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6 15:05:15
Name 매번같은
Subject [일반] 70년대 지어진 큰 평수 아파트에 꼭 있었다는 특이한 공간 식모방 (수정됨)
1


17251-20658-3012


2


3


4


5


6


Fx-nqt-a-AAA2ueb


IE001257244-STD

베란다, 창고, 부엌 쪽으로는 창이나 문이 만들어져 있으나
절대 거실 쪽으로는 문이 없음.

아무리 큰 평수라 하더라도 식모방은 몸 하나 눕고 옷장 하나 있을 정도의 작은 공간.

70년대 말 정도까지 준공된 큰평수 아파트에는 꼭 있었다고 하네요.
80년대 들어가면서 출퇴근 하는 가정부가 더 많아지고 식모 문화가 사라지면서
그 이후 지었던 아파트에서는 식모방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식모를 할만한 집안 사정이 찢어지게 가난한 여성분들은 공장 여공으로 빠졌다고 하네요.

40대 중후반 분들 중 어렸을 때 좀 사셨다는 분들은 식모 하나 있으셨던 분들 있을듯.
가정부랑 식모는 좀 느낌이 다르죠.

https://namu.wiki/w/%EC%8B%9D%EB%AA%A8

자세한 스토리는 나무위키 "식모" 페이지를 참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돔페리뇽
24/08/26 15:11
수정 아이콘
30평대 은마아파트에도 있죠 흐흐
매번같은
24/08/26 15:15
수정 아이콘
제가 잘 몰라서 [큰 평수]라고 퉁쳐서 썼는데 30평대도 있었군요. 정보 감사드립니다.
부르즈할리파
24/08/26 17:06
수정 아이콘
70~80년대 초반 생활수준을 생각하면 당시엔 전용 25평도 충분히 대형평수긴 하죠 크크
그말싫
24/08/26 15:12
수정 아이콘
딱 팬트리 자리네요 이제
24년에살아있을까
24/08/26 15:15
수정 아이콘
구반포에 부엌쪽에 있던 팬트리 같은 공간이 식모방이었나보네요.
24/08/26 15:22
수정 아이콘
요즘도 고급아파트나 빌라 유튜브 영상보면 가사도우미용 방을 만든집들도 있더라구요.
수리검
24/08/26 15:24
수정 아이콘
신세경 ㅠ
동굴곰
24/08/26 16:56
수정 아이콘
딴 사이트에서 봤는데 하이킥에서 나문희도 식모 출신이라고...
근데 어찌저찌 주인집 순재 도련님이렁 결혼
유료도로당
24/08/26 17:00
수정 아이콘
식모 컨셉이 어색하단 얘기도 있었는데, 최초 기획은 80년대 시대물이었다고 하더군요. 아무래도 소품 등 준비할게 많다보니 예산문제로 시간대만 현대로 바꾼거라...
Yi_JiHwan
24/08/27 15:57
수정 아이콘
데일리 시트콤이라 소품이 빡세긴했겠네요
지옥천사
24/08/26 15:28
수정 아이콘
동남아 거주 중인데, 동남아에서 고급 아파트에는 대부분 있습니다.
가사도우미 침실, 가사도우미 화장실 다 별도로 있고, 따뜻한 물 안나오는 경우도 있고, 에어컨은 없죠....
매번같은
24/08/26 15:28
수정 아이콘
동남아에서 에어컨이 없으면...;; 확실한 차별이 되겠군요.
라방백
24/08/26 17:43
수정 아이콘
중동 큰 아파트나 저택에도 다 있습니다. 거긴 보통 별도 침실 욕실에 에어컨까지 다있고 세탁용 팬트리가 붙어있는 경우도 많구요.
EK포에버
24/08/26 15:29
수정 아이콘
주공5단지 36평형에도 있습니다. 제일 큰 침실 벽면에 호출버튼도 달려 있습니다.
매번같은
24/08/26 15:32
수정 아이콘
https://landthumb-phinf.pstatic.net/20120329_94/hscp_img_1333001541017AXfcy_JPEG/GW70765_1333001539011.jpg
네이버 부동산에서 잠실 주공5단지 평면도 찾아보니 진짜 있군요. 78년 준공이네요.
오우거
24/08/26 15:39
수정 아이콘
한남더힐 85평에도 있습니다.
실제로 그 용도로 쓰는 세대는 별로 없겠지만
지구 최후의 밤
24/08/26 17:52
수정 아이콘
이젠 숙식하는 보모 용도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겠죠.
이혜리
24/08/26 15:44
수정 아이콘
오 최근에 여의도 구축으로 이사 했는데 집 보러 다닐 때 가장 신기했던 두 개 중 하나를 여기서 보네요.
식모방과 라디에이터 입니다.

