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5/06 15:14:04
Name 니드호그
Subject [정치]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는다?
요즘 의대 정원 문제 때문에 여러 가지로 시끄럽지요.
저나 제 가족 중에선 아직 건강상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언제 문제가 발생할지 모르니까 불안하긴 합니다.
왜 이렇게 양쪽 다 물러나지 않는가, 생각을 해봤는데. 의외로 간단하더군요.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으니까….

미스터 션샤인이라는 드라마가 있었지요.
빼앗긴 건 되찾을 수 있으나, 내어주면 되찾을 수 없다…라는 대사가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양보라는 개념이, 내어준다는 것과 거의 동일한 거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리고 이 대사의 교훈을, 다들 충실히 지켜서, 다들 빼앗길 수는 있지만 양보할 수는 없다는 자세를 지키고 있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비슷한 개념의 문제로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때때로 기사로도 나오는, 땅 주인이 진입로를 막아서 생기는 다툼이네요.

땅 주인 입장에선 자신의 합법적인 권리인데, 예전에 양보해 버린 탓에 지금 손해를 보고, 지금이라도 권리를 주장하지 않으면 앞으로도 손해를 보는 상황이 되어버렸다고 생각한다면 막아버리는 게 합리적이기는 하군요….

이런저런 대치 상태에서 결국 한쪽이 양보해서 문제를 해결한 경우, '저쪽에서 양보를 해서 일을 마무리 지었으니까, 다음에는 이쪽에서 좀 양보해야겠구나..'라는 식으로 생각해서 다음에 양보하는 경우가 있는지 없는지 생각해 보면, 없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게 없다면 사회 유지 자체가 힘들 거라는 생각도 들어서….

그렇지만 그건 결국 상대방의 선의에 기대자는 사고방식인데, 그래도 괜찮은 걸까? 그렇게 해서 정말 잘 될까? 싶기도 하네요.

거기다 현재 한일 관계도 왠지 한국에서 일방적으로 양보해서 일방적으로 손해만 볼 것 같은 기분이고.
지금은 거의 밈이 되어버린, 이통사 수입이 남으면 틀림없이 요금을 내릴 거라는 말도 비슷한 개념인데 결국 요금은 딱히 내리지 않았고.

개인 대 개인이라면 그래도 어느 정도 먼저 양보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은데, 집단 대 집단이라면 역시 그건 무리인 건가 싶습니다. 거기다 생각해 보니까 양보하기 시작했다간 어느새 가스라이팅 당해있는 경우도 있을 것 같네요. 거기다 법적으로 따졌을 때도,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는 게 맞는 것 같고.

결국 양보 없는 각자도생이 정답인 건가 싶습니다. 인정하고 싶지 않고, 그런 사회는 얼마 못 갈 것 같긴 합니다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5/06 15:37
수정 아이콘
한국 정치를 보면 양보와 타협이 아니라 투쟁, 승리와 패배로 돌아가는 것 같긴 합니다. 둘의 의견이 다를 땐 그 중간지점으로 합의하는 게 아니라, 싸우다 서로를 못죽여서 교착상태가 굳어지는 느낌이랄까. 그게 겉으로 보기엔 잘 정리되는 것 같이 보이는데 속을 까보면 전혀 다르죠.

개인적으론 군부독재 이래로(더 이전으론 독립운동부터) 정치활동이라는 게 협의가 아니라 투쟁과 억압의 싸움일 수밖에 없던 역사의 영향이라고 봅니다. 때려죽이려는 쪽 앞에서 굽히면 그대로 얻어맞아 죽을 뿐이니까요.
줄리엣
24/05/06 17:01
수정 아이콘
옳은 의견이 있고, 틀린 의견이 있을때 두 의견의 중간값을 합의점으로 하여 합의하라는것도 웃기는 얘기이긴합니다.

충분한근거와 토론으로 최선의 의견을 찾아야하는게 가장 좋겠지요.
소독용 에탄올
24/05/06 17:17
수정 아이콘
협의나 합의는 기본적으로 신뢰가 필요한 일입니다.

