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8/20 08:00:16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63
Subject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25. 젖을 습(溼)에서 파생된 한자들

지난 번에 다룬 엄습할 습(襲)은 나는용 답(龖)에서 파생된 글자이지만, '습격하다'라는 뜻은 다른 한자를 가차한 것이라고 했다. 그 한자는 다음과 같이 생겼다.

66bdb78a27b05.png?imgSeq=32943

이 한자는 젖을 습(濕)과 관련이 되는 글자다. 그래서 오늘은 濕의 원형, 溼에서 파생된 한자들을 다루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濕을 쓰지만, 대만에서는 溼을 쓴다. 《설문해자》를 따르면 원래는 이 글자가 '젖을 습'을 뜻하는 글자였다. 濕과 溼 중에서 먼저 나타나는 한자도 溼이다.

66bdb0f25bd82.png?imgSeq=32941溼의 변천. 김준수, 〈'습'자상고성모고〉(2014) 중에서.

먼저는 갑골문에 물 수(水), 실 사(絲), 그리고 絲 중간을 잇는 두세 개의 가로줄로 구성된 한자가 나타난다. 위 그림의 01, 02번 한자다. 여기에 나타나는 작을 요(幺) 두 개는 絲의 생략형이다. 01, 02, 03번 한자는 모두 지명으로 쓰이는데, 溼의 첫 형태로 추정하고 있다.

이 한자는 물(水)에 젖은 실(絲)을 선반(一, 二 三 등)에 걸쳐 놓아 말리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에서 젖다라는 뜻이 나온 것으로 본다.

금문에서는 絲 아래에 흙 토(土)가 추가되어 지금 쓰이는 溼의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는 땅이 젖었다는 뜻으로, 진펄 습(隰)의 원 글자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면 濕은 무엇인가? 이 글자는 금문이나 전국시대 출토 문자에서는 보이지 않고 《설문해자》에서는 본래는 현 중국의 산둥 성을 흐르는 강의 이름으로, '물이름 탑'이라는 한자로 해설하고 있다. 그러나 溼이 물에 젖은 실을 말린다는 의미라는 것을 감안하면, 말린다는 뜻을 강화하기 위해 날 일(日)을 추가한 한자일 수도 있다.

어쨌든 '물이름 탑'이던 濕이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溼을 대신해서 '젖을 습'으로 쓰이고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도 濕을 간략화해서 湿의 형태를 쓰고 있으나, 대만에서만은 원래의 한자 형태를 찾아내 溼을 쓰고 있다.


《설문해자》에서는 나타날 현(顯)의 일부분인 㬎이 濕의 소리를 나타낸다고 하지만, 顯과 濕의 음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顯과 溼(濕)의 글자를 보면 미묘한 차이가 있다.

66bdb3d819a24.png?imgSeq=32942나타날 현(顯)의 변천. 김준수, 〈'습'자상고성모고〉(2014) 중에서.

지금은 溼(濕)이든 顯이든 絲를 그냥 그대로 쓰지만, 원래는 絲를 어떤 식으로든 잇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溼에서는 두세 줄로 絲를 받치고 있지만 顯에서는 絲를 단 하나의 줄로 잇고 있다. 나중에 絲를 잇고 있는 줄들이 하나로 간략해지고, 더 나아가 완전히 생략되면서 우연히 같은 모양이 되었을 뿐이지 원래는 다른 글자인 것이다. 그래서 위 두 그림이 있는 논문의 글쓴이 김준수는 濕은 溼의 원형에 日이 추가된 것이지 顯과는 다른 글자로 보고 있다. 둘은 출발한 글자가 비슷하게 생겼고, 우연히 같은 형태가 되었을 뿐이다.


溼(濕)의 원형은 水+絲+一(또는 二, 三)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이런 글자는 컴퓨터에서 나타낼 수 없으므로 그나마 가장 가까운 溼으로 대신하겠다. 溼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溼+日(날 일)=濕(젖을 습): 습기(濕氣), 흡습(吸濕) 등. 어문회 준3급

溼+日(날 일)=濕→漯(물이모이는모양 탑|강이름 루): 탑하(漯河) 등. 어문회 특급

溼+阜(언덕 부)=隰(진펄 습): 원습(原隰) 등. 어문회 특급

66bec300e5eb5.png?imgSeq=33023

溼에서 파생된 한자들.

중간에 있는 漯이 생소할 텐데, 원래는 濕으로 써야 하는 글자가 日이 밭 전(田), 絲가 가는실 멱(糸)으로 와전되어 생겨난 한자다. 이 한자에는 '강이름 루'라는 다른 훈과 음도 있는데, 이 역시 우연의 일치로 같은 모양이 되었을 뿐 원래는 뜻을 나타내는 물 수(水)와 음을 나타내는 여러 루(累)가 결합해 만들어진 별개의 한자다.

그래서 漯河는 서로 다른 세 강을 나타내는데, '탑하'라고 읽으면 산둥성에서 발원하는 강, '누하'라고 읽으면 허난성에서 발원하는 강 또는 허베이성에서 발원하는 또 다른 강을 가리킨다. 탑하는 지금은 사라졌으나, 누하는 지금의 뤄허시라는 지명에 남아 있다. 뤄허시를 한국식으로 읽으면 누하시다. 탑하는 濕河로도 쓸 수 있는데, 이때는 '습하'가 아니라 '답하' 또는 '탑하'로 읽는다.


