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05 22:34:4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785058591
Subject [일반] <콘클라베> - 신의 일이든, 신의 뜻이든, 결국 인간이 하는 것. (노스포)
'콘클라베'는 창작자에게 정말 많은 영감을 주는 소재가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단일 종교로써 가장 큰 교파의 수장을 뽑는 과정인 동시에, 특유의 방식과 분위기 등이 창작 소재로 쓰이는 원인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오늘 개봉한 영화 <콘클라베>는 역시 이 '콘클라베' 선거를 소재로 한 영화이자, 로버트 해리스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은 영화입니다.

영화 상에서 두드러지는 건, 아무래도 가치관 내지 사상의 대립이라고 생각됩니다. 본질적으로 반대편에 극단적 보수주의로 분류될 수 있는 '테데스코' 추기경이 반동으로 표현되고, 그 중간 단계에 다른 추기경이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영화는 본질적으로 '폴리티컬 스릴러'로 분류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후보 하나 하나를 지워가면서 표를 얻고 설득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니까요.

다만, 이 구조가 100% 잘 작동하냐는 조금 애매합니다. 영화적으로 비슷한 구조라고 한다면, <1987> 같은 영화가 떠오르는데, 하나의 악역 내지 반동 인물이 있고, 이 인물이 모든 어그로를 끌어주는 구조라고 할 수 있을텐데, 테데스코 추기경이 이 모든 어그로를 끌어가는지는 조금 애매하다고 생각이 들긴 하거든요. 물론, 영화 자체가 로렌스 추기경이라는 후보이자 선거 관리자라는 인물을 따라가고 있기에, 그리고 어찌되었건 추기경이기에 매우 공격적으로 묘사하기에는 애매한 지점이 있긴 했겠지만요.

그걸 떼놓고 봤을 때는, 말 그대로 잘 다듬은 정갈한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정치적인 이야기에서 개인적인 이야기로 전환되는 지점이 있긴 합니다만, 어찌되었건 이 부분이 매끄럽고 잘 만들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장 '킥'이라고 할 만한 부분은 레이프 파인즈 배우의 연기를 비롯한 연기 차력쇼에 있구요.

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즐거웠던 부분은 정갈하게 다듬은 이야기와 그걸 구현해내는 연기, 배경에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보면서 소재는 비슷한 <천사와 악마>류의 이야기와는 다른 느낌이거든요. <천사와 악마>가 어찌되었건 '로마를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영화라면, 이 영화의 시각적 느낌은 그 '분위기'에 빠져들게 하는 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부분에서 연기의 역할도 굉장히 뛰어나구요.

어찌보면, '신의 뜻'을 이루고자 하는 '신의 일'을 하는 성직자도 결국 사람이고 철저하게 인간이라는 점, 그래서 사람이기에 흔들리고 의심하며, 그 개인적인 일로 인해 무너지는 것임을 보여주는 영화는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승승장구
25/03/05 23:23
수정 아이콘
콘클라베라는 신성한 영역을 염탐하는 호기심으로 시작했다가
사람사는곳 다 똑같다는 안도감?으로 마무리...인줄 알았는데
여러 의미로 꽤나 영리한 진짜 마무리가 있었네요
과도한 비틀기 없이 묵직함을 즐기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aDayInTheLife
25/03/05 23:33
수정 아이콘
그쵸, 약간 반칙(?) 같은데 재밌었습니다.
듣는사람
25/03/05 23:56
수정 아이콘
영화관에서 보고싶은 영환데 상영관이 많이 없는거같아서 아쉬워요
aDayInTheLife
25/03/06 00:13
수정 아이콘
ㅠㅠ
인민 프로듀서
25/03/06 00:20
수정 아이콘
흡입력 좋고 긴장감도 잘 유지되는데, 마지막의 마지막에 너무 다른 이야기로 점프해버려서 오히려 몰입이 깨지더군요.
aDayInTheLife
25/03/06 05:15
수정 아이콘
추리물 식의 페어-언페어 논란이면 이건 좀 언페어에 가깝긴 한 느낌이긴 했어요.
25/03/06 00:22
수정 아이콘
요즘 콘클라베가 아니라 옛날 콘클라베였으면 만장일치 나올때까지 갇혀서 지내야했습니다 크크크크크
aDayInTheLife
25/03/06 05:15
수정 아이콘
아니 지금 이해가 안되나 본데 우리 만장일치 뜨기 전까지 못나간다니까?!? 크크
25/03/06 00: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조금은 다른 이야기인데... 콘클라베가 관련된 SF 소설이 '노인의 전쟁'시리즈가 있습니다. 인류가 우주 콘클라베와 대립하는 이야기 인데... 간단히 읽기도 재미도 있고 몇편 읽다보면 철학적으로도 생각할만 해서 권해드립니다.

