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2/03 07:51:09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107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5. 놀랄 녑(㚔)에서 파생된 한자들

앞에서 국문할 국(鞫)에서 파생된 한자들을 살펴보았다. 이 한자의 왼쪽은 가죽 혁(革)이지만, 원래는 입 구(口)와 다행 행(幸)이 이 합쳐져 목에 칼을 걸고 있는 사람을 나타냈다. 이 다행 행(幸)은 고대의 형구를 본뜬 한자인 놀랄 녑(㚔)이 와전된 것이다. 鞫과 갑골문에서 비슷한 형태로 나오는 잡을 집(執)의 왼쪽에 있는 幸 역시 㚔이 와전된 것이다.

㚔은 현대에 전혀 쓰이지 않고,  원래는 㚔이 구성 요소로 들어가는 한자들도 執에서 보이듯이 㚔과 비슷하게 생긴 幸이 㚔을 대신해 쓰이고 있다. 소학당(小學堂) 사이트에서도 소전까지만 나올 뿐 예서가 없어 진·한대 이후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674a81f65cef7.png?imgSeq=39298

왼쪽부터 㚔의 갑골문 1, 2, 진(晉)계 문자, 소전. 출처: 小學堂

《설문해자》에서는 㚔을 큰 대(大)와 찌를 임(????)의 뜻을 합친 회의자로 풀이하지만, 갑골문에서는 그 형태로 나오지 않는다. 둥줘빈(董作賓)이 이 갑골문자를 수갑을 본딴 상형자로 해석한 이래, 㚔은 포로의 자유를 구속하는 형구를 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서 '잡다'란 뜻이 인신되어, 갑골문에서 㚔은 執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674a83ef7dbe8.png?imgSeq=39299

왼쪽부터 執의 갑골문, 금문, 진(晉)계 문자, 초계 문자, 소전, 예서 1, 2. 출처: 小學堂

㚔이 들어가는 執의 갑골문은 사람에게 수갑을 채워 손을 묶은 모습이 적나라하다. 그리고 執의 변화를 통해 수갑 모양이 㚔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수갑으로 손이 묶인 사람은 손이 묶인 형태만 남아 손으로 무엇을 쥐고 있는 쥘 극(丮)으로 바뀌었다. 예서 1까지도 이 모양이 남아 있었으나, 예서 2로 가면서 㚔은 幸으로, 丮은 丸으로 바뀌어 지금까지 이르렀다. 

《설문해자》에서는 비록 㚔의 원 뜻을 파악하지는 못했으나, 죄인을 수갑으로 묶어 사로잡아 간다는 執의 구성은 제대로 분석해냈으며, 또 㚔이 소리도 나타내는 회의 겸 형성자로 풀이했다.


㚔(놀랄 녑, 급수 외 한자)에서 파생된 한자는 다음과 같다.

㚔+丮(쥘 극)=執(잡을 집): 집중(執中), 고집(固執) 등. 어문회 준3급

執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執+土(흙 토)=墊(빠질 점): 각점(脚墊: 피부의 굳은살), 은점(隱墊: 밑의 물건이 위의 물건에 부딪혀 상함) 등. 어문회 특급

執+手(손 수)=摯(잡을 지): 간지(懇摯: 지성스럽고 참됨), 진지(眞摯) 등. 어문회 1급

執+糸(가는실 멱)=縶(말맬 칩): 유칩(幽縶: 붙잡혀 감옥에 갇힘) 등. 어문회 특급

執+虫(벌레 훼)=蟄(숨을 칩): 칩거(蟄居), 경칩(驚蟄) 등. 어문회 1급

執+衣(옷 의)=褺(겹옷 첩): 첩의(褺衣: 겹옷. 《부연일기》) 등. 인명용 한자

執+貝(조개 패)=贄(폐백 지): 지현(贄見: 선물을 들고 찾아뵘), 집지(執贄: 제자가 스승에게 처음 뵐 때 예폐로 경의를 보임) 등. 어문회 준특급

執+鳥(새 조)=鷙(맹금 지|의심할 질): 지용(鷙勇: 맹금과 같은 용기), 지조(鷙鳥: 맹금) 등. 인명용 한자

674ad6c6d4a0e.png?imgSeq=39323

㚔에서 파생된 한자들.

㚔이 직접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는 執뿐인데, 執이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는 여럿 있다.  ⿱口㚔이 직접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는 거의 없고 이에 人이 결합한 ⿱竹⿰幸人이 소리를 나타내는 용도로 주로 쓰인 국문할 국(鞫) 계통 한자들과 비슷하다. 수갑{㚔}이나 목에 찬 칼{⿱口㚔}만으로는 부족해서, 그것을 차고 있는 포로까지 같이 나타낸 한자들(執, ⿱竹⿰幸人}이 널리 쓰였다는 점에서 적나라함과 오싹함이 느껴진다.


