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2 21:36:09
Name 싸구려신사
Subject [일반] 25년의 소소한 일상
안녕하세요.

작년에 새롭게 시작하는 것들이 많아서 가볍게 글을 남겼었는데
이렇게 1년만에 일상글을 작성해 보려고합니다. 읽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1. 둘째 탄생임박
약 2년간 육아에 지쳐서 둘째는 생각지도 않고 있었는데...
애기가 어린이집 입소하고, 적응도 잘하면서 몸이 좀 편해 졌는지 둘째를 가졌습니다.

예정일은 5월인데 확실히 첫째때와는 다른 느낌입니다.
첫째때는 모든것이 새로워서 심장소리 듣는 것도 신기했고 감동이었는데 둘째때는 신경을 거의 안쓰게 되네요.
둘째도 분명 이쁠거라 생각하지만 지금은 "앞으로 첫째보다 더 이쁜 존재가 또 있을까? 흐흐" 하는 생각뿐입니다.

2. 육아의 즐거움
확실히 애기가 자라면서 더 이뻐지고, 행동도 귀여워져서 육아의 즐거움이 커져갑니다.
8살 조카 가진 누나도, 18살 먹은 아들을 가진 옆자리 부장님도 자식이 그 나이가 되어도 아직도 이쁘다고 하던데 정말 내자식은 끝까지 이쁜가 봅니다.
 
육아하면서 요즘 가장 주의하는 부분은 말조심 하는 것입니다. 
본의 아니게 애기 앞에서 험한말 했다가 그대로 따라하는 걸 보고 이러면 안되겠다 싶더군요.

3. 다이어트
 작년말부터 다이어트를 다짐하고, 지금까지 4~5kg 정도 감량했습니다.(작년에 살찐만큼 뺀거긴 합니다.ㅜㅜ)
 연말 및 설연휴의 고비가 있었음에도 목표는 달성해서 기분이 좋네요.

 이제 관건은 위고비 주사를 맞느냐? 입니다. 흐흐흐
 사실, 작년말에 살이 너무 쪘을 때 위고비를 맞고 빼려고 했었는데... 스스로 뺄만큼 빼고 더 빼기 힘들 때 위고비를 맞아보자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몸무게가 결혼 할 때의 무게라... 비만임에도 만족하고 있어서 약물의 힘을 빌어서 대학 시절의 몸무게로 돌아가 보고 싶네요.
 한 5~8kg 정도만 더 빼면 더할나위 없이 행복 할 것 같습니다.ㅜㅜ  근데 가까운 지인이 만류하고 있는데... pgr에도 위고비 맞으신 분들 많으시겠죠?

4. 대학원 생활
 사실 작년부터 올해까지, 제 인생은 육아와 회사 그리고 대학원 생활이 전부인 것 같습니다.
 여기와서 느낀건 1) 모든 석/박은 대단하다.   2) LLM이 없었다면 어쩔뻔 했는가? 입니다. 크크

 저희과가 졸업요건이나 기간 등이 널럴한 편이긴 하지만... 작년엔 힘들었는데 이제 끝이 보이는 상황이고 막판까지 잘해나가서 좋은 결과물을 남길 수 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GPT나 Claude가 없었다면 볼 엄두도 못냈을 문서를 덕분에 해석 할 수 있게 되었고,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네요. 게다가 요즘은 글쓰기 작업을 하고 있는데 LLM 도움없이 혼자 쓰는건 상상도 못하겠습니다.

5. 독서습관
 작년글에서도 언급 한 것 같은데 독서 습관을 들이고 싶은데 잘 안되네요.
 쇼츠나 유투브가 나오기 전에도 독서를 잘 안했으니 그것때문은 아닌 것 같고, 어릴 때부터 습관이 잘못 들여진 탓인가 봅니다.
 어느 독서 영상에서 '쉽고 재밌는 책부터 천천히 읽으라는 조언'을 봤는데 그렇게 편하게 습관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작년에 사두고 완독하지 못한 사피엔스부터 읽고, 제가 좋아하는 범죄 스릴러 책과 경제 관련 책을 보는 것이 올해의 목표입니다.
 응원해주세요 !

별 시덥잖은 글인데도 마지막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행복한 25년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3 00:43
수정 아이콘
사소한일상이 가장큰 행복같아요
자주 웃는 하루하루 되시길^^
싸구려신사
25/02/13 09:1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있네요. 즐거운하루 되세요.
파프리카
25/02/13 11:04
수정 아이콘
육아에 회사, 대학원 병행이라니 몸이 혹시 3개신가요? 크크. 저는 아내가 첫째 임신했을 때 워낙 이벤트가 많아서 둘째를 가졌을 때는 일부러 관심도 덜주고 무덤덤해지려고 노력했습니다.

