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1/18 23:35:0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730176808
Subject [일반] <리얼 페인> - What is Left Afterwards.(약스포)
'What's Left?'라는 질문은, 어떤 사건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때때로는 어떤 사건에 대한 여파일 수도 있고, 혹은 지나가버린 이후에 말 그대로 남겨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혹은, 물음표를 마침표로 바꾼다면, 또 다른 의미의 다른 말이 되어버리겠죠.

저는 <리얼 페인>을 보면서 저 문장이 가장 먼저 떠올랐어요. 할머니의 죽음과 그리고 남겨진 여파들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또 무엇을 남길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니까, 맨 처음 서두에 둔 문장에 대해서, 물음표와 마침표를 동시에 품고 있는 영화 같다고 해야할까요.

영화는 두 유대인계 사촌이 할머니가 떠나온 폴란드에서 홀로코스트 투어를 떠나는 여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의 시작과 끝이 공항이라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있는 것 같아요. 제시 아이젠버그의 데이비드가 말 그대로 '잠시' 떠나온 사람이라면, 키에런 컬킨의 벤지는 남겨진 사람입니다. 그렇기에, 영화는 집에서 공항까지의 데이비드의 여정은 보여줄 수 있지만, 반대로 벤지의 시작 지점은 그리지 않는 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찌보면, 영화는 따뜻하고 잔잔하면서도 그 시선이 유지되는 영화인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결국은 어느 시점에서, 두 인물은 상황과 성향의 차이가 드러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그 엇갈림의 시작에서 영화가 끝나는 느낌이 들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영화는 여행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만, 묘한 비감이 들기도 합니다. 모르겠습니다. 영화가 담고 있는 폴란드와 홀로코스트라는 소재 때문일지도, 혹은 영화 내내 흐르는 쇼팽의 피아노 곡 때문일지도요.

그 기묘한 비감에 대해서 저는 가장 먼저 떠올랐던 건, <드라이브 마이 카> 였습니다. 어떤 측면에서는 <드라이브 마이 카>의 상처가 아무는 이야기를 빼고, 미국식 힙스터 이야기를 가미한 영화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딱, 뺀 만큼, 영화가 짧기도 하구요.)

동시에, 영화는 기억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여기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기 위해 남겨놓는 것이기도 하고, 혹은 지나간 무엇인가가 남겨놓은 것들이 기억하게 만드는 것이기도 하구요. 때때로 어떤 것을 남겨놓으려고 하지만, 마지막 여정의 장소에서 처럼 남기기 어려운 무엇이 되기도 합니다.

벤지라는 인물은 일정 부분의 클리셰가 있는 인물이긴 합니다. 어느 정도는 주인공이지만 기능적이기도 하구요. 하지만, 키에런 컬킨의 연기가 되게 좋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제가 가지고 있는 슬픔과 인물이 가지고 있는 (혹은 배우가 표현해내는) 슬픔이 약간은 공명했기 때문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해요.

솔직히 말하자면, 영화를 보는 동안, 약간의 웃음과 약간의 눈물이 났습니다. 이해나 공감의 차원이 아닌, 조금은 다른 이유라고 생각이 들어요. 실은 이 영화를 볼까 말까 하는 동안, 어느 분이 <퍼펙트 데이즈>의 마지막 장면을 이야기한 글을 잠깐 봤거든요. 그리고 그 영화의 결말과 이 영화의 결말이 비슷한 감상이라고 하는 글을 보고서 이 영화를 봤습니다. 이 영화의 결말은 담담한 벤지의 얼굴로 끝나지만, 그 얼굴을 보는 제 감정이 '웃으면서 울게 되는' <퍼펙트 데이즈>의 결말과 비슷했기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21 15:49
수정 아이콘
괜찮은 영화인데 벌써 극장에서 내리는 것 같아서 아쉬운 기분이 조금 들어요. 사람들이 이런 영화에 무관심한 게 결국은 타인의 삶에 무관심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과장된 생각이겠지만요. 연휴라 개봉하는 영화도 많고요.

