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1/15 22:18:48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101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0. 대 죽(竹)에서 파생된 한자들

국문할 국(鞫)의 자원을 살펴보았을 때, 오른쪽에 있는 큰소리 굉(訇)과도 관련이 없었고, 왼쪽에 있는 가죽 혁(革)과도 관련이 없었다. 이 한자의 구성 요소는 입 구(口), 다행 행(幸), 사람 인(人), 말씀 언(言)이며, 口가 竹으로 바뀌고 幸과 뭉개져서 革이 되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 중간 단계를 보고 鞫이 竹의 소리를 딴 형성자라고 했다.

鞫이 竹의 소리를 딴 것이 아니라면, 진정 竹의 소리를 딴 한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竹의 자원부터 살펴보자.

竹은 갑골문부터 나타나고 있으며, 댓잎이 아래로 늘어진 대나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다.

67356b358d86b.png?imgSeq=38487

왼쪽부터 竹의 갑골문, 금문, 진(晉)계 문자, 초계 문자, 소전. 출처: 小學堂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두 가지가 하나로 이어져 있는데, 금문 중에는 드물게 두 가지가 떨어져 있는 형태도 있다. 전국시대에는 두 가지가 떨어지며 그 형태가 소전을 거쳐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竹의 갑골문에는 논란이 있는데, 이 형태가 나아갈 염(冉)의 옛 형태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67356c0ca2cf3.png?imgSeq=38489

왼쪽부터 冉의 갑골문, 금문 1, 2, 진(秦)계 문자, 소전. 출처: 小學堂

지금의 冉은 멀 경(冂)을 두 이(二)가 가로지르고 있으나, 금문에서는 왼쪽과 오른쪽에 따로따로 아래로 드리워져 있어서 마치 竹의 댓잎이 두 겹으로 된 것과 같다. 小學堂에서는 竹과 冉의 갑골문을 구별해서 싣고 있으나, 몇몇 학자들은 위의 竹의 갑골문으로 제시된 한자를 竹이 아닌 冉의 갑골문으로 보고 있다. 일설에는 冉까지도 竹에서 유래한 한자로 보기도 한다.

갑골문과 금문에서 竹은 인명, 지명, 국명으로 쓰이며, 상나라의 제후국으로 기록된 고죽(孤竹)으로 추정되는 죽후(竹侯)가 나타난다. 이런 용법으로 보건대 갑골문의 竹이 정말 竹인지 아니면 冉인지 밝혀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竹(대 죽, 어문회 준4급)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竹+二(두 이)=竺(천축 축): 축학(竺學: 불교의 가르침), 천축(天竺) 등. 어문회 준특급

竹+巩(굳을 공)=筑(악기이름 축): 축(筑), 격축(擊筑) 등. 어문회 준특급

竹+馬(말 마)=篤(도타울 독): 독실(篤實), 돈독(敦篤) 등. 어문회 3급

筑에서 파생된 한자는 다음과 같다.

筑+木(나무 목)=築(쌓을 축): 축조(築造), 건축(建築) 등. 어문회 준4급

67356f11f073b.png?imgSeq=38492

竹에서 파생된 한자들.

형성자는 대개 뜻을 나타내는 형부가 부수인데, 竹이 성부인 한자들은 예외 없이 모두 竹이 부수다. 筑은 竹이 형부이기도 하고 㺬이 부수가 아니므로 이상하지 않지만, 竺과 篤은 각각 二와 馬가 부수 글자고 따라서 《설문해자》에도 二부와 馬부에 실려 있음에도 《강희자전》에서는 竹부로 옮겨 놓았다.

竺은 본디 篤, 즉 도탑다는 뜻의 한자였고, 지금은 음이 다르지만 상고음으로는 둑(tu:g), 중국에 불교가 들어온 후한 시기에는 독(touk)으로 같았을 거라고도 추측한다. 어떤 한자의 음을 다른 두 한자의 초성(성모)과 중·종성(운모)·성조를 따다 표기하는 반절법으로 보면, 竺에는 지금의 음인 축 외에 독에 해당하는 동독절(冬毒切: '동'의 초성과 '독'의 중·종성을 합한 음, 즉 '독')도 있다. 지금 竺은 인도의 다른 한자 표기인 천축이라는 낱말에 쓰이는데, 천축 외에 천독(天篤), 연독(身毒 - 신독이 아님)이라는 말도 있는 것을 보면 축과 독은 한자음에서 서로 통하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축이나 연독이나 모두 고인도이란어의 *síndʰuš가 이란을 거쳐 중국으로 넘어온 것데, 이 말은 산스크리트어 신두(Sindhu)의 어원이기도 하며 경계 강을 뜻한다. 천축, 천독, 연독 모두 한나라 시대 기록에서 등장하며, 현재 주로 쓰이는 인도란 말은 당나라의 현장 스님이 처음 썼다.