한국사회에서 합의를 위한 신뢰는 형성되지 못했고요.
지속적인 대화, 낮은수준의 합의 같은게 누적되야 신뢰가 생기는데 그런걸 해본적이 없습니다.
경마장9번마
24/05/06 22:51
수정 아이콘
호의가 계속되면 그게 권리인줄 알아요.
No.99 AaronJudge
24/05/07 11:48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런 사회는 기본적으로 비용이 너무 소요되지 않을까 싶긴 해요….바람직하진 않은듯..ㅜㅜ

앞으로는 1990년대나 2000년대처럼 파이 자체가 커지긴 힘들것같고
사이즈가 같거나 작아지는 파이를 서로 어떻게 나누느냐~ 가 문제가 될 것같은데
우리가 그런 거에 익숙하지 않은 것 같아서 진통이 꽤 있을지도 모르겠다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485 [정치] 검찰의 이재명 수사 증거 조작 정황 [61] 선인장13150 24/05/16 13150 0
101479 [정치] 오늘 있었던 이준석의 5.18 묘지 참배 소식 [77] Restar8715 24/05/15 8715 0
101439 [정치] 윤석열 취임 2주년 기자회견. 특검은 거부. 대일본 굴종 굴욕외교. [96] Crochen10532 24/05/09 10532 0
101427 [정치] 라인야후CEO "네이버 위탁 순차적 종료…기술독립 추진하겠다" [178] EnergyFlow11489 24/05/08 11489 0
101411 [정치] 양보한 권리는 돌아오지 않는다? [5] 니드호그6261 24/05/06 6261 0
101382 [정치] 오늘(2024.5.1.)부터 온라인상에 병역 면탈을 조장하는 글을 쓰면 형사처벌 [22] Regentag5097 24/05/01 5097 0
101365 [정치] 일본이 LINE 지분 구조를 바꾸려 한다. [56] 겨울삼각형8426 24/04/29 8426 0
101356 [정치] 일본 정부는 한국을 적성국으로 보겠다는 건가 + 윤석열은 뭐하나? [34] Crochen7965 24/04/27 7965 0
101342 [정치] [서평]을 빙자한 지방 소멸 잡썰, '한국 도시의 미래' [22] 사람되고싶다5898 24/04/24 5898 0
101341 [정치] 나중이 아니라 지금, 국민연금에 세금을 투입해야 합니다 [62] 사부작7209 24/04/24 7209 0
101334 [정치] 이와중에 소리 없이 국익을 말아먹는 김건희 여사 [17] 미카노아6688 24/04/24 6688 0
101328 [정치] 인기 없는 정책 - 의료 개혁의 대안 [134] 여왕의심복10034 24/04/23 10034 0
101099 [정치] 의협차원에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라고 지시한 내부 폭로 글이 올라왔습니다 [52] 체크카드12291 24/03/08 12291 0
101094 [정치] 대한민국 공공분야의 만악의 근원 - 민원 [167] VictoryFood13032 24/03/07 13032 0
101093 [정치] [중앙일보 사설] 기사제목 : 기어이 의사의 굴복을 원한다면.txt [381] 궤변16555 24/03/07 16555 0
101086 [정치] 다양한 민생법안들 [10] 주말5709 24/03/06 5709 0
101084 [정치] 너무많은 의료파업관련 구설수 기사들 [21] 주말7777 24/03/06 7777 0
101083 [정치] 의사분들 이러시는 건 심적으로 이해가 갑니다만 [150] 된장까스13277 24/03/06 13277 1
101080 [정치] 총선용 의료대란과 꼬인 대처. 필수의료의 멸망. 모두의 패배. [444] 여수낮바다15895 24/03/06 15895 0
101077 [정치] 밑에 글 후속작 : 북한 김주애 정권 승계가 과연 가능할까요? [24] 보리야밥먹자6562 24/03/06 6562 0
101073 [정치] 의사 대량 사직 사태 - 뒷감당은 우리 모두가 [266] 터치미20988 24/03/05 20988 0
101061 [정치] 22대 총선 변경 선거구 분석 - 도편 - [25] DownTeamisDown8187 24/03/03 8187 0
101060 [정치] 하얼빈에서 시작된 3•1운동 [42] 체크카드9004 24/03/02 900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