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30 05:17:35
Name 계층방정
Link #1 https://brunch.co.kr/@wgmagazine/51
Subject [일반] 깃 우(羽)에서 파생된 한자들 - 자랑하다 등 (수정됨)

지난 글에서 다룬 한자는 꿩 적(翟)의 아랫부분인 새 추(隹)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나머지 윗부분, 깃 우(羽)에서 파생된 한자를 다루고자 한다. 羽 역시 隹처럼 부수 글자로 수많은 형성자에서 뜻을 담당하고, 隹와는 달리 현대에도 널리 쓰이고 있지만, 隹처럼 형성자의 성부가 되기도 한다.


羽의 시대에 따른 변화는 다음과 같다.

66a4b13871a11.png?imgSeq=31444

왼쪽부터 羽(깃 우)의 갑골문, 금문, 전국시대 초나라 죽간, 소전.

금문에서 전국시대 죽간 문자로 넘어가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 갑골문과 금문은 깃털이 난 새의 날개 한쪽 전체의 모양을 본뜬 모습이다. 그러던 것이 전국시대로 들어가면서 지금의 형태로 바뀌었다. 이는 학설의 변화로, 예전에는 羽는 갑골문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를 겪지 않았던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원래는 羽의 갑골문으로 보던 글자가 빗자루를 뜻하는 彗(살별 혜)의 갑골문으로 해석이 바뀌었다.

66a4b4ac1c36f.png?imgSeq=31445

살별 혜(彗)의 갑골문(a), 전국시대 초나라 문자(b), 설문해자 고문(c), 설문해자 소전(d), 설문해자의 이체자(e).

彗a만 보면 彗보다는 羽가 더 비슷해 보이지만, a부터 e까지의 변천을 보면 彗a가 羽의 갑골문에서 彗의 갑골문으로 바뀐 이유를 좀 더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彗 자를 설명할 때 하겠다.

이러다 보니 習, 翟 같이 갑골문에서부터 보이는 羽가 들어간 글자들은 실은 羽가 아니라 彗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다행히도 羽에서 소리를 가져온 형성자들은 소리로도 羽의 파생임을 보여주거니와 갑골문이나 금문에는 나오지도 않기 때문에 고민할 필요도 없다.


羽(깃 우, 우화(羽化), 백우선(白羽扇) 등. 어문회 준3급)에서 파생된 한자들은 다음과 같다.

羽+木(나무 목)=栩(상수리나무 허/우): 허허(栩栩), 포허(苞栩) 등. 어문회 특급

羽+玉(구슬 옥)=珝(옥이름 후): 어문회 준특급

羽+言(말씀 언)=詡(자랑할 후): 후후(詡詡), 장후(奬詡) 등. 어문회 특급

66a4ba15182e3.png?imgSeq=31447

羽에서 파생된 한자들.


珝(옥이름 후)와 詡(자랑할 후)는 대개는 사람 이름에 쓴다. 珝를 이름에 쓴 사람으로는 삼국지의 설종의 아들인 설후(薛珝), 선조가 가장 총애한 아들인 신성군 이후(李珝) 등이 있다.

詡를 이름에 쓴 사람으로는 전한의 장후(蔣詡), 후한의 우후(虞詡), 삼국지의 가후(賈詡), 북위의 효명제 원후(元詡) 등이 있다. 그런데 珝은 옥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자들이 사람 이름에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詡는 '자랑하다', '속이다'라는 부정적인 뜻이 있음에도 사람 이름에 많이 들어간다. 이는 어찌된 일일까?


주나라 이래로, 중국과 한국에서는 사람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을 금기로 여겼기에 비교적 편하게 부를 수 있는 별명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는데 그것이 바로 자다. 삼국지의 제갈공명이나 조자룡 같은 이름이 다 자로, 본명은 제갈량, 조운이다. 이러한 자를 짓는 방법 중 하나가 원래 이름과 관계 있는 한자를 쓰는 것으로, 성이 달라도 이름이 같으면 자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詡를 이름으로 쓰는 사람들의 자는 어떨까? 먼저 중국인들이다.

