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11/14 10:57:16
Name 깃털달린뱀
File #1 1731549345913.png (123.2 KB), Download : 334
Subject [일반] 우리나라는 서비스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까



우리나라는 명실상부한 제조업 국가입니다. 제조업은 우리나라를 여기까지 올려놓은 일등공신이기도 하지만 앞으로의 전망이 불투명합니다. 세계는 보호무역주의로 돌아섰고, 제조업은 중국이라는 막강한 경쟁자가 등장했으며, 우리의 박살난 인구구조 또한 제조업에 친화적이지 않습니다. 물론 제조업은 여전히 중요한 산업이지만 여기에만 매달려 있으면 그저 천천히 몰락해갈 뿐이겠지요. 우리가 아무리 하고싶어도 상대가 안받아주면 답이 없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서비스업은 중요합니다. 선진국이라 불리는 나라들은 보통 GDP의 7, 80%가 서비스업입니다. 물론 대부분은 저부가가치 노동, 비교역재라 외국에서 뚫기는 힘들지만, 반대로 어떻게든 뚫기만 한다면 드넓은 시장이 펼쳐져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서비스 수출은 상품 수출과 달리 눈에 잘 띄지 않아 무역보복의 타겟이 될 일도 적고 고부가가치인 경우가 많습니다. 포화된 제조업 시장과 달리 성장할 여지도 있고요. 2023년 기준 세계 교역액 중 약 1/4이 서비스교역이라네요. 그리고 이는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이고요.



이런 면에서 봤을 때 우리의 미래는 서비스 수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우리가 과연 이것을 할 수 있을지 우려됩니다. 우리가 여태 해왔듯이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 중화학공업에서 첨단 제조업으로 차근차근 올라갔던 것과 달리,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은 아예 산업의 구조 자체가 전혀 다르다는 느낌이 들거든요.


돌이켜보면 우리는 판을 짜기보단 짜인 판 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생각합니다. 흔히들 제조에 초점을 맞춰 '소부장'이라고 하는데, 서비스업 쪽에서도 소프트웨어, 컨설팅, 금융 등을 이용해오는 입장이었습니다.

삼성전자가 메모리를 잘? 만들어 판다고 하지만 그것을 설계하는 소프트웨어는 외산입니다. 우리나라가 중동에서 마천루를 지었다고 하지만 핵심 설계는 선진국 설계업체가 합니다. 수출 금융 등은 재보험 등을 거쳐 결국 영국과 연결돼 있겠죠.

우리가 제조업 경쟁에서 밀려나더라도 그들은 상관 없을 겁니다. 플레이어가 바뀔 뿐 그 회사는 그대로 설계 소프트웨어를 쓸 거고, 설계를 할 것이며, 금융을 제공할 것입니다. 그럼 우리에게는 뭐가 남을까요?

결국 판, 플랫폼을 장악해야합니다. 후발주자가 진입하려면 우리 프로그램을, 시스템을, 표준을 따르도록.


물론 드럽게 어려운 일입니다. 남들이 다 쓰는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 말고 국산화 하려 한다? 경쟁력만 떨어질 뿐입니다. 마천루 설계 경험도 없는데 설계를 맡길 회사 따윈 없습니다. IT 플랫폼도 국내를 먹고 슬슬 해외로 나가려하면 이미 나보다 덩치도 크고 해외 진출 경험도 많은 구미 업체가 시장을 선점해 있습니다. 우리가 그나마 성공한 게 라인 정도인데 이것도 결말이...


사실 진부한 이야기긴 합니다. 패스트 팔로워가 퍼스트 무버가 되려면 근본적으로 바뀌어야한다는 이야기니까요. 단지 아직까지도 답이 안보여서 문제일 뿐.