執에서 파생된 한자들 중에서도 오래된 한자로는 摯가 있다.

674a9da2d4cb4.png?imgSeq=39301

왼쪽부터 摯의 갑골문, 소전, 예서. 출처: 小學堂

원래 摯는 執과 같은 한자로, 손에 수갑을 차고 있는 사람을 잡아가는 손의 모양인 또 우(又)를 더해 뜻을 더 강화한 글자였다. 나중에 又가 손 수(手)로 바뀌고 執의 아래로 내려가 지금의 형태가 됐으며, 음도 달라졌다. 이 한자가 들어가는 낱말은 적으나, 일상 생활에서 자주 나오는 '진지하다'의 진지가 이 摯를 쓰기 때문에 의외로 우리 곁에 가까이 있는 한자다.


贄는 예물로 드리는 물건이니 얼핏 보면 오래된 한자일 것 같으나, 《설문해자》에도 나오지 않아 한대의 예서에 비로소 출현한다.  고대 중국의 예식을 다루는《주례》에 여섯 가지 폐백이라 해 '육지'가 나오는데, 지를 贄가 아니라 摯로 쓴다. 그 문장은 다음과 같다.

“새로써 여섯 가지 폐백을 삼는데, 신하들의 등급에 따른다. 고는 가죽이나 비단을 잡고, 경은 염소를 잡고, 대부는 기러기를 잡고, 사는 꿩을 잡고, 서인은 집오리를 잡고, 공·상은 닭을 잡는다.”

고·경·대부·사·서인·공·상은 옛 중국의 신분을 나타내며, 이 신분에 따라 폐백의 등급이 정해진다. 그런데 이 폐백을 '잡는다'{執}라고 표현하고, 이에서 폐백을 지(摯)라고 표현했다. 이 지(摯)에서 손 수(手)가 재물을 나타내는 조개 패(貝)로 바뀐 것이 폐백 지(贄)다. 이렇게 바뀌는 과정으로 보아, 贄은 예물을 드리는 것이 마치 옛날 포로를 끌고 가서 희생 제물로 바치던 것과 같다고 생각해서 執을, 바치는 예물을 나타내는 貝를 구성 요소로 삼은 것 같다.


그 외에 갑골문에서 보이는 執이 들어가는 한자들도 있다.

674a9e78955da.png?imgSeq=39302

위는 執을 구성 요소로 하는 갑골문의 한자들. 아래는 위를 해서로 바꾼 것. 출처: 小學堂

摯가 執에 잡아가는 손을 더해 뜻을 강화했듯이, 가장 왼쪽의 한자도 執에 묶어놓는 실을 더해 뜻을 강화한 것으로, 이 한자도 갑골문에서는 執으로 해석되며, 어쩌면 구성 요소가 같은 현재의 縶의 조상일지도 모른다. 나머지 두 한자는 들어 있는 갑골문의 결손이 심해 애석하게도 무슨 뜻인지 알 수는 없다. 다만 갑골문에서 執을 구성 요소로 하는 한자들이 현대에 계승되지 못하고 사라지고, 대신 후세에 따로 執을 활용한 한자들이 만들어져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의 변화무쌍함을 느낀다.


執은 힘, 지배를 뜻하는 티베트어 ཆབ (chab), 잡다를 뜻하는 크메르어 ចាប់ (cap)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집다'와 소리가 유사한 것은 우연의 일치일 것이다.

縶은 포장하다를 뜻하는 원시중국티베트어 tip ~ tu(p/m)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누에 잠(蠶)도 같은 근원으로 보인다.


㚔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수갑에 손이 묶인 포로를 잡아가는 것에서 비롯해, 잡다는 뜻을 지닌다.

執(잡을 집)은 丮(쥘 극)이 뜻을 나타내고 㚔이 소리를 나타내며, 㚔의 뜻을 따 포로를 수갑으로 손을 묶어 잡아가는 것을 뜻한다.

摯(잡을 지)는 手(손 수)가 뜻을 나타내고 執이 소리를 나타내며, 執의 뜻을 따 손으로 잡는 것을 뜻한다.

縶(말맬 칩)은 糸(가는실 멱)이 뜻을 나타내고 執이 소리를 나타내며, 執의 뜻을 따 실로 잡아매는 것을 뜻한다.

贄(폐백 지)는 貝(조개 패)가 뜻을 나타내고 執이 소리를 나타내며, 執의 뜻을 따 포로를 잡아 바치듯 바치는 폐백을 뜻한다.

鷙(맹금 지)는 鳥(새 조)가 뜻을 나타내고 執이 소리를 나타내며, 執의 뜻을 따 짐승을 잡아가는 맹금을 뜻한다.