장후 - 자 원경(元卿)

우후 - 자 승경(升卿)

가후 - 자 문화(文和)

다음으로는 한국인들이다.

장후 - 자 원경(元卿) : 중국의 장후와 성명뿐만 아니라 자까지도 다 같다

유지후(柳之詡) - 자 성화(聖和)

조후(趙詡) - 자 경화(景和)

공통점이 보인다. 모두 자에 卿(벼슬 경)이나 和(화할 화)가 들어간다. 詡는 이름으로는 卿이나 和와 연관되는 것이다.

이제 詡의 뜻을 다시 살펴 보면, '자랑하다' 외에도 '화하다', '넓다', '두루' 등의 뜻이 있다. 《예기》에 '덕이 발양해 만물에 넓게 퍼지니'(德發揚, 詡萬物)이란 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말로써 어떤 것을 자랑하면 널리 퍼지기 때문에 '크다', '넓다', '두루' 등의 뜻이 파생되었으며, 두루 퍼지면 조화롭기 때문에 '화하다'라는 뜻이 다시 파생되었다. 물론 자랑하는 것은 속이는 것이 될 수 있기에 '속이다'도 파생되긴 했다.

어쨌든 詡는 이름으로써는 '넓다' 또는 '화하다'의 의미로써 쓰였을 것이고, 그래서 이름이 詡인 사람은 자로 和를 골랐다. 경(卿)은 의미로는 詡와의 연관성을 잘 모르겠지만, 중국의 명재상 안영이 신하는 임금과 조화를 이루어야지 부화뇌동하지 말라고 했으니 신하인 경(卿)은 임금과 화합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詡의 짝이 되지 않았을까?

그런 의미에서 삼국지의 가후는 이름과 삶의 아이러니가 돋보인다. 이름이 후고 자가 문화이니, 이름이 널리 알려져서 세상을 조화롭게 하는 것이 이름의 뜻일 것 같다. 그러나 동탁의 잔당들을 위해 일하고 조조의 맏아들과 아끼는 장수를 죽이고는 조조와 그 나라를 섬겼기 때문에, 조조에게 중용을 받으면서도 자기 세력을 만들지 않으려고 애쓰고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조용하게 살면서 고위직을 역임하다 세상을 떠났다.

아예 작정하고 은거한 사람으로는 전한의 장후가 있지만, 결국 나중에 한을 뒤엎고 신이라는 새 왕조를 세우는 왕망의 전횡에 반발해 관직을 버린 것이라 은거 자체가 정치적인 행위였다. 그는 경으로써 정권에 부화뇌동할 수 없었고, 조화를 이루는 것은 바로 정치를 그만두는 것이었다. 이름은 같을지라도 걷는 길은 달랐다.


※ https://namu.wiki/w/%E6%A0%A9https://namu.wiki/w/%E6%A9%A1 글 내용을 무단 도용해 저작권을 침해한 부분을 삭제했습니다. 해당 내용을 작성한 나무위키 편집자 aovalover님께 사죄드립니다.


요약

羽(깃 우)는 새의 날개를 본뜬 한자로, 금문에서 전국시대로 넘어가면서 모양이 많이 바뀌었다.

羽에서 栩(상수리나무 허)·珝(옥이름 후)·詡(자랑할 후)가 파생되었다.


