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13 09:32:32
Name Dango
File #1 IMG_1118.jpeg (585.5 KB), Download : 208
File #2 IMG_1143.jpeg (544.7 KB), Download : 242
Link #1 https://www.youtube.com/live/UlgAbwtYcEI?si=aXLTHawjTjoAsfVY
Subject [정치] 한강과 윤석열 (수정됨)




*짤 출처 :  Link #1 및 본문내 링크영상

[한강 노벨문학상] vs ]윤석열 비상계엄

1980년 5월 광주, < 소년이 온다 >
2024년 12월서울, 윤석열의 내란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비상계엄 이후,
미치광이 내란수괴 윤석열의 후안무치한 태도
부역자들이 고개를 빳빳이 들고 내뱉는 헛소리
내란수괴를 돕는 법꾸라지들의 교묘한 수작질

이렇듯 참담한 현실이지만,
한강 작가님 관련 내용으로 
조금이나마 위로 받으셨으면 해서 가져와 봤습니다.


——————————
[1] 소년이 온다

인간은 어떻게 이토록 폭력적인가?
동시에 인간은 어떻게 그토록 압도적인 폭력의 반대편에 설 수 있는가?

5.18을 알게 될수록 인간성에 대한 믿음이 부서져 소설을 그만두려고 했을 때,
한강작가를 일으킨 건 도청 옆 YWCA에 남아 있다 살해되었던 故박용준 열사의 일기였습니다.

“하느님, 왜 저에게는 양심이 있어서
이렇게 저를 찌르고 아프게 하는 것입니까.
저는 살고 싶습니다.“
.
.


시간과 공간을 건너 되돌아오는 광주 (2024.12.09)

https://youtu.be/1ResNExZaS0?si=Dhmt9610VXjenay4


과거가 현재를 돕고 있는 이 순간
80년 광주, 그날의 ‘양심’이 시공간를 넘어와서
12월 14일 국회에 닿기를 기원합니다.



[2] 헬렌 마트손  (노벨문학상위원회 위원, 스웨덴 한림원 종신위원)


“어쩌면 그들은 자신이 보고 목격하는 것으로 인해 좌절하기도 하고


그럴 때는 매번 마음의 평화가 무너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필요한 힘을 가지고 계속 전진합니다.

잊어버리는 것이 결코 목표가 아닙니다.

한강의 작품 세계에서 사람들은 상처받고 취약하고, 어떤 면에서는 약하지만,

그래도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3] 한강 노벨상 수상소감 (2024년 12월 10일)





“문학은 생명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

“폭력에 반대하며 이 자리에 선 여러분과 함께, 문학에 주는 이 상의 의미를 나누고 싶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웬리
24/12/13 09:44
수정 아이콘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이 시점의 계엄 상황이 기묘하게 겹친 것은 한국 현대사와 현 정치지형을 뒤돌아보게 하는 상징적 장면으로 남을 것이다. 한강 작가의 대표작 중 하나인 『소년이 온다』는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의 폭력과 그 희생자들의 아픔을 조명함으로써, 국가폭력 하에 짓밟힌 인간 존엄성을 고발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독자들에게 계엄이란 단순히 정치적 수사나 위기관리 수단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참혹한 희생을 낳는 제도적 폭력임을 생생히 전달해왔다.

그런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 공교롭게도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이유로 내건 새로운 형태의 계엄령이 발동된 시점과 맞물렸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시사적이다. 민주주의는 단순히 제도와 절차로 보장되는 것이 아닌, 국민 개개인의 삶 속에 뿌리내린 인권과 자유, 그리고 이를 보장하는 제도의 복합체이다. 한강의 수상이 축하와 기쁨,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이 나라가 겪고 있는 정치적 긴장 상황과 대비될 때, 우리의 민주주의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광주를 다룬 문학이 전 세계적인 문학상을 받는 이 순간, 한국의 정치권력 한복판에서는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계엄령이라는 초강경 조치가 다시금 등장했다. 물론 시대와 맥락은 달라졌고, 대통령과 정부 역시 계엄의 목적을 ‘헌정 질서 회복’이라 주장하지만, 선례가 남긴 상흔과 기억은 단순히 비유나 우연을 넘어 우리에게 또 한 번의 경종을 울린다. 계엄은 정당화를 통해 자신을 포장할 수 있을지 모르나, 역사와 문학은 그 장막 이면에 무엇이 도사리고 있는지 낱낱이 기록한다.

