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13 16:13:08
Name 헝그르르
Subject [일반] 영화 '디태치먼트' 후기

2011년작이구요.
우리나라는 2014 개봉이었네요.
전에도 한번 봤던 영화인데 유튜브 쇼츠에 나와 다시 한번 보게 되었네요.

영화제목처럼 '소외'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스토리보다는 주제의식이 강한 영화이구요.
개개인이 상처받고 상처주며 분리되었음을 표현하는 영화입니다.

무엇보다 좋았던건 편집이었고 재능이 다르다고 느꼈습니다.
주인공인 에이드리언 브로디의 연기야 말할것도 없구요.
조연인 사미 게일도 한없이 무거워질 수 있는 영화를 외모 원툴로 건져냈어요.
주제의식, 편집, 주인공, 조연이 너무 훌륭합니다.

그외의 주제의식을 보여주려는 여러 조연들의 스토리가 미완의 느낌인건 아쉬웠습니다.

너무 좋게 보았던 영화인데 지금에야 다시 볼 수 있었던건 그 무거움 때문이었을까요?
저에겐 너무도 명작이라 강추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3 19:35
수정 아이콘
저도 보고싶은 영화인데 어디서 볼 수 있나요?
헝그르르
24/12/13 20:47
수정 아이콘
와챠나 티빙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24/12/13 20:04
수정 아이콘
영화에 미쳐있었을 때라 상영 당시 메가박스 심야로 봤던 기억이 나네요 크
헝그르르
24/12/13 20:48
수정 아이콘
영화관에서 못본게 너무 아쉬워요..
행복을 찾아서
24/12/13 21:35
수정 아이콘
이 영화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입니다. 애드리언 브로디의 연기도 진짜 좋고.
저는 그냥 상처를 상처로 표현하는 모습들이 좋았습니다. 어설프게 상처를 봉합하고 우리 함께 나아가자 우리 행복하게 살아요라는 모습을 보여주기 보다는 꺼끌꺼끌하고 잔인한 현실을 건조하게 보여주는 모습들이 더 인상깊었습니다.
그렇다고 다 보고 기분이 거지같아지는 영화는 아니고 그냥 안타깝고 애닳고 그러면서도 마음이 낮게 가라앉은 그런 영화라고 느꼈습니다.
마지막 장면은 이런 느낌과는 다르게 따뜻하게 채워지는데 전체의 흐름과 다른 느낌이지만 그 나름의 따뜻함이 매우 보기 좋고 의외로 카타르시스까지 느껴집니다.
제게는 참 좋은 영화입니다.
헝그르르
24/12/13 22:08
수정 아이콘
주인공이 지금의 단절은 영원한게 아니란걸 학생에게 전달하려 여러번 노력했었죠. 마지막 장면에서 감독이 관객들에게 명확히 보여주었죠.
단절은 영원한건 아니라고..
파프리카
24/12/13 21:43
수정 아이콘
대학교 때 인상깊게 봤던 영화네요. 영화에서 그려진 미국 공교육이 상당히 충격적이어서 장면 장면이 기억에 많이 남는 작품입니다. (스토리는 결국 이게 뭔가 싶었는데 주제의식에 집중했다는 말씀을 읽으니 이해가 갑니다)

본문을 읽고 주인공이 첫 수업 때 문제학생들을 다루는 영상을 찾아서 다시 봤습니다. 십년 전보다 더 와닿고 대사 하나하나가 곱씹을게 많아지네요. 좋은 소개글 감사합니다. 올해가 가기 전에 영화 전체를 다시 한 번 감상해 봐야겠습니다.
헝그르르
24/12/13 22:10
수정 아이콘
대사가 시적이예요.
주인공은 그 시적 대사를 충분히 소화해 주었구요.
무겁지만 아름다운 영화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278 [일반] [2024년 결산] 내년은 올해보다 나은 해가 되기를 [3] 글곰3918 24/12/23 3918 6
103277 [정치] 구미시 콘서트 취소 통보에 따른 이승환 옹 입장문 [83] 제논15066 24/12/23 15066 0
103276 [정치] 탄핵이 기각될경우 정국이 어떻게 흘러갈까요? [96] 키르히아이스11051 24/12/23 11051 0
103275 [정치] 한덕수 권한대행, 특검법 공포 사실상 거부 [123] 계층방정17919 24/12/23 17919 0
103274 [정치] 노상원 수첩에서 북한 공격 유도 문구 발견 [40] 감모여재9699 24/12/23 9699 0
103273 [일반] [일반] [2024년 결산] 24년도 새로 본 만화책 결산 [14] Kaestro5590 24/12/23 5590 6
103272 [일반] 포항 아파트 화재 기부 사건 엔딩 [101] 마르코12734 24/12/23 12734 12
103271 [정치] 계엄 성공후 통일한국을 만들었다면? [98] 헝그르르9238 24/12/23 9238 0
103270 [일반] [2024년 결산]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전문위원 활동기 [24] 성야무인7642 24/12/22 7642 36
103269 [정치] 사전선거운동 금지에 걸린 '이재명은 안돼', 선관위에서 판단 보류 [72] 계층방정16049 24/12/22 16049 0
103268 [정치] 미래 한국에서 누가 할 수 있을까요? [106] 헤이주드15168 24/12/22 15168 0
103267 [일반] 무파사: 라이온 킹 짧은 후기(스포) [11] 하이퍼나이프7638 24/12/22 7638 2
103266 [일반] 한국 축구와 한국 교육 그리고 AI [28] 번개맞은씨앗7518 24/12/22 7518 0
103264 [정치] 나는 왜 음모론에 귀가 팔랑일까 - 이해하고 싶어서 [57] 네?!7631 24/12/22 7631 0
103263 [정치] 오늘 시위 참가한 깃발들 모음 [60] 빼사스13238 24/12/21 13238 0
103262 [일반] [만화] 이번에 리디 마크 다운으로 질렀던 만화책들 감상 [23] Cand6955 24/12/21 6955 6
103260 [정치] 심판한다는 착각, 뽑는다는 착각 (기계적 환국론에 대한 비판) [110] 린버크12563 24/12/21 12563 0
103259 [정치] 개혁신당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174] 헤이주드15627 24/12/21 15627 0
103258 [정치] 김상욱 의원의 정치 활동을 응원합니다. [102] 강동원10738 24/12/21 10738 0
103257 [일반] [2024년 결산] 철저하게 개인적인 2024년 되돌아보기. [10] aDayInTheLife6488 24/12/21 6488 8
103256 [정치] "한덕수 위법 상태"...내란특검 추천, 일주일째 뭉개기 [111] Crochen18745 24/12/20 18745 0
103255 [정치] 선관위의 과장급 및 실무자 30여 명(명단 존재)을 무력으로 제압해 B1 벙커로 납치하라고 지시 [65] 14989 24/12/20 14989 0
103254 [정치] 의장대 노은결 소령 폭로 정리 [61] 빼사스17070 24/12/20 170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