《설문해자》에서는 竺을 두텁다, 篤은 말이 천천히 간다는 뜻으로 풀이했지만, 이미 선진시대 문헌에서도 竺은 매우 드물게 쓰이는 데다 거의 다 고유명사로 쓰이고 있고 두텁다는 뜻은 篤이 도맡고 있다. 그래도 《이아》 역시 竺을 두텁다는 뜻으로 설명했고, 글자 자체에서 이중이니 두텁다는 뜻이 바로 나오는 竺이 篤과 견주어 보면 우선하는 것 같다. 한편 竺은 毒과 음이 비슷해 증오하다는 뜻으로도 쓰인 적이 있다.

竺이든 篤이든 竹은 소리를 나타내고 뜻은 二나 馬에 있기 때문에 竹은 뜻 없이 단순한 성부로 보인다. 그러나 이 한자들은 중국티베트어족에서 두꺼움을 뜻하는 *tuːk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어떻게 얇고 가는 대나무와 두꺼움이 비슷한 소리로 표현되는 것일까? 어떤 인터넷 자료에서는 역시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징포어로 죽순을 뜻하는 makru와 竹이 관련이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파생 관계로 보면 築이 筑에서 나온 한자이고 《설문해자》에서도 그렇게 분석했지만, 유물에서는 아직 筑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築은 전국시대의 금문에서 나타난다.

67373e48e618f.png?imgSeq=38609

왼쪽부터 築의 제계 금문, 초계 문자, 고문, 소전. 출처: 小學堂

초계 문자와 고문은 지금 쓰는 築과 다른 형태인데, 《자원》에서는 이 글자를 칠 복(攴)이나 흙 토(土)가 뜻을 나타내고 도타울 독(䈞)의 소리를 가져온 글자로 본다.

673740c12b710.png?imgSeq=38610

왼쪽부터 䈞의 초계 문자, 소전. 출처: 小學堂

䈞 역시 亯(누릴 향|형통할 형)이 뜻을 나타내고 竹이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로, 竺처럼 篤으로 대체되어 쓰이지 않게 된 한자다. 천축을 뜻하는 한자로 살아남은 竺과는 달리 완전히 죽어버렸지만, 그래도 전국시대 유물에서 발굴되어 자신이 한때 살아 있었음을 입증했다.

築은 성부는 筑·䈞, 형부는 木·攴·土로 쓰여 온 것으로, 소리는 '축'이며 뜻은 나무나 흙이라는 물체 또는 침이라는 행위와 관련이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찧다[擣]라는 뜻으로 풀이하는데, 주석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흙을 다질 때 쓰는 공이로 풀이했다. 흙을 다루니 土가 들어가고, 나무로 만드니 木이 들어가며, 치는 행위에 쓰이니 攴이 들어가는 것이다. 어느 것으로 풀이하든 건축과 관련된 도구임은 매한가지며, 따라서 지금의 뜻인 쌓음이나 건축이 인신되었다.

한편 筑은 《설문해자》에서는 축이라는 중국의 고대 현악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하고, 巩(굳을 공)은 잡는다는 뜻으로 보았다. 竹은 이 악기를 연주할 때 쓰는 죽제 술대를 가리킨다.

673743fc7d174.jpg?imgSeq=38611

중국 고대의 악기인 축. 출처: 北京王府井乐器城

築은 원시중국티베트조어에서 “쌓다, 건축하다”를 뜻하는*tsuk ~ tsik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건축을 뜻하는 티베트어 rtsig, 버마어 hcauk도 같은 어원이 된다. 다른 설에서는 *truk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데, 이 설에서는 정복하다를 뜻하는 티베트어 rdug, 돌진하다를 뜻하는 버마어 tuik가 동계어가 된다.

“두텁다”나 “쌓다”나 竹의 소리만 따고 뜻은 가져오지 않았지만, 둘 다 원시중국티베트어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둘 다 인류의 생활에서 일찍부터 함께한 말일 테니 그 자체에서 한자를 만들 수도 있었을 것 같지만, 정작 그런 뜻과는 별로 상관 없어 보이는 대나무를 뜻하는 한자인 竹이 그 두 말과 소리가 비슷하다는 이유만으로 竹에서 소리를 가져온 것이니.