이상의 관계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674ad79a0dd70.png?imgSeq=39324

㚔에서 파생된 한자들의 의미 관계도.


요약

㚔(놀랄 녑)은 수갑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다.

㚔에서 執(잡을 집)이 파생되었고, 執에서 墊(빠질 점)·摯(잡을 지)·縶(말맬 칩)·蟄(숨을 칩)·褺(겹옷 첩)·贄(폐백 지)鷙(맹금 지|의심할 질)가 파생되었다.

㚔은 파생된 한자들에 포로를 수갑에 차 잡아가듯 잡는다는 뜻을 부여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닥터페인
24/12/03 09:22
수정 아이콘
꽉 붙잡는 느낌이 물씬 풍기는 글자들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如是我聞
24/12/03 09:49
수정 아이콘
놀랄 녑은 강인에게 뭘 씌워서 누르는 형상 같기도 하네요.

가르쳐주셔서 고맙습니다.
24/12/03 22:54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오늘 건 직관적이라서 이해가 잘 되는군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872 [정치] 與 지도부 만난 尹 "국가권력 동원해 종북좌파 잡을 테니 당 도와라" [125] 윤석열12031 24/12/05 12031 0
102871 [정치] 피가 모자라 -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5] 격렬하게쉬고싶다3528 24/12/05 3528 0
102870 [정치] 친위쿠데타와 108부역자 [35] Dango6362 24/12/05 6362 0
102869 [정치] [조선일보] 계엄령 선포 괴담이라고 비판한 것에 대해 민주당에 사과한다. [60] 철판닭갈비9016 24/12/05 9016 0
102868 [정치] 계엄 실패는 공군과 조율 실패 탓 - 원래는 11시까지 국회 점령 명령 하달 [93] 가라한11063 24/12/05 11063 0
102867 [정치] 계엄사, 비상계엄서 '필요한 인원 보내라' 요청…대법원 거부 [35] 물러나라Y7228 24/12/05 7228 0
102865 [정치] 국민의 힘, 민주당 규탄 집회 시작 [66] 법규8107 24/12/05 8107 0
102864 [일반] 경축 비트코인 100k 돌파 [36] 8figures5345 24/12/05 5345 2
102863 [일반] 비트코인이 100,000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8] 덴드로븀3957 24/12/05 3957 0
102862 [정치] 前계엄사령관 육군총장 "계엄 선포 대통령 발표 보고 알아" [48] 빼사스6193 24/12/05 6193 0
102861 [정치] 野, 尹탄핵안 7일 오후 7시께 표결 추진…"與의원들 결단 기대" [54] 물러나라Y5295 24/12/05 5295 0
102859 [정치] 윤석열의 말버릇 : 확 계엄해 버릴까? [27] 네야5913 24/12/05 5913 0
102858 [정치] 美 백악관 "한국 민주주의 강화에 계속 공개적 목소리 낼 것" [33] 철판닭갈비7369 24/12/05 7369 0
102857 [정치] '비상계엄' 선포 尹탄핵 찬성 73.6%·반대 24.0%[리얼미터] [117] Davi4ever10101 24/12/05 10101 0
102855 [정치] 계엄과 외교 참사 [58] 가라한7815 24/12/05 7815 0
102854 [정치] 추경호 "국민의힘 108명 의원 총의 모아 탄핵 부결시킬 것" [154] Davi4ever10065 24/12/05 10065 0
102853 [정치] 불타버린 잔도를 건널 수 없고, 밀린 청구서가 돌아왔습니다. [46] Judith Hopps7377 24/12/05 7377 0
102851 [일반] gpt야 놀자02) gpt에게 적색편이를 쉽게 설명해달라고 해보자 [6] 김아무개5271 24/12/05 5271 1
102850 [정치] 與, ‘尹탄핵 반대’ 당론으로 추인했다고 하네요. [341] 동지23549 24/12/05 23549 0
102849 [정치] [단독] 윤 대통령 5일 대국민담화…사과하되 임기중단· 탈당 일축할 듯 [98] 밥도둑14735 24/12/04 14735 0
102848 [정치] 한동훈 "계엄이 경고성일 수는 없어. 대통령 탈당, 대국민 사과 요구 전달" [36] EnergyFlow8965 24/12/04 8965 0
102847 [정치] [단독] 계엄군 297명, 중앙선관위 청사 덮쳐···당직자 5명 휴대전화까지 압수 [71] 카린9390 24/12/04 9390 0
102846 [정치] 계엄관련하여 서울대를 시작으로 각각의 대학에서 성명문(규탄문) 올라오는중 [19] 아롱이다롱이7034 24/12/04 703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