탄약, 유류등을 운반하는 군수지원함을 시작으로 점차 범위를 늘여가겠죠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인 '월리 쉬라'호가 함정 정비를 위해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 입항하고 있다. © 뉴시스

작년 9월 3일 입항당시의 윌리 쉬라호 

외관으로 보면 녹슬고 당장에라도 어디 빵구나서 물샐것 같이 보였는데


 


한화오션, 미국 군수지원함 MRO성공리 마쳐

3월 13일 미 해군에 성공적으로 인도되었다고 합니다. 

왠지 러브하우스 느낌의 전후비교


그러거나 말거나 트럼프는 삥뜯으러 오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WICE NC
25/03/14 22:07
수정 아이콘
새삥이 되서 돌아가네
25/03/14 22:31
수정 아이콘
새삥도 삥이다!
덴드로븀
25/03/14 22:3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azaZt7eccnc
지코가 부릅니다 - 새삥

??? : 딱 기다려. 삥뜯으러 간다.
Lord Be Goja
25/03/14 22:49
수정 아이콘
중고가 깔끔하게 마무리된거보니 성공적으로 인도한거같네요
미드웨이
25/03/14 22:57
수정 아이콘
지금은 별거 없을지 몰라도 시간 지나면 지날수록 중요해질거 같아요. 중국의 물량공세 앞에서 민간사업은 결국 버티는수준이 될수밖에 없는데 방산이라도 더 추가되면 좋죠. 신뢰도 계속 쌓으면 더 중요한 군함을 맡길거고.
김삼관
25/03/14 23:18
수정 아이콘
저정도로 관리가 안된건가요? 작전은 가능한 상황인 거 같긴한데.. 하여간 새것처럼 됐네요.
서린언니
25/03/14 23:19
수정 아이콘
반년만에 풀 정비 출고라니 대단한데요.
25/03/14 23:35
수정 아이콘
조선은 돈이 안된다는 게 문제 아닌가요..
미드웨이
25/03/15 07:56
수정 아이콘
돈이 안되는건 아니고요 벌때는 잘법니다. 당장 지금 돈 잘벌고있고요.

조선의 문제는 저임금산업이라 중국에게 갈수록 밀릴 운명이란것과 사이클산업이라 안될때는 진짜 지옥간다는건데
방산은 사이클 타는것도 아니고 중국을 경쟁자로 삼지 않아도 되기때문에 기존 조선의 약점을 보완해주죠
25/03/15 00:38
수정 아이콘
저 사업이.. 미국이 제값을 치르긴 하려나요?
어강됴리
25/03/15 01:15
수정 아이콘
마진율이 30퍼라 적게주는건 아닙니다

이거보다 오늘 매카시 전 하원의장이 방한했는데
존스법 개정해서 군함건조 맡길거라더군요 지금 미국역량으론 유지도 힘드니
그렇게 되면 지금 평판작업 해놓는 셈이죠
국수말은나라
25/03/15 12:36
수정 아이콘
이게 메인입니다 항모나 잠수함(둘 다 핵추진이라서) 제외하고는 다 지을수 있죠

설계 유출 이슈만 해결한다면요
25/03/15 07:28
수정 아이콘
이런건 당장 돈이 된다기보다는 우리입장에서는 안보라고 봐야죠

물론 트럼프는 수하의 조공이라는 느낌으로 보갰지만...
25/03/15 09:42
수정 아이콘
막짤은 정말 러브하우스 bgm이 필요하군요 크크
25/03/15 10:52
수정 아이콘
마진 더줘 우리 임금도 너네보다 싸
저기 항만노동자 평균임금이 87000달러인가한다던데 바이든때 50퍼인가 인상한다 뭐다 말있었는디
손꾸랔
25/03/15 11:31
수정 아이콘
근데 수리하고 나오는 짤에도 녹물 흐름같은게 살짝살짝 비치는데 저건 평소에 부지런히 안닦으면 금세 예전으로 돌아가지 싶네요.
어쩌면 벌겋게 녹물로 덮여있으면 적이 나포하기 싫다든지 해서 전투에서 유리할지도?
쵸젠뇽밍
25/03/15 11:5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조선업이 요상한 부분이, 보통 산업은 꾸준함도 중요하기 때문에 큰 돈이 안되더라도 일감을 꾸준히 유지하는게 중요한데요.
막상 조선업은 일당이 낮아서 직원들이 일을 계속하려고 안한다는 게 문제죠.
이미 우리나라에 맞는 산업이 아닌데, 미국한테 돈이나 제대로 받았으면 좋겠네요.
국수말은나라
25/03/15 12:34
수정 아이콘
이미 상당수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안마 분들이 많습니다
쵸젠뇽밍
25/03/15 12:39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돈이나 제대로 받았으면 좋겠다는 거죠. 그게 안되니까 외국인 분들이 많은 거니까요.
현장에서 좀 오래 일한 사람들은 서로간에 네트워크가 있고, 페이에 따라서 움직입니다. 현재는 평택 쪽이 페이가 쎄서 그런 사람들을 쭉 빨아들인 상태죠. 조선업 쪽에서 페이를 좀 더 줄 수 있는 상황이 되면 한국인 노동자가 더 늘어날텐데, 상선으로는 페이를 늘릴 수가 없으니까요. 그나마 군함인건데. 미국도 중국이 동맹국이 아니니까 우리에게 맡길 수 밖에 없는 건데, 이런 기회에 돈이나 더 받았으면 한다는 거죠.
국수말은나라
25/03/15 12:34
수정 아이콘
대통령이 직무정지 중인게 행운이죠
대화 파트너가 없으니 관심 밖이라 삥도 안뜯기는 듯
25/03/15 13:19
수정 아이콘
조선소는 줄거 다주면 수주 절대 못따내죠.
유럽과 미국은 바보라서 수십년전에 조선업 포기했겠습니까.
중국애들은 9시부터 9시까지 주6일 일하고 1500만원 받는데 이걸 이길수가 없죠
이른취침
25/03/16 19:23
수정 아이콘
1500이면 저도…
호랑이기운
25/03/15 14:48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 조선소는 인건비따먹기죠
마요마요
25/03/15 23:44
수정 아이콘
아무리 돈이 급하더라도 조선소는 절대 가지 마세요. 듣기론 잘 모르는 젊은 사람들이 조선소 갔다가 이러다 죽겠다 싶어서 점심시간에 다 도망간다고 합니다.
주먹왕동석이
25/03/17 09:38
수정 아이콘
업무환경이 죽겠다 싶을 정도는 아닙니다.
도망가는 이유는 같은 기술을 가지고 EPC(엔지니어링이나 플랜트 쪽)업체에 가면 3~4배 받기 때문이라는거..