溼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적으나, 소리뿐만 아니라 뜻도 '젖다'에서 인신되어 비슷한 한자들이 모여 있다. 옛 글꼴에서는 溼의 일부분을 포함했으나 지금은 濕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급수 시험에 나오지 않는 한자들 몇을 더 예로 들겠다.

隰은 阜(언덕 부)가 뜻을 나타내고 溼이 소리를 나타내며, 언덕이 젖어 진펄이 되었다는 뜻이다.

㙷(더할 칩)은 土(흙 토)가 뜻을 나타내고 溼이 소리를 나타내며, 축축해지기 쉬운 낮은 땅, 또는 이런 땅을 쓰기 위해 흙을 채워 더한다는 뜻이 되었다.

㬤(햇빛쬘 급)은 日(날 일)이 뜻을 나타내고 溼이 소리를 나타내며, 젖은 물건을 말리기 위해 햇빛을 쬐인다는 의미로 만들어졌다.

이상의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66bec4515cf3e.png?imgSeq=33024

溼에서 파생된 한자들의 의미 관계도.


요약

溼(젖을 습)은 물에 젖은 실을 걸어서 말리는 모습을 본뜬 것으로, 이에서 '젖다'라는 뜻이 나왔으며, 濕(젖을 습)의 원 글자이다.

溼에서 濕(젖을 습)·漯(물이모이는모양 탑)·隰(진펄 습)이 파생되었다.

溼은 파생된 한자들에 '젖다'와 관련된 뜻을 부여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0 09:25
수정 아이콘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계층방정
24/08/21 20:50
수정 아이콘
항상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4/08/20 12:59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오늘의 한자는 생소한게 많네요 크크
계층방정
24/08/21 20:5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濕과 같은 계통으로 볼 수 있는 글자가 많지가 않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68 [일반] [역사] IBM이 시작해 도시바가 완성한 저장장치 / 저장장치의 역사 [19] Fig.15637 25/04/14 5637 7
104067 [일반]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어느정도 일까요? [76] 또리토스9052 25/04/14 9052 0
104065 [일반] 최근 보는 웹소설들 [37] 비선광9331 25/04/14 9331 3
104064 [일반] 오늘자 시총 10조 코인 먹튀 발생... [56] 롤격발매기원15964 25/04/14 15964 4
104063 [일반] 기억나는 가게 손님들 이야기. [14] 인생의참된맛8035 25/04/13 8035 6
104062 [일반] [웹툰]로판인가? 삼국지인가? '악녀는 두번 산다' 추천 [18] 카랑카8448 25/04/13 8448 1
104061 [일반] 스스로 뒤통수 후리게 하면서도 끊을 수 없는 겨자의 낭만 [4] Poe7516 25/04/13 7516 22
104060 [일반] 남북통일이 앞으로도 영원히 불가능한 이유 [129] 독서상품권13054 25/04/13 13054 2
104059 [일반] 제67회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10] 김치찌개11469 25/04/13 11469 2
104058 [일반] [서평]《출퇴근의 역사》 - 통근을 향한 낙관과 그 이면 [4] 계층방정5154 25/04/12 5154 5
104057 [일반] 나스닥이 2프로 가까이 오른 어제자 서학개미들 근황 [36] 독서상품권11731 25/04/12 11731 0
104056 [일반] [역사] 한국사 구조론 [27] meson7715 25/04/12 7715 11
104055 [일반] 오사카에서 찍은 사진들 [14] 及時雨7132 25/04/12 7132 10
104054 [일반] 테슬라 FSD 1년 사용 후기 [64] vitaminwater13358 25/04/11 13358 24
104053 [일반] 닌자 리얼리티 쇼크에 평범한 헤즈들은 쇼크! [23] 된장까스8738 25/04/11 8738 0
104052 [일반] 중국 자동차 산업 의외의 복병, 하이브리드 [87] 깃털달린뱀16590 25/04/10 16590 11
104051 [일반] 다시 춤을 추기 시작한 미국 증시 근황 [76] 무도사15687 25/04/10 15687 0
104050 [일반] 엄청난 변동성에 녹아내리는 레버리지 etf [17] 맥스훼인11438 25/04/10 11438 0
104049 [일반] a great to time to buy 완전 주가조작 아닌가요? [38] 알파고11911 25/04/10 11911 5
104048 [일반] 챗지피티와 손자병법 시뮬레이션하기 [2] 가위바위보6751 25/04/10 6751 2
104047 [일반] 미래의 아이들은 디스토피아에 살게될것인가 [49] 방구차야7960 25/04/09 7960 1
104046 [일반] 국채금리와 자본유출 (ChatGPT와의 대화) [22] 번개맞은씨앗4977 25/04/09 4977 0
104045 [일반] (잡담) 자존심 센 첫째 딸 이야기(+후기) [21] 하나6526 25/04/09 6526 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