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27 17:24:36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File #1 yegum.jpg (93.8 KB), Download : 1257
Subject [정치] 예금자 보호 한도가 1억원으로 오릅니다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288099?sid=100
[속보] '예금자 보호 한도 1억원 상향' 예금자보호법, 국회 본회의 통과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2001년에 정해진 5천만원 한도가 지난달 중순에 여야합의로 1억원 상향 개정안이 나온 후 후 오늘 본회의에서 통과되었습니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내년에 1억원으로 상향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작년에 한도 상향은 실익이 없다고 의견을 낸바 있는데 예금자 98%가 5천만원 미만 예금이기 때문이고 보장관련 비용만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31008033900002?input=1195m , https://www.moneys.co.kr/article/2023032209481641453 ) 하지만 한도상향 수요는 계속 있어왔고 정치계가 이를 받아들인 모습입니다.

인플레나 경제수준 생각하면 당연히 늘어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뭐 보호 한도가 두배가 된다고 제 예금이 두배되는 건 아니긴해도
그래도... 혹시 로또 당첨되면 어떻게 쪼개서 예금할까 하는 걱정은 절반으로 줄어들어서 좋네여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토리북
24/12/27 17:28
수정 아이콘
"예금자 98%가 5천만원 미만 예금이기 때문"
물론 1억원 개정안이 통과는 됐지만 기존 금융위원회의 발언이 잘 이해가 안 되는데...
5천만원만 보장해 주니까 5천만원 미만으로 분산 예금하는 거 아닌가요? 무슨 말인지 읽어도 잘 모르겠네요.
나른한우주인
24/12/27 17:31
수정 아이콘
1억 예금하는 사람이 없으니 할 필요 없다는 말인데, 말씀하신 것 처럼 예금자보호법 때문에 저렇게 넣는거죠.
뒹굴뒹굴
24/12/27 17:33
수정 아이콘
금융위원회는 상당히 생각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모습이네요.
귀찮아도 성실하게 5천단위로 나눠서 예치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로드바이크
24/12/27 17:49
수정 아이콘
똑똑한 사람들이 가는 곳으로 알고 있는데... 닭과 비슷한 뇌구조를 가지고 있나보네요.
마르키아르
24/12/27 18:04
수정 아이콘
그정도도 생각 못할 사람들일리가요...크크..

오히려 아니라는거 누구보다 알지만,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반대하기 위해..

이렇게 선동하면 잘 먹히지 않을까? 하면서 내놓은 애기겠죠... --;;
24/12/27 20:05
수정 아이콘
이유를 만들어야하면 저런 말도 안되는 이유를 붙일줄 아는 능력이 있어야하는 자리들입니다
마일스데이비스
24/12/27 23:24
수정 아이콘
좀 더 생각해보시면 "저것들이 과연 정말로 멍청해서 저런 멍청한 소리를 할까?" 하는 의문이 생기실 겁니다
24/12/27 18:05
수정 아이콘
막상 어르신들 예금하시는 거 보면 이자까지 계산해서 4천7백~8백 열심히 쪼개서 하시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12/27 17:34
수정 아이콘
네 맞아여
https://www.moneys.co.kr/article/2023032209481641453
저도 금융위의 의견은 선후 관계가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당
HA클러스터
24/12/27 17:30
수정 아이콘
이제야 일본의 20년전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왔네요
24/12/27 17:31
수정 아이콘
PF 숨통 좀 풀리려나요...
아서스
24/12/27 17:33
수정 아이콘
필요했다고 봅니다.

