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3 07:01:10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64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26. 연이을 련(聯)에서 파생된 한자들 (수정됨)

지난 글에서 다룬 젖을 습(濕)과 나타날 현(顯)은 각각 물 수(水)와 머리 혈(頁)에 같은 모양의 한자가 결합한 모양이지만, 우연의 일치로 같은 형태가 되었을 뿐 실제로는 다른 한자였다고 했다. 이 글에서 다룰 한자들은 바로 나타날 현(顯)에서부터 시작한다.

顯은 지금은 날 일(日), 실 사(絲), 머리 혈(頁)이 결합한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옛 형태에서는 絲의 두 실뭉치를 잇는 끈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66bf000246e45.png?imgSeq=33055顯의 변천.

이 絲를 실뭉치로 이어 놓은 한자는 연이을 련(聯)의 초기 형태이다. 지금의 聯은 이 초기 형태에 귀 이(耳)를 더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갑골문에서는 絲를 실뭉치로 이은 한자와 귀에 실이 이어진 한자가 가 서로 다른 형태로 존재했다.

지난 글에서도 가로 줄로 絲를 이어 놓은 한자들을 분석해 가로 줄이 두세 개 있는 한자는 濕과 관련되고, 가로 줄이 한 개만 있는 한자는 顯이나 聯과 관련된다고 했다. 이와 같은 결론은 이미 다른 논문에서도 나왔다.

66bf0f7634e49.png?imgSeq=33058

66bf0ef8e06f2.png?imgSeq=33057

絲를 가로줄로 이은 한자의 두 가지 다른 유형.

대만대학의 장우위는 석사논문에서 絲를 가로줄로 이은 한자를 중간을 꿰뚫는 가로선이 있는 A류와 없는 B류로 나누고, A류는 접속·습격·젖다는 뜻을 지니고 B류는 잇다는 뜻을 지닌다고 구분했다. 지난 시간에 다룬 濕이나 襲은 A류고, 이번에 다룰 顯이나 聯은 B류에 속한다.

저렇게 실들을 중간에 꿰뚫는 가로선 없이 이은 한자가 聯의 초기 형태로 보이지만, 이와는 달리 귀 이(耳)에 실이 이어진 형태도 갑골문에서부터 등장한다.

66bf11da46c21.png?imgSeq=33059

왼쭉부터 聯의 갑골문, 금문, 전국시대 문자, 설문해자 소전. 출처: 小學堂

이 글자는 귀에 실이 이어진 모습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귀를 진짜 사람의 귀에 실로 장식을 이은 것으로 보기도 하고, 솥이나 술잔, 소반 등의 기물의 귀에 줄을 이은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렇게 실뭉치를 줄로 이은 형태나 귀에 실을 이은 형태가 따로 존재하지만, 그 뜻은 둘 다 무엇을 잇는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전국시대 문자는 줄로 이은 실뭉치와 귀가 같이 있어서, 두 가지 다른 聯의 기원을 하나로 합쳐 놓은 것 같다. 여기에서 실뭉치를 이은 줄이 생략된 것이 《설문해자》에 수록되었다. 그래서 이 글자를 귀 이(耳)와 실 사(絲)가 합쳐진 회의자로 보았지만, 絲를 가로선으로 이은 옛 형태를 보지 못했기에 잘못 해석한 것이다.

지금의 聯은 絲가 아닌 뭔가 특이한 한자를 옆에 거느리고 있는데, 《설문해자》에서는 이 한자를 '실꿸 관'으로 풀이하며 絲가 뜻을, 卝(쌍상투 관)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보았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원래 聯의 오른쪽 부분이 絲을 줄로 이은 형태였던 흔적으로 보인다.

즉, '실꿸 관'이라는 한자는 원래는 연이을 련(聯)의 초기 형태인 一+絲였고, 나중에 다른 모양으로 전승된 것이다. 실꿸 관이 웹 환경에서 쉽게 깨지는 글자이기도 해서, 이번 편의 파생의 핵은 '실꿸 관'이 아닌 '연이을 련'으로 보겠다.

이 연이을 련의 초기 형태는 잇다는 뜻으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제사 기물인 호련(瑚璉)을 뜻하는 호련 련(璉)을 가차하기도 한다. 璉의 소리 부분이 이을 련(連)이니, 지금도 聯과 連은 구분해서 쓰긴 해도 거의 같은 글자로 보는데, 옛날에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한참 전에 어지러울 련(䜌)과 이에서 파생된 변할 변(變) 등의 한자를 소개했는데, 그때에는 䜌을 말씀 언(言)과 실 사(絲)가 합한 회의자로 설명했지만 言에 이 연이을 련의 초기 형태가 붙은 형성자로 설명하기도 한다. 絲를 잇는 가로줄이 言의 가로줄과 합한 형태로 보는 것이다.

 

연이을 련(聯-耳)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聯-耳)+耳(귀 이)=聯(연이을 련): 연합(聯合), 관련(關聯) 등. 어문회 준3급 

(聯-耳)+門(문 문)=關(관계할 관): 관계(關係), 기관(機關) 등. 어문회 준5급

(聯-耳)+日(날 일)+頁(머리 혈)=顯(나타날 현): 현미경(顯微鏡), 영현(英顯) 등. 어문회 4급

66c7b332a5aae.png?imgSeq=33405

聯-耳에서 파생된 한자들.

연이을 련(聯-耳)은 이 한자들에서 소리뿐만 아니라 뜻도 나타내고 있다. 김준수는 聯과 顯의 초성 자음이 달라서 顯의 성부가 聯이라는 학설에 신중론을 펼치기는 한다.

聯(연이을 련)은 耳(귀 이)가 뜻을, 聯-耳(연이을 련)이 소리를 나타내며, 귀에 실뭉치를 이어 놓은 데에서 '잇다'는 뜻이 나왔다.