조선업은 진짜 짜게 줍니다.

용접공들 급여+연장+상여 따져보면 빅3 조선업은 연봉 0.8억~ 1.2억 맞춰주는데
빅3 협력사(마찬가지로 조선업)들은 연봉 5~6천만원 정도가 됩니다.

저게 연봉짠건가라고 궁금하실 수도 있겠지만, 저거 연장근로 겁나 뛰고 저 금액 받는거라
애매합니다.
25/03/17 15: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도면없이 정비만 한거라 대단하지만 역사대로 갈 운명이라 슬프네요 미국은 그저 연봉 5억만 바치면 바로 조선소 정비 건설 끝나면 옛날같이 세계일류가 되고

국내도 연4억 이상 안 주면 안 하는게 맞고 수빅조선소와 일본 조선 산업의 단점과 현중 베트남 조선소 꼬라지 보면 뭐 생산성 줄어드는 트랜드가 변하지 않겠죠 주식 포텐이 낮은 이유가 다 있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31 [일반] LLM 활용에 대한 간단한 팁과 의견 [7] 번개맞은씨앗8330 25/04/29 8330 5
104130 [일반] 새롭게 알게된 신선한 유튜브 채널 추천 [12] VictoryFood14257 25/04/29 14257 7
104129 [일반] 나의 세상은 타인의 세상과 다르다는 걸 [29] 글곰11433 25/04/28 11433 50
104127 [일반] PGR21 대표 덕후들의 모임☆ 덕질방 정모 후기 (움짤있음) [39] 요하네스버그10741 25/04/28 10741 47
104126 [일반] SK텔 해킹 사태에 대응한 보안 강화 요령 [42] 삭제됨14444 25/04/28 14444 19
104125 [일반] 종말을 마주하며 살아가기 [39] 잠봉뷔르11156 25/04/28 11156 20
104124 [일반] 역대 최악의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71] 나미르13786 25/04/28 13786 8
10412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3)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2 [3] 계층방정4858 25/04/27 4858 5
104122 [일반] 심히 유치하지만 AI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2] Love.of.Tears.7683 25/04/27 7683 1
104121 [일반] [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5615 25/04/27 5615 0
104120 [일반] [독서 에세이] 정치의 종이 되는 생각 없는 과학 (『20세기 소년』) [5] 두괴즐6449 25/04/26 6449 8
104119 [일반] 일본 정부부채는 정말 심각할까? [53] 기다리다13645 25/04/26 13645 8
104118 [일반] 최근 chatGPT와 함께 놀다가 마지막에 나눈 대화 [35] Quantum2113309 25/04/25 13309 7
104117 [일반] 미 공군의 A-10 썬더볼트 II는 올해 한국에서 철수합니다 [58] Regentag12807 25/04/25 12807 0
104116 [일반] 트럼프-달러패권 그 뉘앙스은 어떻게 잡는가 [20] Q-tip9474 25/04/25 9474 2
104115 [일반] 아래 간짜장 글을 보고 써보는 글입니다. [19] 덧물10391 25/04/25 10391 0
10411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9 [7] Poe7062 25/04/25 7062 24
104113 [일반] 챗gpt와 함께 읽는 "희랍어시간" [1] 아빠는외계인6670 25/04/24 6670 3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18] 국힙원탑뉴진스11986 25/04/24 11986 3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22] Anti-MAGE10271 25/04/23 10271 4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8] meson7417 25/04/23 7417 13
10410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2)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1 [9] 계층방정7910 25/04/23 7910 10
104108 [일반]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100] DpnI18655 25/04/23 18655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