아무튼 교왕 프란체스코님의 회복을 기도드립니다.
aDayInTheLife
25/03/06 05:16
수정 아이콘
노인의 전쟁 1부는 이상하게도(?) 군 권장 소설로 읽어 봤습니다. 크크
25/03/06 10:57
수정 아이콘
개봉날 극장에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시청각적으로도 훌륭했고 각색상을 받을만한 전개가 끝까지 집중하게 만들더라구요
aDayInTheLife
25/03/06 11:19
수정 아이콘
네 재밌었습니다 흐흐
크낙새
25/03/08 14:42
수정 아이콘
방금 보고 왔는데 몰입감이 엄청났습니다. 배우들의 연기도 훌륭했구요. 로렌스추기경이나 다른 배역 배우들도 좋았지만 특히 아그네스?아녜스? 수녀 역의 이사벨라 로셀리니의 연기가 인상깊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며칠전에본 미키17보다 높은 평점을 주고 싶네요.
aDayInTheLife
25/03/08 14:43
수정 아이콘
이사벨라 로셀리니가 이번 조연상을 9분 나오고 탔더라구요. 보고선 이해가 되었습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58 [일반] [서평]《출퇴근의 역사》 - 통근을 향한 낙관과 그 이면 [4] 계층방정5642 25/04/12 5642 5
104057 [일반] 나스닥이 2프로 가까이 오른 어제자 서학개미들 근황 [36] 독서상품권12108 25/04/12 12108 0
104056 [일반] [역사] 한국사 구조론 [27] meson8085 25/04/12 8085 11
104055 [일반] 오사카에서 찍은 사진들 [14] 及時雨7529 25/04/12 7529 10
104054 [일반] 테슬라 FSD 1년 사용 후기 [64] vitaminwater14328 25/04/11 14328 24
104053 [일반] 닌자 리얼리티 쇼크에 평범한 헤즈들은 쇼크! [23] 된장까스9139 25/04/11 9139 0
103974 [일반] [후원]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106] 及時雨32442 25/03/26 32442 23
104052 [일반] 중국 자동차 산업 의외의 복병, 하이브리드 [87] 깃털달린뱀16999 25/04/10 16999 11
104051 [일반] 다시 춤을 추기 시작한 미국 증시 근황 [76] 무도사16072 25/04/10 16072 0
104050 [일반] 엄청난 변동성에 녹아내리는 레버리지 etf [17] 맥스훼인11829 25/04/10 11829 0
104049 [일반] a great to time to buy 완전 주가조작 아닌가요? [38] 알파고12337 25/04/10 12337 5
104048 [일반] 챗지피티와 손자병법 시뮬레이션하기 [2] 가위바위보7373 25/04/10 7373 2
104047 [일반] 미래의 아이들은 디스토피아에 살게될것인가 [49] 방구차야8416 25/04/09 8416 1
104046 [일반] 국채금리와 자본유출 (ChatGPT와의 대화) [22] 번개맞은씨앗5489 25/04/09 5489 0
104045 [일반] (잡담) 자존심 센 첫째 딸 이야기(+후기) [21] 하나6950 25/04/09 6950 23
104044 [일반] 국제 공조 스테이블코인은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55] 사부작7244 25/04/09 7244 1
104043 [일반] 트럼프 행정부의 잠재적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및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42] 뒹구르르8343 25/04/09 8343 5
104042 [일반] 삼국지 이후의 이야기, 위진남북조 시대: (上) 진(晉)의 성립과 멸망 [13] Neuromancer7246 25/04/08 7246 18
104041 [일반] [부고] '모래반지빵야빵야'님이 오늘 선종하셨습니다. [399] LowTemplar18152 25/04/08 18152 95
104040 [일반] 질문을 하자. 정확하게. [20] 찌단7668 25/04/08 7668 6
10403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연재 휴식 + 앞으로 뭐 쓸까요? [7] 계층방정4527 25/04/08 4527 7
104038 [일반] 방금자 밴스 발언 요약 [66] Lz11729 25/04/08 11729 8
104037 [일반] 실시간 레전드 찍고있는 나스닥 근황.jpg [65] 김유라16540 25/04/07 1654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