쓰고싶은 얘기는 많은데 어째 더 난잡해지는 것 같아서 이만 줄입니다.
모호하고 답도 없는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https://www.kita.net/researchTrade/report/tradeFocus/tradeFocusDetail.do;JSESSIONID_KITA=1BBF3FB7B173A0E2E6D48EAC0D99EA9B.Hyper?no=266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1/14 11:11
수정 아이콘
제조업이 진짜 애매한것같아요.
원래 세계화 넘어가면서 제조업이 사양길 산업이 된건 맞는데, 보호무역주의가 터지면서 미국도 자국내 제조업 다시 가져오려고 하고있죠.
결국 제조업이라는게 자국내 노동자들을 책임져주는 일거리라서 무시못할 가치이긴 합니다.

결국 기존 하방은 그대로 유지하고, 상방을 어떻게 변화시킬거냐의 문제이고, 이건 오래된 문제겠죠.
지금도 다들 시도는 하고있을겁니다. 이게 뚫리느냐는 다른 문제라 그렇지 ;;
깃털달린뱀
24/11/14 11:21
수정 아이콘
결국은 분배의 문제인데 참 어렵죠. 답이 있는 문제도 아니라 더더욱. 돈안되는 제조업을 일자리 때문에 잡자니 저성장이고 버리자니 소외된 사람들은 답도 없고.

어느쪽이든 결국 좋은 결말은 안나온다고 봐서 참 씁쓸할 뿐입니다. 근데 문제는 감정을 넘어서 우리한테 직격타라는 거?
24/11/14 11:26
수정 아이콘
미국쪽도 그런 소외가 만들어낸게 트럼프의 부활이라....단순히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세계화의 낭만은 이제 끝난게 아닌가 싶어요.
트럼프가 관세를 천명했고, 미-중대립이 격화된다고 치면 이런 제조업문제도 같이 올라올거라고 보거든요.
특히 코로나시기때 제대로 보여줬던게, 제조업도 일종의 무기가 될 수 있다는거였어서...
국가별로 오히려 제조업을 일정 퍼센트 이상 유지하려고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깃털달린뱀
24/11/14 11:29
수정 아이콘
그 세계화 퇴조에 가장 영향 많이 받을 게 우리나라다보니...
세계 흐름에 의해 강제적으로 우리 제조업이 눌리고 구조조정 당한다면 결국 살기 위해서라도 서비스업을 늘리는 게 맞지 않나싶었습니다. 미국이랑은 정반대죠 사실. 그쪽은 너무 없어서 문제, 우린 너무 많아서 문제.
No.99 AaronJudge
24/11/14 19:44
수정 아이콘
하긴 결국 세계화라는 그 기조에서 열심히 꿀 빨고 성장한 게 대한민국의 역사다 보니까….
24/11/14 11:17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은 돈은 많이버는데 고용창출 효과가 별로 없다는 소리도 있어가지고 그나마 한국에서 괜찮은 게임회사가 나오는거 말고는 잘 모르겠네요
24/11/14 11:24
수정 아이콘
미국만 봐도 그렇죠. 테크기반 서비스업이 호황이지만 정작 서민의 삶은...
깃털달린뱀
24/11/14 11:24
수정 아이콘
제조업도 나름 장점이 있고 중요하지만 문제는 그게 우리가 아무리 좋아하고 하고싶다 해도 여건이 안받쳐준다는 거라. 강제로 산업 구조조정 당하면 결국 서비스업이라도 해야하지 않나 싶은데 잘될지 모르겠어요.
24/11/14 11:28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도 마찬가지죠 아무리 좋아하고 하고싶다해도 여건이 안받쳐주는거라.. 기존 선진국이라는 유럽국가들도 미국과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는 상황인데 미국의 IT 산업을 따라가는게 가능할까 싶네요
깃털달린뱀
24/11/14 11:31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합니다. 현재 제조업에 답이 안보이니 서비스업으로라도 출구를 찾아봐야 된다는 의미였는데 사실 그게 됐으면 미리 했을 거긴 하죠. IT가 너무 대표적이라 그렇지 사실 설계든 관리든 다 이미 예전에 자리잡았던 선진국들이 노나먹는 판이고.
24/11/14 11:35
수정 아이콘
그래서 게임회사들한테는 꽤 기대했었는데 NC같은 회사를 보니 너무 절망적이긴합니다. 결국 한국은 자원도 없고 사람이 자원이라 아이디어를 팔아먹어야하는데 외국에 먹히는 게임은 못만들고 내수 뽑아먹는 게임 위주로 돌아가는거 보면 슬프긴합니다.
바밥밥바
24/11/14 11:17
수정 아이콘
한국 스타트업 90%는 전부 미국거 카피해서 사업하고 있죠
자율 중심의 기업문화가 정착하지 않으면 서비스업 분야의 혁신은 영영 없을거라 봅니다
깃털달린뱀
24/11/14 11:26
수정 아이콘
전 카피 자체도 나쁘지 않다고 보는데 문제는 그러면 끽해야 내수가 끝이라...
사실 스타트업의 해외진출 자체가 우리가 불리하긴 하죠. 영어권 국가도 아냐, 문화적으로 긴밀하게 교류해서 진입할 수 있는 것도 아냐, 그 나라 고급 이민자가 직접 와서 창업하거나 일하는 것도 아냐, 해외진출할만큼 자본력이 뒷받침되지도 않아... 아니 이거 걍 미국이 개사기네...
담배상품권
24/11/14 11: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서 전세계에서 그게 되는 국가가 있느냐 = 거의 없음
아예 없냐 = 있긴 있는데 걔네들은 미국에게 빨대꼽혀서 인재와 기업이 미국으로 유출됨
....걍 미국이 문제네요.
깃털달린뱀
24/11/14 11:37
수정 아이콘
사실 글 자체도 '우리가 꼽을 빨대가 있는가?'를 주제로 글 써보려다 이쪽으로 튼거긴 합니다. 우린 너무 정직하게 상품만 수출하지 빨대를 꽂진 못하고 있으니...