괴짜가 많아서 공항이 좋다는 말 유머스럽게 표현하지만 곱씹어보면 안쓰러운 마음도 들었네요. 퍼펙트데이즈는 생각 안 해봤는데 비슷하군요 확실히.

저는 조금 먼저 개봉한 쇼잉업의 션이라는 인물이 벤지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클리셰이기도 하죠. 이 영화는 좀 졸릴 수도 있는데 마찬가지로 결말이 좋고 특히 새해에 보기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aDayInTheLife
25/01/21 15:59
수정 아이콘
공항이라는 공간을 참 좋아하는데, 그곳이 목적지인 경우는 잘 생각해보면 없죠. 항상 어딘가를 가기 위한 중도지점일 뿐이지.
웃다가, 울게되고.
울다가, 웃게되는 그런 영화 같습니다.
쇼잉 업이란 영화도 살펴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692 [일반] 자유게시판 운영 개선 및 사과의 말씀 [616] 오호22484 25/02/04 22484 21
103691 [일반] 오요안나 기상캐스터의 가슴아픈 사망사건 [210] 부모님좀그만찾아15321 25/02/06 15321 39
103690 [일반] [역사] 재즈의 역사는 즉흥성과 대중성의 정반합 [12] Fig.13956 25/02/06 3956 13
103689 [일반] 진짜로 국장을 탈출해버린 투자자들 [155] 깃털달린뱀16918 25/02/06 16918 12
103688 [일반] 일론 머스크 미국 연방 정부의 돈줄을 쥐어버리다, 전격해체 [55] 마그데부르크11432 25/02/06 11432 3
103687 [정치] 황교안, 尹 변호인단 합류…형사 재판에 선임계 제출 [37] 철판닭갈비8730 25/02/06 8730 0
103686 [일반] 트럼프, '성전환자의 여성 스포츠 출전금지' 행정명령 서명(종합) [87] 마그데부르크8776 25/02/06 8776 15
103685 [일반] 사는 이야기 [32] Grundia5660 25/02/05 5660 14
103684 [정치] 외교, 산자부 (+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 [25] 다크서클팬더9565 25/02/05 9565 0
103683 [정치] 동덕여대 관련해서 이준석과 고민정이 논쟁중이네요 [363] 눕이애오21790 25/02/05 21790 0
103682 [일반] 보고서 쓰는 인력은 필요 없어질까요? - 서울 부동산에 대한 AI의 보고서 [59] Quantumwk9604 25/02/05 9604 0
103681 [정치]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법원이 받아들이면 재판 중단 [169] 철판닭갈비13567 25/02/05 13567 0
103680 [일반] 아내 이야기 11 [29] 소이밀크러버4701 25/02/05 4701 45
103679 [일반] [번역] 신앙을 찾고 계신가요? 종교 선택을 위한 안내서 (NYT기사 번역) [28] Taima5232 25/02/05 5232 1
103678 [정치] 어제, 헌법재판소 5차 변론, 윤석열과 홍장원 등 [40] 빼사스10273 25/02/05 10273 0
103677 [일반]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점령해 소유할 것" [199] 전기쥐13074 25/02/05 13074 6
103676 [일반] 출근길에 황당한 자동차 사고?가 났습니다 [31] 김삼관7164 25/02/05 7164 2
103675 [정치] '중국인 해커 99명' 가짜뉴스 원조는 부정선거론자가 쓴 소설 [43] 코로나시즌12034 25/02/04 12034 0
103674 수정잠금 댓글잠금 [정치] 안철수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의 만남 [82] 호옹이 나오9053 25/02/04 9053 0
103673 [일반] 이제 와서 '초' 뒷북치는 2023년 애니 이야기 [34] 이르6561 25/02/04 6561 7
103672 [정치] "2030 남성은 왜 민주당에 등 돌리나" 글을 읽고서 [73] 스폰지뚱13809 25/02/04 13809 0
103671 [일반] 자유게시판 금지어 업데이트 좀 해주세요 [391] 통합규정18050 25/02/04 18050 67
103670 [일반] 대규모 언어 모델 활용과 경험적 연구의 미래 [30] 여왕의심복7671 25/02/04 7671 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