※ 저작권을 침해한 무단 도용으로 일부 내용을 삭제했습니다.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밀리어
24/07/30 07: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살벌 혜의 시대에 따른 변화중 d,e는 나머지 것들과 달리 차이가 별로 없군요
계층방정
24/07/30 08:41
수정 아이콘
예. 그냥 대나무 죽(竹)을 얹은 거니까요. 그렇지만 a가 b에서 대나무 죽(竹)을 뺀 글자일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줬을 것 같습니다.
24/07/30 12:22
수정 아이콘
가르쳐 주셔서 고맙습니다.
계층방정
24/07/30 21:20
수정 아이콘
항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4/07/30 12:28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삼국지에서 제일 좋아하는 인물이 가후랑 노숙이라 더 흥미롭군요 크크
계층방정
24/07/30 21: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도 가후 이름이 왜 자랑할 후(詡)일까 내심 고민했는데 이번에 답을 찾은 것 같아요.
전기쥐
24/07/30 13: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고보니 촉한 장군 관우(關羽), 한국 만화가 고우영(高羽榮) 등 이름에 우(羽)가 제법 쓰이네요. (고우영 삼국지에서 작가가 심심하면 관우랑 같은 한자가 이름에 들어간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죠)
계층방정
24/07/30 21:23
수정 아이콘
아, 그러고 보니 이름에 깃 우(羽)가 들어가는 사람들도 있었죠! 깃 우 용례에 관우를 넣을까 말까 고민해놓고는 미처 생각을 못 했네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905 [일반] 금융결제원 '홈플러스 당좌거래 중지' 공지 [60] 전기쥐12973 25/03/10 12973 1
103904 [일반] 어려운 텍스트 [7] 번개맞은씨앗9282 25/03/09 9282 9
103903 [일반] [팝송] 더 위켄드 새 앨범 "Hurry Up Tomorrow" [11] 김치찌개7839 25/03/09 7839 2
103902 [일반] 올해 읽었던 책들 중에서 가장 만족한 책 [지능의 기원] [18] a-ha12342 25/03/08 12342 16
103901 [일반] (역사는 반복된다)세계사에서 대표적인 자산시장 버블기들과 그들의 말로 [23] 독서상품권13644 25/03/08 13644 10
103900 [일반] 진격의 거인, 엘빈 스미스와 작클레 총통 - 부제 사람은 논리적일 수 있을까? [18] INTJ9819 25/03/08 9819 12
103898 [일반] 굳건한 미일 동맹에 의심이 들기 시작한 지구 1황 [75] 전기쥐15306 25/03/08 15306 3
103897 [일반] 위고비 8주차 최종 후기 (쫑?) [24] Lord Be Goja10488 25/03/08 10488 6
103896 [일반] 데어데블 본어게인, 디즈니+ 를 구독할 이유, [15] v.Serum6814 25/03/08 6814 0
103895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82. 소 축(丑)·손톱 조(爪, 㕚)·갈래 차(叉)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3905 25/03/07 3905 5
103894 [일반] [에세이] 아빠의 잃어버린 손가락 (사이보그가 되다) [4] 두괴즐4926 25/03/07 4926 15
103893 [일반] 기술자적 유연성 [8] 번개맞은씨앗5506 25/03/07 5506 7
103892 [일반] 소매업체, RX 9070 “MSRP”는 첫 배송에만 적용.가격은 추후 인상될 예정 [25] SAS Tony Parker 7053 25/03/07 7053 0
103891 [일반] 대형마트 의무휴일 축소? 확대? [131] 로켓12786 25/03/07 12786 14
103890 [일반] 미키 17 후기 (노스포) [23] 라이징패스트볼7484 25/03/07 7484 9
103889 [일반] K-자본주의는 주주를 등쳐먹기로 모두가 합의한 체제이다. [95] 깃털달린뱀14984 25/03/06 14984 76
103887 [일반] 챗AI에게 두억시니말 같은 글 쓰게 시키기 - 결론 포함 [10] 닉언급금지7503 25/03/06 7503 1
103886 [일반] 한미연합훈련 중 민가에 포탄 폭발 사고.... 전투기 오발로 추정 [64] EnergyFlow12995 25/03/06 12995 2
103885 [일반] 젊은 2030 세대들이 중국에대한 아주 강한 반중정서를 가지고 있는걸로 밝혀졌네요 [291] 마그데부르크21442 25/03/06 21442 10
103884 [일반] 호상 [64] dlwlrma11663 25/03/06 11663 77
103883 [일반] [설문] 부모나 연소자에게 가중투표권을 부여해야 할까요? [50] 슈테판7221 25/03/06 7221 1
103882 [일반] <콘클라베> - 신의 일이든, 신의 뜻이든, 결국 인간이 하는 것. (노스포) [14] aDayInTheLife5560 25/03/05 5560 5
103881 [일반] LP [12] 79년생4706 25/03/05 4706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