너무 오랫동안 5천만원이었어요.
쵸젠뇽밍
24/12/27 17:37
수정 아이콘
와. 관심이 없어서 몰랐는데, 아직도 5천이었군요. IMF 즈음 5천이었다는 걸 기억하고 있었는데.
24/12/27 17:39
수정 아이콘
국민은행 기준 올해까지 예금이자가 3.2%고 .. 내년되면 2.x로 떨어진다고 하더라구요
보호한도만 늘면 뭐하나 싶네요.
Dr. Boom
24/12/27 17:40
수정 아이콘
현재기준 원화예금은 그냥 은행에 돈 버리는 수준
사랑하는 오늘
24/12/27 17:42
수정 아이콘
예금자보호 한도가 증가하면 보험료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죠. 그러면 그게 비용으로 녹아서 예금 금리가 낮아지거나 대출금리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니 반대가 있었습니다. 물론 인플레 생각하면 1억으로 올릴 시기가 되긴 했습니다.
FlutterUser
24/12/27 17:44
수정 아이콘
그냥 정책만 보면 좋아진건데.. 이시국을 생각해보니 뭔가 느낌이 쎄하네요
스터너
24/12/27 17:47
수정 아이콘
인플레같은건 5년주기, 못해도 10년주기 손을 좀 확정적으로 봐줬으면 해요.
예금자보호한도 말고도 시대에 안맞는거 너무 많아요.
24/12/27 18:06
수정 아이콘
뭐 최저임금에 연동하는게 인플레도 녹이고 편할거 같은데...
24/12/27 17:52
수정 아이콘
거부권은 안쓸테고
실제 적용은 언제부터일까요?
기술적트레이더
24/12/27 18:25
수정 아이콘
연금계좌 한도 좀 ㅜㅜ
당근케익
24/12/27 18:55
수정 아이콘
드디어
왜 그동안 고작 5천인가 싶었는데
TWICE NC
24/12/27 19:00
수정 아이콘
설마 이것도 거부권 쓰진 않겠지?
닉네임을바꾸다
24/12/27 19: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마 무쟁점 법안으로 후루룩 간건 거부 안하긴 했죠...크크 근데 보아하니 야당 단독통과라...거부할수도?
시행시기는 대통령령으로 1년내에서 정하게 되어있어서 당장 시행은 안되는거긴 한데...
이쥴레이
24/12/27 19:09
수정 아이콘
금리가 너무 떨어지는지라 세금 절세 방향으로 연금저축으로 노선 타던지 해야될듯합니다.
Chaosmos
24/12/27 20:56
수정 아이콘
물론 1억이상은 아니지만 우체국예금 애용합니다.
우체국은 전액 보장이 되서요.
24/12/27 21:08
수정 아이콘
제2금융권 입장에선 조금이나마 호재일지도
터치터치
24/12/27 21:38
수정 아이콘
시행일이 공포뒤 1년으로 하면 사실상 내후년 이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4/12/27 22:51
수정 아이콘
1년 뒤라기보단 1년 이내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거긴 한데...빨리 할려면 할 수 있는거일수...?
거부권을 안쓴다면 말이죠...
24/12/28 08:44
수정 아이콘
지금 논리면 거부권 써야죠. 
치킨너겟은사랑
24/12/29 08:35
수정 아이콘
이 와중에 국힘은 표결에 참석도 안했는데 통과시켰다고 홍보하고 있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530 [정치] 윤석열, 조국과 같은 서울구치소 구금 [93] 어강됴리15345 25/01/15 15345 0
103528 [일반] 위고비 초기 후기 [81] Lord Be Goja13429 25/01/15 13429 13
103527 [정치] 페이스북에 업로드 된 윤 대통령의 <국민께 드리는 글> [184] EnergyFlow13806 25/01/15 13806 0
103526 [정치] 이재명 지지자분들께 궁금해서 여쭤볼게 있습니다 [394] 허스키21133 25/01/15 21133 0
103525 [정치] 윤 대통령 1월 15일 발표 전문 "이 나라에는 법이 모두 무너졌다" [206] EnergyFlow24066 25/01/15 24066 0
103524 [일반] 펌) 누나가 죽었다. [66] 전기쥐11693 25/01/15 11693 101
103523 [정치] 윤석열 수색영장 [37] 그10번10500 25/01/15 10500 0
103522 [정치] MBC 경남 다큐 엄마의 말뚝 - 국가는 가족들을 투사로 만든다 [6] 카린5918 25/01/15 5918 0
103521 [정치] 현재 관저에서 윤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 중입니다. (10시 33분에 집행 완료) [206] k`22517 25/01/15 22517 0
103519 [정치] [특집방송] 명태균 카톡 담은 '검찰 수사보고서' 전면 공개 [47] TAEYEON13673 25/01/14 13673 0
103518 [정치] [단독] 홍범도 장군 흉상 '육사 현 위치 존치' 유력 검토 [37] 유머9117 25/01/14 9117 0
103517 [정치] 윤석열 체포작전 2트, 이르면 내일 새벽 [77] 어강됴리13583 25/01/14 13583 0
103516 [일반] 천상 문돌이가 보는 비트코인 단상 [43] 깃털달린뱀7909 25/01/14 7909 3
103515 [일반] [웹소설추천]디펜스게임의 폭군이 되었다. [19] 12있는5850 25/01/14 5850 1
103514 [정치] K-패스 다자녀 혜택 신설. 2자녀 30%, 3자녀 50% 환급 [28] 매번같은8835 25/01/14 8835 0
103513 [일반] [설문] 미국의 팽창주의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요 [76] 슈테판5000 25/01/14 5000 0
103512 [정치] 김용현, 매월 500만원 군인연금 받는다…퇴직금도 신청(종합) [36] Leeka8002 25/01/14 8002 0
103511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7. 깎을 예(乂)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3080 25/01/14 3080 4
103509 [일반] AGI시대에 대한 전망 [24] 퀀텀리프6679 25/01/13 6679 9
103508 [일반] CGV. 일부 스크린X 상영관 축소 [25] SAS Tony Parker 6541 25/01/13 6541 0
103507 [정치] [속보] 군검찰, 박정훈 대령 무죄 판결에 불복…항소장 제출 [35] Dango11276 25/01/13 11276 0
103505 [정치] 오늘 윤석열, 공수처, 경찰 발언 이모저모 [46] 빼사스12073 25/01/13 12073 0
103504 [정치] 우리나라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던 정책 [62] 로켓11106 25/01/13 111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