꼭 서비스업 뿐만 아니라 ODA나 인프라 관련으로 빨대 꽂기 관련 글을 써보고싶은데 내공이 딸려서 못하겠네요.
담배상품권
24/11/14 11:41
수정 아이콘
일본에게 뺏기기 직전이라 그렇지 라인도 있고, 카카오가 동남아쪽 많이 노리고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꽤 가시적인 성과가 나온걸로 알고요. 정말 아주 없진 않은데, 그게 나라 먹여살릴 수 있냐면 그건 모르겠습니다.
CanadaGoose
24/11/14 11:29
수정 아이콘
IT 플랫폼이라.... 플랫폼이라고 했을때 일반적으로 떠올리는건 공급자와 소비자를 묶어주고 중개해주는 서비스인데, 여기서 말씀하시는건 그런 것보다는 일종의 프레임워크로 보이네요. 표준이 있고 여러 부품으로 시스템이 구성된 그런 것들.

근데 그런게 딱 빛좋은 개살구라고 보긴 합니다.
비전은 멋있긴하죠. 잘되면 앉아서 돈 벌기도 하고.
그런데 그런 걸로 직접적인 매출을 일으키는 건 쉽지 않거든요. 구현해내는게 어렵기도 하구요.
차라리 맞춤형으로 애플리케이션 만드는 게 돈도 더 잘벌고 일을 진행할때도 직관적이거든요. 그래서 실무자도 리더도 다들 안하려고 하죠.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필요하다는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미국 IT 업계는 “누군가는 해야하잖아“ 느낌으로 뛰어드는 것 같아요. 그런 시야를 갖고 뚝심있게 밀어붙이는게 참 멋있어보입니다.
깃털달린뱀
24/11/14 11:34
수정 아이콘
완전한 글로벌 플랫폼 비즈니스는 사실상 미국만 할 수 있는 것 같긴 합니다.
그래도 제조와 관련된 영역에서의 기술, 서비스는 좀 노려볼만하지 싶은데 이쪽도 워낙 기존 경쟁자들이 쟁쟁하다보니 힘드네요. 트랙 레코드 쌓기도 힘들고.
CanadaGoose
24/11/14 11:45
수정 아이콘
소프트웨어 쪽은 꼭 비즈니스가 아니더라도 기술적으로 해볼 수 있는 기반 기술들이 있죠.
각종 개발 도구, 라이브러리, 저장소...
실제로 투자 비용이 어마어마해서 못하는것을 제외하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글로벌한 영향력을 만들 포텐은 있을것 같습니다.
 
