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7/13 02:15:09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510959642
Subject [일반] <플라이 미 투 더 문> - 가벼운 음모론을 덮는 로코물의 달콤함.
<플라이 미 투 더 문>은 아폴로 11호를 배경으로 한 로맨틱 코미디에 음모론 이야기를 한 스푼 얹은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아폴로 11호의 착륙 장면은 가짜다!'를 살짝 비틀어 '가짜 착륙이 준비되고 있었다!'를 한 스푼 얹어 만든 로맨틱 코미디라고 할 수 있겠네요.

<플라이 미 투 더 문>이 가지고 있는 최고의 장점은 배우들이라고 생각해요. 코미디, 드라마, 멜로를 오가면서 두 배우는 능청맞게 연기합니다. 영화의 기본 뼈대는 로맨틱 코미디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 '로코'물에서 과학 기술, 혹은 '미국적 가치'(?)에 대한 동경과 희망찬 낙관을 스리슬쩍 밀어 넣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배우 다음으로 이 영화의 장점으로 꼽을 수 있는 건 아무래도 견실한 각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물론 단점이 없진 않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음모론 한 스푼'이지 그 음모론을 잔뜩 밀어넣은 영화라든지, 혹은 굉장히 새로운 영화라고 하기에는 어정쩡하긴 합니다. 그래서, 모든 이야기와 모든 전개가 조금 (많이) 눈에 보이는 경향이 있어요. 현실과 음모론을 기반으로 한 '픽션'이지만, 뭔가 발칙한 맛을 기대하기에는 아쉬움이 따르는 것도 사실이기도 하구요. 결국 이 영화를 보고,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로코물이 얼마나 취향에 맞냐를 따져봐야하는 문제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 영화의 재밌는 지점은 픽션과 논픽션이 교차하면서, 일종의 극중극이 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해요. 슬며시 엿보이는 현실과 창작물의 경계선, 그리고 그 위에서의 소동극이 영화에서 흥미로운 지점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픽션임에도 불구하고) 튀어나오는, 성취에 대한 경외감이 생각보다 좋았습니다. 그러니까, 영화 상에서의 중심 사건이 아폴로 11호의 발사인데, 픽션과 농담이 교차하는 순간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뭉클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고 해야할까요. 그 지점이 저는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영화는 묘하게 (<마션> 같이) 낙관성과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는 영화 같이 느껴지기도 하네요.

p.s. 저는 애플 오리지널 필름은 <플라워 킬링 문>, <나폴레옹>에 이어서 3번째인데... 약간 퐁당퐁당이군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7/13 02:47
수정 아이콘
Fly Me to the moon

Let me play among the stars

영화를 보려고 생각중인데 나름 괜찮나 보군요
aDayInTheLife
24/07/13 03:11
수정 아이콘
나쁘지 않았어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1] 빵pro점쟁이8593 25/04/17 8593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2] EnergyFlow11071 25/04/17 11071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9835 25/04/16 9835 3
104078 [일반] 출생아가 두 배로 늘어나는 방법? - 적극적 이민 정책을 촉구하며 [284] 사부작15377 25/04/16 15377 12
104077 [일반]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지중화비 70% 국비 지원 [96] 깃털달린뱀12422 25/04/16 12422 20
104076 [일반] 26학년도 의대 정원 동결... 17일 발표 [167] 교대가즈아15388 25/04/16 15388 2
104075 [일반] 대화의 방식 : SRPG와 RTS [42] 글곰10549 25/04/15 10549 22
10407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7 [11] Poe8239 25/04/15 8239 41
104073 [일반] 서울대 교수회가 제시한 "대한민국 교육개혁 제안" [86] EnergyFlow14543 25/04/15 14543 4
104072 [일반] “내 인생은 망했다, 너희는 탈조선해라”…이국종 교수, 작심발언 왜? [358] 궤변20455 25/04/15 20455 25
104071 [일반] 런린이가쓰는 10km 대회 준비&후기 [14] Jane7718 25/04/15 7718 6
104070 [일반] Nothing Happens. [4] aDayInTheLife6219 25/04/14 6219 6
104068 [일반] [역사] IBM이 시작해 도시바가 완성한 저장장치 / 저장장치의 역사 [19] Fig.15845 25/04/14 5845 7
104067 [일반]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어느정도 일까요? [76] 또리토스9159 25/04/14 9159 0
104065 [일반] 최근 보는 웹소설들 [37] 비선광9473 25/04/14 9473 3
104064 [일반] 오늘자 시총 10조 코인 먹튀 발생... [56] 롤격발매기원16081 25/04/14 16081 4
104063 [일반] 기억나는 가게 손님들 이야기. [14] 인생의참된맛8157 25/04/13 8157 6
104062 [일반] [웹툰]로판인가? 삼국지인가? '악녀는 두번 산다' 추천 [18] 카랑카8607 25/04/13 8607 1
104061 [일반] 스스로 뒤통수 후리게 하면서도 끊을 수 없는 겨자의 낭만 [4] Poe7657 25/04/13 7657 22
104060 [일반] 남북통일이 앞으로도 영원히 불가능한 이유 [129] 독서상품권13205 25/04/13 13205 2
104059 [일반] 제67회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10] 김치찌개11589 25/04/13 11589 2
104058 [일반] [서평]《출퇴근의 역사》 - 통근을 향한 낙관과 그 이면 [4] 계층방정5285 25/04/12 5285 5
104057 [일반] 나스닥이 2프로 가까이 오른 어제자 서학개미들 근황 [36] 독서상품권11806 25/04/12 118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