한강 작가의 수상은 우리가 인류의 양심과 보편적 가치를 지켜온 문학의 힘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이 시점의 계엄 상황은 그 문학의 역사적 의미를 더욱 선명히 부각시킨다. 문학이 계엄 상황의 피해자를 호명하고, 그들 목소리를 세상에 되살려놓는다면, 민주공화국의 현실 정치인들은 그 역사적 상처가 오늘날에도 유효한가, 그 아픔을 반복하지 않을 안전장치는 무엇인가, 진정한 헌정 질서 회복을 위한 길은 어디인가를 곱씹어야 한다. 한강의 수상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명료하다. 국가 권력 앞에 희생되는 개개인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민주주의의 길이라는 사실 말이다.

chatgpt에 논평을 요청해보았습니다.
24/12/13 10:46
수정 아이콘
chatgpt야 칭찬해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인간의 잔혹성과 존엄함이 극한의 형태로 동시에 존재했던 시공간을 광주라고 부를 때, 광주는 더이상 한 도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가 된다는 것을 나는 이 책을 쓰는 동안 알게 되었다. 시간과 공간을 건너 계속해서 우리에게 되돌아오는 현재형이라는 것을. 바로 지금 이 순간에도.
살려야한다
24/12/13 09:47
수정 아이콘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더 드라마틱하게 만들어주려는 큰 뜻?
하이퍼나이프
24/12/13 09:49
수정 아이콘
나라의 영광이자 나라의 망신...
요망한피망
24/12/13 09:53
수정 아이콘
빛과 어둠
달달한고양이
24/12/13 10:03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시나리오라고 해도 억지전개에 개연성 없다고 까일 듯요…
데몬헌터
24/12/13 10:12
수정 아이콘
디즈니: 아니 고작 이런이유로 계엄령 선포하는게 말이 되는 전개라 생각하세요? 작가공부 다시하세요.
리안드리
24/12/13 11:31
수정 아이콘
데우스 엑스 마키나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406 [정치] 尹 "공수처 체포영장 있을 수 없는 일…사법 체계 무너진다" [36] 다크서클팬더10945 25/01/03 10945 0
103405 [정치] “국민볼 때 장난같은 계엄·고립된 약자”…尹측 탄핵 심판서 하소연 [55] _L-MSG_9746 25/01/03 9746 0
103404 [정치] 탄핵소추위원 측 “탄핵사유 중 '내란죄' 부분 철회” 결정 [100] EnergyFlow17408 25/01/03 17408 0
103403 [정치] 윤석열 체포를 포기한 공조수사본부 [366] 매번같은26545 25/01/03 26545 0
103402 [정치] K-패스가 너프먹었습니다. [19] BitSae10000 25/01/03 10000 0
103401 [일반] 섀넌의 척수 : 정보이론과 인공지능 [7] 번개맞은씨앗3478 25/01/03 3478 2
103400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4. 재주 예(埶)에서 파생된 한자들 [4] 계층방정2386 25/01/03 2386 2
103399 [정치] 국힘 소장파 김용태도? “계엄 배경된 선관위 의혹 공개 논의해야” [70] 카린7860 25/01/03 7860 0
103397 [정치] 김흥국 "윤석열 지키기, 힘내서 뭉치자" [96] 어강됴리15391 25/01/02 15391 0
103396 [정치] 국힘 김민전 “가는 곳마다 중국인들이 탄핵 찬성…이게 본질” [67] Nerion13308 25/01/02 13308 0
103395 [일반] 무기력과 무감각했던 휴일의 개인적 단상. [6] aDayInTheLife4391 25/01/02 4391 11
103394 [정치] 우리나라 정치가 덜 극단적으로 변할수 있을까요? [56] 김은동7566 25/01/02 7566 0
103393 [일반] 용산역사박물관의 "접속, 용산전자상가" 특별전을 보고 왔습니다. [14] 及時雨4785 25/01/02 4785 4
103392 [일반] 새해 첫날 새옷을 입어본 결과 [24] LA이글스4748 25/01/02 4748 2
103391 [정치] 與 법사위원들 “尹 체포 영장, 삼권분립에 위배 원천 무효” [52] 철판닭갈비11103 25/01/02 11103 0
103390 [정치] 국회 소추인단, 편지 헌재에 제출하기로(수정) [18] 빅프리즈8182 25/01/02 8182 0
103389 [일반] 아니 시내 한복판에서 170을 밟으시면.. [47] Lord Be Goja9865 25/01/02 9865 7
103388 [일반] 재즈피아노를 1년 동안 / 하루 1시간씩 연습했을 때의 결과물 [15] 79년생5252 25/01/02 5252 7
103387 [일반] 오래만의 독서의 당혹스러움-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을 읽고 [5] ekejrhw346691 25/01/02 6691 5
103386 [정치]  현행범으로 체포하겠다 [78] 키르히아이스16233 25/01/02 16233 0
103385 [정치] 윤석열 "끝까지 싸울것", 지지자들에게 신년메시지 [148] 어강됴리16953 25/01/01 16953 0
103384 [일반] 해외 여행지에서 중국인 만났던 기억 [29] 럭키비키잖앙7517 25/01/01 7517 0
103383 [정치] 대한민국에서, OO할 권리 [15] 니드호그9013 25/01/01 90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