미국 쪽은 애플 제외한 빅테크 기업들은 오픈 소스로 큼직하게 기여하는 것들이 많은데 우리는 그런거 할 생각이 전혀 앖어보여요.
남들 좋을일 돈도 안되는데 왜해 느낌이랄까요
안군시대
24/11/14 14:44
수정 아이콘
오픈소스 얘기가 참 공감되네요. 저도 개발자다 보니, 예전에는 진짜로 돈도 안되는 일을 왜 그렇게 열심히 하나 싶었는데, 미국쪽에서 돌아가는 걸 보니까, 깃헙 자체가 일종의 포트폴리오 역할을 하고, 훌륭한 오픈소스 컨트리뷰터들은 검증된 인재라서 빅테크 등에서 영입 1순위가 되기도 하고, 오픈소스로 공개된 것을 가져다 쓸 수는 있어도 그걸 만들어낸 노하우나 통찰력 등은 배낄 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돈을 들여서라도 해당 인재를 영입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퍼져 있는 듯 했습니다.
CanadaGoose
24/11/14 16:25
수정 아이콘
그런 역량이 쌓여서 골드 러시가 올 때마다 청바지를 떠올리고 만들 수 있는거 같아요.
CanadaGoose
24/11/14 11:37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의 본질은 결국 인력이다보니 선진국은 인력 관리를 어떻게 하는가가 좀 궁금하긴 하더라구요.
저는 개인적으로 그런 관리법들이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소프트 파워라고 생각합니다. 그런게 기업문화를 만들고 뚝심있게 도전하는 동력을 유지시킨다고 생각해요.
깃털달린뱀
24/11/14 11:40
수정 아이콘
사실 얘기 자체는 예전부터 꽤 많이 나오긴 했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수평적으로 누구든 자유롭게 의견을 내는 문화라든가... 근데 이게 또 제조업 마인드하고는 정반대라 도입이 잘 안되는 것 같습니다...
안군시대
24/11/14 14:5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서구 IT 기업들이 모두 수평적이고 자유롭다는 것도 약간 환상인 듯 합니다.
유비소프트나 EA가 삽질하는 모습이라던지, 너티독의 몰락이라던지, 야후가 망한 과정 등등을 보면, 그게 수평적인 기업문화라는 느낌은 별로 없거든요. 그냥 그런 일부의 회사들이 잘 살아남은 것이거나, 살아남은 회사들 CEO의 마인드가 좋아서 그렇게 된 것 뿐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다만, 그런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생겨났을 때, 그걸 믿고 투자해주고 기다려줄 자본이 없다는 문제는 물론 있습니다.
CanadaGoose
24/11/14 16:22
수정 아이콘
수평적인 것도 있겠지만 인간이라는 종족(?) 자체에 관심이 많구나, 이런 인상을 받았어요. 인문학, 심리학, 행동경제학...
24/11/14 11:44
수정 아이콘
플랫폼은 미국 아니면 안됩니다.
틱톡 금지되고 앱스토어 EU에서 맨날 과징금 때린다고 뉴스에 나옵니다.
멀리갈 것 없이 독일회사 배민이 한국에서 두들겨 맞고 있죠.