지금이야 식모방이 필요가 없어서,
인테리어 한 집은 그냥 터버리고............. 인테리어 안 한 집들은 김치냉장고 + 부자재 창고로 많이 쓰더라구요.
그런데 집 보러 간 곳에 아직도 라디에이터로만 쓰고 온돌이 없는 집도 있었습니다?
추웠는지 4월 말 까지도 집 전체를 전기장판으로 데우고 있었어요.
24/08/26 15:47
수정 아이콘
유튜브로 요즘 고오급 아파트 보니까 40평대가 넘어가는 큰 평수도 방이 세개더라구요. 대신 방마다 베란다가 달린 덜덜덜 시대에 따라 소비자들 니즈가 변하나봐요. 흐흐
도들도들
24/08/26 16:07
수정 아이콘
역사상 상류층이 가사사용인을 가장 적게 쓰는 시대가 아닐까 싶어요.
24/08/26 16:20
수정 아이콘
가끔 고급 빌라, 최고가 아파트들 유튜브로 구경 하는데, 그 정도 레벨 되면 아직도 꽤 있더라고요. 요즘은 사용인방? 뭐 그런 명칭이던데.
24/08/26 16:38
수정 아이콘
압구정 현대아파트 크크크
24/08/26 17:20
수정 아이콘
참...식모 얘기 나오면 뭉클한게, 저희 큰고모께서 식모살이해서 저희 아버지 대학 하숙비를 보태주셨다죠. 아들 셋 딸린 홀아비 집에서 식모살이하다가 결혼해서 살게 되셨다는...현대판 솔축이라고 해야 하나?
그 시절에 그런 분들 많았을거에요.
24/08/26 17:40
수정 아이콘
주거를 보면 당대의 시대상을 알수 있는 요소가 많아 재밌더군요. 요즘 유행하는 타워형이나 4BAY판상형 아파트를 보며 후대인들은 어떻게 생각하려나요.
아엠포유
24/08/26 17:51
수정 아이콘
80년대 말에서 90년대까지 지어진 구축 대형 평수에도 꽤 많습니다
트럼프
24/08/26 17:55
수정 아이콘
어릴 적에 장미아파트 살던 친구집 놀러 가면 웬 창고도 아닌 좁은 방에 짐들 쌓여있고 컴퓨터도 있었어서 거기 같이 껴서 게임 했는데,
이제 보니 그게 식모방이었네요.
옥동이
24/08/26 18:24
수정 아이콘
인도네시아 가보니까 있더라구요 크크
탑클라우드
24/08/26 20:42
수정 아이콘
베트남 처음 와서 나름 한인들 많이 모여 사는 지역의 신축 아파트에 입주했는데,
다용도실 옆에 아주 작은 화장실 1개와 방이 1개 있어서,
당최 이건 무슨 공간인가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내니룸이라고...
24/08/26 21:20
수정 아이콘
아시아 선수촌 아파트에서 재미있게 느낀건 엘리베이터에 관이 들어갈수 있게 만든 것... 당시의 장례문화를 반영한 것이겠죠
Zakk WyldE
24/08/26 22:14
수정 아이콘
명수대 한강 아파트에 작은 방이 하나 있었는데
창고로나 썼지.. 식모방이었나
근데 문은 발코니나 주방쪽으로 있진 않았던거 같은데
다람쥐룰루
24/08/27 00:03
수정 아이콘
지붕뚫고 하이킥 볼땐 재밌었는데요 크크크
24/08/27 10:36
수정 아이콘
아파트 식모방은 모르겠고 어릴적에 살았던 집에 있었긴 하지요. 그 방은 창고로 사용했지만...
숨고르기
24/08/27 11:10
수정 아이콘
70-80년대 지어진 여의도 아파트, 압구정 아파트들 중대형 평형에는 대부분 있었습니다. 대개 한칸짜리 장롱하나 넣고 이불펴면 꽉차는 크기였죠.
다시마두장
24/08/27 16:03
수정 아이콘
돌고 돌아 가족이랑 분리된 개인적인 공간으로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크크크
24/08/27 16:51
수정 아이콘
이거 시그니엘도 큰 평수에 있더라구요
그렇군요
24/08/27 18:12
수정 아이콘
특권층 덜덜
터치미
24/08/27 20:16