요약

竹은 댓잎이 늘어진 대의 가지 모양을 본뜬 상형자다.

竹에서 竺(천축 축)·筑(악기이름 축)·篤(도타울 독)이 파생되었고, 筑에서 築(쌓을 축)이 파생되었다.

원시중국티베트어에서 두텁다나 쌓다를 뜻하는 말이 竹과 소리가 비슷해 竹이 들어가는 형성자가 만들어졌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닥터페인
24/11/15 22:46
수정 아이콘
형성자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글자들이네요. 정성스러운 게시물 잘 읽었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계층방정
24/11/19 07:21
수정 아이콘
형성자라는 게 한자가 일찍부터 고도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항상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如是我聞
24/11/15 22:56
수정 아이콘
가르쳐주셔서 고맙습니다.
계층방정
24/11/19 07:22
수정 아이콘
항상 격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부작
24/11/16 09:36
수정 아이콘
시리즈 50번째 축하드립니다
계층방정
24/11/19 07:2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한자의 성부 이야기는 쓰는 저에게도 재미있으면서 끊어지지 않네요.
24/11/16 09:53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竹 갑골문은 2번째보는건데 지금봐도 새 발바닥처럼 보이네요 크크
계층방정
24/11/19 07:2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말씀 듣고 보니 저도 그렇게 보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732 [일반] 잘 알려진 UAP(구 UFO) 목격담 중 하나 [15] a-ha6863 24/11/23 6863 2
102731 [일반] 지하아이돌 공연을 즐겨보자 [12] 뭉땡쓰6290 24/11/23 6290 1
102730 [일반] 노스볼트의 파산, 파국으로 가는 EU 배터리 내재화 [74] 어강됴리13165 24/11/23 13165 7
102729 [일반] 한나라가 멸망한 이유: 외환(外患) [8] 식별5946 24/11/22 5946 18
102728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2. 윗입술/웃는모습 갹(⿱仌口)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4064 24/11/22 4064 3
102726 [일반] 동덕여대 총학 "래커칠은 우리와 무관" [193] a-ha21139 24/11/22 21139 22
102725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4 [17] Poe8231 24/11/22 8231 35
102724 [일반] AI 시대에도 수다스러운 인싸가 언어를 더 잘 배우더라 [10] 깃털달린뱀5088 24/11/22 5088 5
102723 [일반] 러시아가 어제 발사했다는 ICBM, 순항미사일과 뭐가 다른가? [30] 겨울삼각형5696 24/11/22 5696 0
102722 [일반] 국제 결혼정보회사 이용 후기 [46] 디에아스타10583 24/11/22 10583 41
102720 [일반] 갈수록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조심하세요 [9] 밥과글4021 24/11/22 4021 7
102718 [일반] 영어 컨텐츠와 ChatGPT 번역의 특이점 그리고 한국의 미래 [16] 번개맞은씨앗5513 24/11/22 5513 9
102716 [일반] 요즘 근황 [42] 공기청정기9716 24/11/21 9716 16
102715 [일반] 좋아하는 꽃은 무엇일까요? 출간 이벤트 당첨자 발표와 함께! [17] 망각3927 24/11/21 3927 3
102713 [일반] 아니, 국과수도 모르겠다는데... 설마 대법원까지 보내려고 할까요? [37] 烏鳳10749 24/11/21 10749 31
102711 [일반] 4년간 미국 물가는 얼마나 심각하게 올랐는가 [63] 예루리7637 24/11/21 7637 2
102709 [일반] 트럼프 2기 정부는 불법 이민자 문제로 시작합니다 (+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트럼프 공약) [73] 시드라6768 24/11/21 6768 1
102708 [일반] 페이커 "실패 하나하나 모여 지금의 나…청년들 도전하세요" [47] 덴드로븀7485 24/11/21 7485 15
102707 [일반] 넷플릭스 영화 전,란에서 보여지는 역사왜곡 문제 [29] 뭉땡쓰5450 24/11/21 5450 13
102706 [일반] (수정)백종원표 더본코리아의 오늘까지의 주가추이 및 개인적인 의견 [45] 독서상품권6602 24/11/21 6602 1
102705 [일반] 피지알 회원들의 AI 포럼 참가 후기 [19] 최애의AI7647 24/11/20 7647 37
102704 [일반] AI 시대, 사교육 방향이 근본적으로 수정되어야 할 이유 [31] 스폰지뚱7301 24/11/20 7301 8
102703 [일반] 영화 청설 추천합니다 [17] 퀵소희6042 24/11/20 604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