關(관계할 관)은 門(문 문)이 뜻을, 聯-耳(연이을 련)이 소리를 나타내며, 문을 이어서 걸어 잠그는 도구에서 '빗장'이라는 뜻이 나왔다. 그래서 '빗장 관'이라고도 한다.


한편 顯은 聯-耳에 日과 頁이 한꺼번에 붙어 파생된 한자이기 때문에 그 해석도 어려운 편이다. 먼저 聯-耳에 日이 붙어 㬎이라는 한자를 만들고 이 한자에 頁이 결합해 파생된 한자로 볼 수 있지만, 실제로는 顯이 먼저 나타나고 㬎은 나중에 顯의 약자로서 만들어졌다.

임의광은 顯이 日과 絲와 頁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실을 햇빛에 비추어 나타낸다는 의미로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絲가 아닌 (聯-耳)이 들어가는 글자라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聯이 귀에 이어 놓은 장식을 본딴 것이니, 햇빛에 귀 장식을 비추어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日을 해가 아니라 옥 기물로 보아, 옥에 실 장식을 달아 놓고 조문하는 모습으로 묘사했다. 聯과 關에서는 一+絲가 聯-耳로 바뀐 것과는 달리, 顯에서는 그냥 가로줄이 없어지고 絲가 간략해진 형태로 바뀌었다.


이상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66bf2223d12e6.png?imgSeq=33068

聯-耳에서 파생된 한자들의 의미 관계도.


요약

顯(나타날 현)은 濕(젖을 습)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우연의 일치이고 실제로는 聯(연이을 련)의 초기 형태인 絲(실 사)를 한 줄로 이은 글자(聯-耳)에 日(날 일)과 頁(머리 혈)이 붙어서 파생됐다.

聯-耳에서 聯(연이을 련)·關(관계할 관)·顯(나타날 현)이 파생되었다.

聯-耳는 파생된 글자에 실 장식이나 잇다는 뜻을 부여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3 09:56
수정 아이콘
서주 시대 정도 여럿있고 진 나라 맹약서 등 자료도 많은가보군요. 정말 부럽습니다.
계층방정
24/08/24 21:11
수정 아이콘
저도 한국 고대사랑 비교하면 저런 자료가 있다는 게 정말 부럽습니다.
24/08/23 20:19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근데 귀에 실뭉치는 어떻게 이은 걸까요 ?
계층방정
24/08/24 21:1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그래서 실뭉치를 귀에 다는 장식의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고, 사람 귀 말고 그릇의 귀로 해석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912 [정치] 나경원 "초선은 가만 있어" 그 이후 / 멈추지 않는 추나대전 [112] Davi4ever12624 25/09/04 12624 0
104911 [정치] 심우정 검찰총장이 계엄 직후 떡값을 3억원 넘게 뿌렸네요... [33] 네야10653 25/09/04 10653 0
104910 [일반] 아침에 목격한 자전거 사고 [32] 수리검9434 25/09/04 9434 4
104909 [일반] 데이터로 파헤친 한국 빵 값이 아시아 최고인 진짜 이유 [145] 예루리20417 25/09/04 20417 114
104908 [일반] 한참 뒤늦은 케데헌 후기. [23] aDayInTheLife7791 25/09/03 7791 2
104907 [일반] 한국 여자골프의 몰락과 일본의 굴기 [54] 無欲則剛14943 25/09/03 14943 8
104906 [일반] 66년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정상 [92] Davi4ever18050 25/09/03 18050 6
104905 [일반] 유행지난 귀칼후기 [36] seotaiji12315 25/09/02 12315 0
104904 [일반] 무인판매점 도난 관련 제가 본 케이스 [89] 슬로13677 25/09/02 13677 11
104903 [일반] 210번째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8572 25/09/02 8572 1
104902 [정치] 현대사회에서 다시 조망되는 남성위기의 문제. [96] Restar14375 25/09/02 14375 0
104901 [일반] 제프 딕슨: 우리시대의 역설 [5] onDemand6630 25/09/02 6630 7
104900 [정치] 尹정부 워싱턴 총영사 좌천 인사 전말 [26] 철판닭갈비9762 25/09/02 9762 0
104899 [정치] 고교생 10명 중 4명 '개표 부정' 믿고 계엄엔 반대…'십대남' 현상 확인됐다 [296] 덴드로븀16144 25/09/02 16144 0
104898 [일반] 동네 무인 문구점에서 대량 도난 사태가 있었는데.. [207] 종결자13289 25/09/02 13289 14
104897 [일반] 마침내 병장!!!!…이지만 D-211인 군인의 잡썰 [71] No.99 AaronJudge8937 25/09/01 8937 21
104896 [일반] 낙농업 포기를 고려해야 할 때가 아닐까요? [98] VictoryFood13841 25/09/01 13841 6
104895 [정치] 국회 법사위, 윤석열 구치소 CCTV 열람…"1·2차 모두 속옷차림 거부" [95] Davi4ever15512 25/09/01 15512 0
104894 [일반] 근데 그 빵값 이야기 보다 든 생각인데... [68] 공기청정기17516 25/09/01 17516 6
104893 [정치] 국힘 전당대회 이후 화제가 되고 있는 김민수 최고위원 [156] 베라히18486 25/08/31 18486 0
104892 [정치] 동덕여대 재단이 고소 취하한 것도 정치권 압박이 절대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52] petrus15423 25/08/31 15423 0
104891 [일반] 110가지 짧은 생각 [10] 번개맞은씨앗10435 25/08/31 10435 4
104890 [정치] 윤석열·김건희 모두 당황시킨 '비화폰 통화기록' 이렇게 나왔다 [26] Davi4ever12727 25/08/31 127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