플랫폼으로 표준이 될 정도로 잘되면, 독점을 명분으로 무역 보복 맞고 나가떨어져요.
그런데 플랫폼 사업인데 표준이 아니다? 돈이 안되죠
니드호그
24/11/14 11:47
수정 아이콘
이걸 할려면, 맨땅에 헤딩하는 정신으로 일단 달려들고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의 재벌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들도 대부분은 50~60년대 같은 앞날이 캄캄했던 시절에 되든 안되든 일단 달려들은 사람들 중 대다수가 실패해서 사라져가는 와중에 살아남아 성장한 소수 케이스라고 생각하기에….
당시엔 잃을 게 없어서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많았고, 다들 가진 게 없다보니 그만큼 경쟁자나 장벽도 많지 않았기에 저런 도전이 가능했던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현재는 다들 생활환경이 좋아지면서 잃을 것이 생기면서 맨땅에 헤딩하기가 힘들어지고, 또 경쟁자나 장벽도 많아졌기에 그만큼 힘들어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미국같은 경우, 일단 사람들로 하여금 인생을 걸고 도전하게끔 만들고, 실패해서 사라지거나 심하면 죽는 사람이 나와도 상관없다는 태도를 취할 수 있는데, 한국 같은 경우 5천만 인구는 그런 식으로 굴리기엔 숫자가 적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24/11/14 11:50
수정 아이콘
이전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지금도 키오스크 UI와 카카오톡을 보면 안될거 같아요. 근본적인 뭔가가 변해야 할거 같습니다.
편하고 직관적으로 뭔가를 제공해서 덩치를 키워야 하는데 어떻게든 끼워파는 구조로 성장하는거보면 규모의 문제일지도요.
미드웨이
24/11/14 12:07
수정 아이콘
문화산업 발전하는거보면 제가 보기엔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입니다. 제조업만 할수있는 정신상태로 가득찬 국민이 그런 문화역량을 보여줄순없습니다.

이미 서비스업은 한국에서 잘 성장하고있고요. 미국이나 중국이랑 비교하지말고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네이버 카카오 등 여러 IT회사를 보유한 나라도 흔치않습니다.
24/11/14 13:58
수정 아이콘
저도 문화산업 발전하는거 보면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다만 문화나 서비스 쪽은 제조업과는 달리 소프트하고 인간중심적인 산업이다보니… 지금까지 한국 사회가 유지해 온 마인드셋과는 너무 반대항이라 과연 잠재력 만큼의 아웃풋을 낼지가 의문입니다. 
설탕물
24/11/14 12:43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이라는것도 분류가 너무 다양해서, 우리나라가 하고 싶은 서비스업은 아이티나 문화산업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인데... 한국의 진짜 문제는 서비스업이 콜센터 같은 저부가가치 서비스업에 많이 몰려있는게 크겠지요.

한국에서 외국에 팔아먹을만큼 경쟁력 있는 서비스업이 뭐뭐 있을까요? 저기 서비스업 매출 통계의 많은 부분이 게임일거 같은데, 한국 게임계는 중국 이기기 힘들거 같은데, 질적인 성장을 하는 부분은 보이지만 양적으로는 줄어들거 같고. 엔터계가 좀 더 부활할 수 있을지도? 이외에 한국에서 경쟁력 있는거중 하나가 의료인거 같은데, 이건 기본적인 신뢰문제로 개방이 어려울거 같고..
안군시대
24/11/14 12:48
수정 아이콘
서비스업이라는 범주가 너무 크다보니..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크게 GDP를 창출(?) 하는 분야는 금융서비스 아닐까요?
인구소국 중에서 1인당 GDP가 몇만불씩 되는 나라들의 공통점이 금융강국이라는 것도 있고요.
이게 단순하게 총 GDP나 1인당 평균 GDP로 계산할 일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딱히 이걸 구분해서 계산하기도 애매하고 그렇습니다.
어쨌거나 개인적으론 서비스업의 핵심은 금융 같습니다. 솔직히 IT, 여행, 문화 같은 건 다 곁다리 같아요.
toujours..
24/11/14 14:59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자국 보호주의로 간다 한들 제조업은 무시할 수 없죠. 이미 최고 수준으로 올라온 제조업 경쟁력을 앞으로 어떻게 유지할지에 대해 더 고민하는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국 브랜드 위주로 생활 할 수 있는 나라들이 생각외로 거의 없습니다.
No.99 AaronJudge
24/11/14 19:41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결국 더 올라가려면 서비스업을 키워야한다 생각해요…