수정 아이콘
별로 이상할 건 아니죠. 예전에는 찢어지게 가난하기에 하이킥에 나왔던 신세경처럼 지내는 젊은 여자들이 많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3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연재 휴식 + 앞으로 뭐 쓸까요? [7] 계층방정4134 25/04/08 4134 7
104038 [일반] 방금자 밴스 발언 요약 [66] Lz11340 25/04/08 11340 8
104037 [일반] 실시간 레전드 찍고있는 나스닥 근황.jpg [65] 김유라16147 25/04/07 16147 2
104036 [일반] 글로벌 무역체제 재구성: '미란 보고서'와 트럼프 경제·무역정책 [30] 스폰지뚱10340 25/04/07 10340 12
104035 [일반] 종소세 환급금 무료화 [11] 삭제됨9709 25/04/07 9709 2
104034 [일반] GPT야 그림 그려줘. 조금 더.. [9] 삭제됨9364 25/04/07 9364 6
104032 [일반] 해외공장과 관세정책의 의미 [35] 번개맞은씨앗9910 25/04/07 9910 6
104031 [일반] Chat GPT Monday는 재미있음 [11] 구라리오6971 25/04/07 6971 1
104030 [일반] 쿠르츠게작트 "한국은 망했다" 를 보고 [131] 고무닦이21930 25/04/06 21930 11
104029 [일반] [단편] 세상 가장 편한 인생을 산 사람 이야기 [6] Thenn6155 25/04/06 6155 7
104028 [일반] 미국이 신안 염전 소금을 수입금지했습니다. [107] Lz16211 25/04/06 16211 18
104027 [일반] 신생아 중환자실 학대 관련 대구가톨릭대학교 병원 공식 사과 [71] SAS Tony Parker 13379 25/04/06 13379 4
104026 [일반] [팝송] 레이디 가가 새 앨범 "MAYHEM" [4] 김치찌개5617 25/04/06 5617 2
104025 [일반] 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12] meson5927 25/04/05 5927 5
104024 [일반] (스포) ⟨소년의 시간⟩ - 무엇이 소년을.... [22] 마스터충달7465 25/04/05 7465 12
104023 [일반] [자작소설] 역대급 재앙이 터졌던 바로 그날 [2] 독서상품권6382 25/04/05 6382 2
104022 [일반] 트럼프의 최종 목표는 미국의 모라토리엄 선언입니다. [64] 캬라16141 25/04/05 16141 5
104021 [일반] 한국은 러시아를 개꿀 삼아 성장해야 합니다. [90] 깐부10746 25/04/05 10746 5
104020 [일반] [과학] 지구에 충돌한다는 소행성 근황 [21] 공실이9247 25/04/04 9247 1
104019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90. 천간과 지지 한자들 [4] 계층방정4229 25/04/04 4229 2
104018 [일반] [LOL] 2024 전설의 전당 불멸의 아리 피규어 리뷰 [5] Lelouch6826 25/04/04 6826 8
104017 [일반] 충격적인 부동산 집값 근황 [214] 마그데부르크21508 25/04/04 21508 0
104015 [일반] 현재 달러 환율 근황 [45] 된장까스15029 25/04/04 1502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