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1/20 23:54:12
Name 네?!
Subject [정치] 우리 안의 먹고사니즘에 대하여
먹고 살려고 하다보니 그럴 수 있지

어떻게 보면 연민이고 어떻게 보면 구태이기도 합니다
생존을 위해 저지르는 다소간의 잘못을 용인해주는 태도
우리는 이것을 먹고사니즘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먹고사니즘은 20세기에 강력한 행동동기로 작용했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 사소한 불법을 저지르거나
비용이 들어가는 안전조치를 하지 않거나
밥줄이 끊어질 상황이면 아예 모른척하거나
아무튼 먹고살려고 했다는 변명이 잘 통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런데 요즘들어 먹고사니즘이 과거형이 되었는가에 대해서
회의적인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먹고사니즘이 새로운 형태와 방향으로 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과거에는 용인할 수 있는 주제가 생존과 그외 기타였다면
요즘은 용인할 수 있는 주제가 너무 다양해졌습니다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계엄은 괜찮아
페미척결을 위해서는 문제있어도 보수지지 해야해
친일수구세력 척결을 위해서 상대방을 쓰레기로 말아도 돼
남녀평등을 위해서 워마드도 괜찮아

등등등 너무나 다양하게 변주된 먹고사니즘이 도처에 보입니다

그런데 말이죠
먹고사니즘은 구태에 전근대적이지만 사회적인 공감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변주된 먹고사니즘은 공감대보다는 본인 입장이 중요한듯 합니다
내게 중요한 것을 위해 타인의 가치를 훼손해도 괜찮단 것으로 비추어 보입니다

아마도 먹고사니즘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사회통합도 극단주의 해결도 요원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미국 큰형님을 보면
우리도 안될거야 아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di Woon
25/01/21 02:31
수정 아이콘
공산주의가 발현한 근간도, 파시즘이 부상한 배경도 경제적 문제가 깔려 있었죠.
생활이 어렵고 미래가 암울해지고 희망이 보이지 않으니 점점 극단적 사상에 빠져들게 되는거죠.
사회가 각박해지니 남을 챙길 여유도 사라지는거구요.
25/01/21 04:51
수정 아이콘
경제의 문제에 있어서는 자본주의 시장논리를 지지하는 사람이지만 파시즘을 혐오하는 사람으로서 양극화가 초래하는 부작용은 분명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단기간에 엄청난 성장을 이루고 이제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나라는 그 성장을 경험 한 세대가 버젓이 아직 몇십년동안은 살아있을거고 그때의 잣대로 서로를 비교하는 환경인데 자연스레 극단적 정치적인 구호에 휘말리는 상황이 더 심화되면 심화됐지, 더 나아질 것 같지가 않습니다. 그 와중에 나름 합리적으로 접근하려는 사람은 양쪽 진영의 외면을 받습니다. 쉽지 않아보이네요.
계층방정
25/01/21 07:32
수정 아이콘
내 정체성이 민주주의보다 소중하다는 거죠.
다람쥐룰루
25/01/21 07:41
수정 아이콘
파시즘의 기초에는 내가 먹고살기 위해 저놈(유대인일수도 장애인일수도 종북좌파일수도 있죠)들을 사회에서 제거해야한다는 위기의식을 자극하는 대중선동이 필요했습니다.
모링가
25/01/21 10:5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번에 꼭 사형을 집행해야 합니다
안되는건 안된다고 선례를 남길 필요가 있어요
25/01/21 12:32
수정 아이콘
정치가 종교화되고 있는 걸 보면 먹고사니즘이 약해진 것 아닐까요?
추운데 법원을 공격하는 건 먹고사니즘에 반하는 일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68 [정치]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모두 반영된 첫 갤럽 조사가 떴습니다. [370] 전기쥐9928 25/10/24 9928 0
105267 [일반] 인본주의와 개고기 [8] likepa2060 25/10/24 2060 15
105266 [정치] 재건축업계의 슈퍼스타(?)가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네요. [48] petrus5802 25/10/24 5802 0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8977 25/10/23 8977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4] 마라떡보끼13468 25/10/23 13468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3] 신정상화12498 25/10/22 12498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4850 25/10/22 4850 5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10162 25/10/22 10162 29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14] 신정상화8358 25/10/22 8358 2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81] 신정상화10525 25/10/22 10525 7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424] petrus15764 25/10/22 15764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62] 빼사스14900 25/10/21 14900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5501 25/10/21 5501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5] 바람돌돌이7365 25/10/21 7365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4971 25/10/21 4971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3] 철판닭갈비12806 25/10/21 12806 11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9] 빼사스13570 25/10/21 13570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6591 25/10/21 6591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8] 문재인대통령14664 25/10/21 14664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2] 베라히10648 25/10/20 10648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30] 깃털달린뱀5192 25/10/20 5192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3398 25/10/20 3398 26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5580 25/10/20 5580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