물론 kpop 등등 문화적인 부분을 진짜 잘 키웠는데, 그것만으로는 좀 부족하고…더 키워야 0.7 출산율도 별 타격 없이 지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조업만으로는 0.7은 버거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683 [일반] [팝송] 콜드플레이 새 앨범 "Moon Music" [13] 김치찌개4877 24/11/17 4877 6
102682 [일반] 글래디에이터2 - 이것이 바로 로마다(강 스포일러) [13] 된장까스7152 24/11/17 7152 11
102681 [일반] <글래디에이터 2> - 실망스럽지는 않은데...(약스포) [9] aDayInTheLife3893 24/11/17 3893 5
102680 [일반] 이것이 애니화의 힘 - 단다단 [28] 대장햄토리5614 24/11/16 5614 1
102679 [일반] 멀웨어 제로 한 번 돌려보세요 [37] 밥과글10710 24/11/16 10710 16
102678 [일반] AMD, 직원 4% 감축 [4] SAS Tony Parker 6699 24/11/16 6699 1
102677 [일반] [방산] 이게 팔릴까 [14] 어강됴리9238 24/11/16 9238 7
102676 [일반] 학교폭력 사안의 처리 절차 [54] 비밀....7265 24/11/16 7265 7
102675 [일반] 100년전 사회과부도 속의 아시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맺음말 [5] 식별3297 24/11/16 3297 10
102674 [정치] 트럼프는 한국에게 방위비 13조를 내야 한다 [84] 번개맞은씨앗11682 24/11/15 11682 0
10267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50. 대 죽(竹)에서 파생된 한자들 [8] 계층방정2698 24/11/15 2698 2
102672 [정치] 상법개정안과 재벌해체 [20] 헤일로5185 24/11/15 5185 0
102671 [일반] 삼성전자, “10조원 자사주 매입”…3조원은 3개월 내 소각 [54] Leeka10170 24/11/15 10170 0
102670 [일반] 간만에 읽어본 책 [한국인의 기원] [11] a-ha3372 24/11/15 3372 9
102669 [일반]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 독서 후기 [3] 천연딸기쨈3171 24/11/15 3171 4
102668 [일반] 연세대 논술 시험 무효 가처분이 승인되었습니다. [18] Leeka5546 24/11/15 5546 0
102667 [정치] 이재명 1심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830] wonang29764 24/11/15 29764 0
102666 [일반] 100년전 사회과부도 속의 미국과 호주 [5] 식별3460 24/11/15 3460 10
102665 [일반] 흑인남성들은 왜 해리스에서 트럼프로 옮겨갔는가 [50] 뭉땡쓰6741 24/11/15 6741 10
102664 [일반] 100년전 겪었던 일들을 그대로 반복하고 있는 미국 [44] 예루리6596 24/11/15 6596 8
102663 [정치] 민주당, 상법 개정안 당론 채택. + 왜 그렇게 반발하는가? [49] 깃털달린뱀5967 24/11/15 5967 0
102662 [정치] 수능 지문에 나온 링크에 정치적 메세지를 삽입한 건 [34] 설탕물10313 24/11/14 10313 0
102661 [일반] 4만전자가 실화가 됐네요 [184] This-Plus12294 24/11/14 12294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