지금 둘째 태어난지 두돌이 다되어가는데.. 정말 이쁩니다. 둘째는 다릅니다. 크크 뱃속에서 관심 덜준거 지금이라도 많이 주고 사랑해주려구요. 둘째 아기님의 탄생을 미리 축하드립니다. 행복한 기다림 되시길 응원합니다.
싸구려신사
25/02/13 12: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둘째는 다르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너무 기대됩니다^^
보통 두돌 지나면서 애교도 많이 떨고 그 무렵부터 확 이뻐지던데 파프리카님의 둘째도 정말 이쁠 것 같네요. 많이 사랑해주셔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867 [일반] 최근 일본 sns에서 주장하는 한일 연합론 [91] 기찻길11808 25/03/03 11808 2
103866 [일반] 국내 외국인 유입증가에 대한 한 활동가의 견해 [49] 아스라이8247 25/03/03 8247 8
103865 [일반] 아카펠라 최초로 빌보드 1위를 기록하며 많은 사람들을 감동시킨 명곡 @.@ [2] nexon5247 25/03/03 5247 3
103864 [일반] <컴플리트 언노운> - 시대와 순간이 예술가를 벼리는 법. (약스포) [8] aDayInTheLife5819 25/03/02 5819 3
103863 [일반] 즐겨보던 유튜브 채널이 사라졌습니다. [251] 맥스훼인24450 25/03/02 24450 42
103862 [일반] 수능킬러문제는 '따위'로 만들어 버리는 GPT 딥리서치 한달 사용후기 (딥리서치에 물어볼 질문도 받음) [77] Quantumwk12799 25/03/02 12799 15
103861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 회담 전문으로 AI 4개 성능 비교 해봤습니다 [34] 여기10286 25/03/02 10286 8
103860 [일반] 트럼프-젤렌스키 회담(2.28)의 전체 방송영상과 대화 번역본 [92] 스폰지뚱14777 25/03/02 14777 3
103859 [일반] 한국문화콘텐츠의 두 수원지에 대하여 [5] meson7344 25/03/01 7344 9
103858 [일반] 정치글의 카테고리는 어디까지일까요? [98] 烏鳳9646 25/03/01 9646 0
103857 [일반] 국제정치의 현실주의자라고 이완용의 동조자는 아닙니다. [252] 스폰지뚱17817 25/03/01 17817 25
103855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기사 젤렌스키, 트럼프와 말다툼 협상후 만찬 준비중에 백악관에서 쫓겨나다. [439] 깐부26392 25/03/01 26392 3
103854 [일반] (일상/약혐?) 쿠키를 먹다가 금니가 빠졌다 [14] VictoryFood6738 25/03/01 6738 0
103853 [일반] 쫄보의 주식 투자 실패 이야기 (1) [32] 김치와라면7407 25/02/28 7407 5
103852 [일반] RX 9070 / XT 시리즈 그래픽 카드 중국 가격 공개 [35] SAS Tony Parker 7875 25/02/28 7875 1
103851 [일반] 요즘 AI 보이스 모드 소식 몇 개 [9] 깃털달린뱀6342 25/02/28 6342 2
103850 [일반] 방금 국제표준화기구(ISO) 에서 받은 미국 정부에 대한 이메일 어매이징 하네요. [70] 성야무인14564 25/02/28 14564 11
103849 [일반] 주식투자관련해서 개인적으로 중요하다 생각하는 원칙 3개 [33] Quantumwk6873 25/02/28 6873 5
103848 [일반] "내가 정말 그렇게 말했었나"…트럼프, '젤렌스키는 독재자' 발언 철회 [39] 전기쥐8573 25/02/28 8573 1
103846 [일반] 세상에는 돈 잘 버는 사람만 있나 싶었는데 [39] 글곰9059 25/02/28 9059 11
103845 [일반] GPT 4.5와 지능이론 그리고 한국의 미래 [20] 번개맞은씨앗5641 25/02/28 5641 11
103844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0. 북방/천간 계(癸)에서 파생된 한자들 [3] 계층방정3304 25/02/28 3304 3
103843 [일반] 북한에서 전사자 시신을 버린다는 말이 있습니다 [58] 설탕물12565 25/02/27 1256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