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5 16:55:4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761645799
Subject [일반] <브루탈리스트> - 안티-아메리칸 드림에 대해.(노스포)
<브루탈리스트>는 전후 헝가리계 유대인 건축가가 미국에 건너가 정착하는 이야기입니다. 건너간 초기와 해리슨 밴 뷰런이라는 후원자를 만나 자리 잡는 시기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저는 미리 말하자면, 영화 자체는 괜찮았습니다만, (호불호에서 호 쪽으로 살짝 기울지만) 영화가 얼마나 좋았느냐에 대해서는 조금 주류 의견과는 다를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생각보다 '엄청난' 작품은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거든요.

<브루탈리스트>의 가장 큰 특징은, 이 영화가 안티-아메리칸 드림스러운, 혹은 '아메리칸 나이트메어'(코디 로즈 아님) 스러운 이야기라는 점이겠지요. 초반부, 오프닝을 장식하는 뒤집힌 자유의 여신상이 함축적으로 담고 있듯이요. 그런 점에서 영화의 에필로그가 미국이 아니라는 점이 맞닿아 있진 않은가 싶습니다.

다만, 이 주제가 새로운가, 혹은 그만큼 강렬한 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어요. 개인적으로 '괜찮은 작품이지만 엄청 좋은지는 모르겠다'는 감상이 여기서 나오는 건 아닐까 싶은데, 서막과 에필로그, 2막 구성, 인터미션까지 낀 3시간 40여분의 시간이 매우 꽉 찬 이야기라고 보기는 좀 애매하기도 하고, 더 정확하게는 여기서 그리는 주제가 우리에게 와닿는 주제인지 잘 모르겠다는 점이 아쉽지 않나 싶습니다. 영화의 완성도는 좋지만, 그 주제가 얼마나 와닿는 지는 조금 고민되는 지점이라고 해야할까요.

영화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배우들입니다. 다 좋지만, 베스트는 역시 주인공을 연기한 애드리언 브로디 배우가 최고네요. 가이 피어스도 좋구요.
어찌보면, 건축사조, 전후 세대의 분위기, 홀로코스트와 미국 이주까지. 넘어야 될 산이 너무 많은 영화는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5 18:07
수정 아이콘
소재, 폰트, 오프닝 시퀀스, 로케이션, 촬영, 편집, 음악, 음향, 주요 인물들의 동기, 주제를 드러내는 다소 과격한 방식...
모든 요소가 '브루탈리즘'의 속성 혹은 '브루탈리즘'에 대한 당대의 반응과 철저하게 닮아있는 놀라운 영화였습니다.
AI 더빙와 관련된 논란만 아니었다면 오스카 작품상 1순위가 아니었을까. 저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손을 들어주고 싶지만.
아이폰15pro
25/02/15 20:26
수정 아이콘
저는 너무 좋았습니다 3시간 30분이 전혀 지루하지 않았네요 쉽게 읽히는 묵직한 서적 한권을 하루만에 읽어내려간 느낌이었습니다 흐흐
aDayInTheLife
25/02/15 20: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막상 생각해보면 무슨 장면을 뺄지 고민되긴 하는 작품 같아요.
어느 장면이든 고유의 역할이 있어서..
25/02/16 02:20
수정 아이콘
전 건축을 좋아해서 건축가로서의 삶이 좀 더 강조되는 영화인줄 알고 가서 다소 실망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이 스토리 역시 의미있다 생각합니다. 물론 이민자거나 이민자의 피가 없는 한국인이기에 덜 와 닿은 것 같은 영화지만요. 그래도 작품의 시네마토그라피, 구도 연출 등 개인적으로 눈은 정말 호강한 영화라 생각합니다. 아직도 처음의 자유 여신상 연출이 생생하네요
사다드
25/02/18 17:31
수정 아이콘
목적지는 감독만이 알고있고 그 과정도 결국 감독이 닦아놓은 길 위에 형성될 것인데 개인적으로 이 영화는 과정에서 길을 잃게 만들어버렸습니다. 뭔가 균형을 잡아주거나 동기를 불어넣어줄 캐릭터인 아내도 인터미션 이후에 나오게 되니 좀 갸우뚱하게 되더라구요. 중간에 인터미션도 의아했고, 에필로그가 너무 전형적인 헐리우드 스타일로 다가오니 에필로그 이전과의 온도차가 심하게 나서 불호에 가까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7] Kaestro7705 25/04/19 7705 31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9] 잉어킹8897 25/04/18 8897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17] 깐부12569 25/04/18 12569 2
104086 [일반] '메탄올 실명' 노동자 이진희씨 별세 [38] 수리검9534 25/04/18 9534 53
104085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51] a-ha7704 25/04/18 7704 1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61] 맥스훼인8973 25/04/18 8973 1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81] liten7935 25/04/18 7935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7] 及時雨4439 25/04/17 4439 12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1] 빵pro점쟁이9092 25/04/17 9092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2] EnergyFlow11547 25/04/17 11547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10294 25/04/16 10294 3
104078 [일반] 출생아가 두 배로 늘어나는 방법? - 적극적 이민 정책을 촉구하며 [284] 사부작16046 25/04/16 16046 12
104077 [일반]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중화비 70% 국비 지원 [96] 깃털달린뱀12918 25/04/16 12918 20
104076 [일반] 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 17일 발표 [167] 교대가즈아15970 25/04/16 15970 2
104075 [일반] 대화의 방식 : SRPG와 RTS [42] 글곰11036 25/04/15 11036 22
10407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7 [11] Poe8725 25/04/15 8725 41
104073 [일반] 서울대 교수회가 제시한 "대한민국 교육개혁 제안" [86] EnergyFlow15208 25/04/15 15208 4
104072 [일반]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358] 궤변21029 25/04/15 21029 25
104071 [일반] 런린이가쓰는 10km 대회 준비&후기 [14] Jane8190 25/04/15 8190 6
104070 [일반] Nothing Happens. [4] aDayInTheLife6640 25/04/14 6640 6
104068 [일반] [역사] IBM이 시작해 도시바가 완성한 저장장치 / 저장장치의 역사 [19] Fig.16393 25/04/14 6393 7
104067 [일반]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어느정도 일까요? [76] 또리토스9639 25/04/14 9639 0
104065 [일반] 최근 보는 웹소설들 [37] 비선광9972 25/04/14 997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